Skip to content

(*.79.196.166) 조회 수 2050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수정 삭제


맞습니다. 인간의 눈은 밤에는 507나노메타 대역에서 가장 민감합니다. 교재는 광학기기, 기기분석기기, 이과핸드북 등에 실려 있습니다만 국내에서는 파이만 물리책을 권하고 싶습니다. 이 교재는 서점에서 쉽게 구할 수 있을것입니다. 5권이 한세트로 되어 있습니다.

요위의 그림은 파이만 물리책에서 인용한 것입니다. 실선은 낮의 인간의 눈의 시감도(視感度) 곡선이고 점선은 밤의 인간 눈의 시감도 곡선입니다.

낮에는 555나노메타 대역이 가장 민감하고 밤에는 507나노메타 대역이 가장 민감하게 됩니다. 이것을 ‘펄킹예(Purkinje) 현상’이라고 합니다. 이 현상에 의해서 밤이 되면 그래프가 오른쪽으로 시프트되어 형광펜 역의 붉은 색의 시감도도 밤이 되면 낮아지게 됩니다. 이것보다 더 어두워지면(시감도가 더 떨어지면) 간체세포(杆體細胞)가 담당하여 색상 구분이 불가능하게 됩니다.

따라서 밤에는 붉은 빛이 암적응을 덜 깬다고 할 수 있습니다.

유의 해야 할 것은 망원경의 성능 계산시 통상은 507나노메타로 하지만 에어리디스크의 경우는 d선인 588나노메타로 계산하기도합니다. 우리가 망원경 잡지에서 수차그래프를 볼 때 가장 안정되고 움직임이 적은 파장이 있는데 이것이 d선입니다. 물론 분해능은 507나노메타로 계산합니다.

또 간혹 가다가 555나노메타로 보고 계산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것보다는 507나노메타가 더 실제에 근접한다 하겠습니다. 과거 천망동 홈페이지에 올려진 이만성선생님이 번역하신 ‘Telescope Optics'란 교재의 경우입니다. 지금 천망동 홈페이지 주소를 알 수없어 지금 재확인할 수는 없군요(과거 천망동 홈페이지에 들어갈 때는 천문인마을 링크를 찍고 천망동 돌고 했는데 천문인마을 링크집이 없어져버렸습니다). 그 당시 추정해보니 555나노메타로 보고 그래프를 그리고 있었습니다. 요 아래의 그림입니다. X축점이 ’분해능‘을 ’해상도‘로 변환한 점인데 이 식을 연필로 적어 놓았습니다.  


PS)붉은색이 암적응에 좋다라는 자료는 직접 본 적은 없습니다만 위의 그래프로 추정컨대 암적응에 좋다고 보여집니다. 역시 여러 별친구들이 현명하다 하겠습니다. 저는 초창기 천문인마을 옥상에서 모두 붉은 램프를 좍 켜길래 강남룸싸롱 분위기 내려고 그러나 생각하고 속으로 웃은 적이 있었습니다.

  • 이덕수 2004.05.04 09:46 (*.111.230.124)
    생물학쪽에서 열심히 찾아보았었는데 안나오던 이유가 있었군요.
    친절한 답변에 감사드립니다.

Q&A 질문과 답변

천체사진, 관측장비, 대상정보, 프로그램, 이미지 처리등에 대해 질의해봅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글을 쓰시기 전에 읽어 보세요~ NADA 2004.05.01 9585
341 보드카메라를 이용한 천체촬영용 카메라제작 메뉴얼 7 엄태준 2004.05.06 1898
340 보드카메라 개조관련 메뉴얼 등록 양해를 구합니다. 4 엄태준 2004.05.06 1930
» [re] 박병우님께 질문입니다. 1 file 박병우 2004.05.03 2050
338 온라인 사진 성도 질문 3 이준희 2004.05.03 1813
337 박병우님께 질문입니다. 이덕수 2004.05.03 1740
336 회원분들 행성사진을보면...씨잉과 투명도가... 2 박진수 2004.05.01 3101
335 CCD의 클래스 질문 입니다. 2 박성래 2004.04.30 1819
334 토우 캠 프로의 초점조절은 어떻게 하나요?(초보) 2 이은주 2004.04.29 2037
333 반사망원경 거울코팅의 내구성 5 김청민 2004.04.29 2831
332 [re] D-SLR 구입을 하려하는데.. 고민입니다. 3 file 박병우 2004.04.26 1766
331 TC-80N3 전자릴리즈를 10D/300D 용으로 개조하기 4 정경희 2004.04.26 1826
330 요즘 토성과 화성이 안보입니다? 4 file 김청민 2004.04.26 1903
329 D-SLR 구입을 하려하는데.. 고민입니다. 19 김순완 2004.04.24 3179
328 EM200USD autoguide 단자의 입력전압? 2 신호철 2004.04.23 1972
327 안녕하세요..NADA회원분들! 부산에 혹시 계신분 있어요? 2 김세영 2004.04.23 1929
326 굴절 망원경 100mm 의 딥 스카이 관측 성능? 3 김청민 2004.04.22 4504
325 망원경 구경과 날씨와의 관계는? 2 김청민 2004.04.22 1913
324 천체 사진을 찍어보고 싶은 초보의 질문... 4 김영기 2004.04.21 1862
323 프로그램 질문입니다. 유종선 2004.04.20 1868
Board Pagination Prev 1 ...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 73 Next
/ 73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