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248.189.129) 조회 수 1913 댓글 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제가 얼마전에 60mm 초보자용 굴절망원경을 구입했습니다.

중국제 sunny 라는 회사에서 만든것이고 http://www.ezeus.co.kr/
에서 st60800 이라는 모델을 77000원에 구입했습니다.

관찰결과 며칠전에는 분명히 목성의 갈색 무늬 2개를 정확히 보았는데
어제 저녁(2004.04.21)에는 아무리 해도 목성이 뿌연 동그란 원반으로만
보이는 것이었습니다.

그리고 특별히 구름이 낀 것 같지는 않았는데도 하늘이 이상하게도 아주
밝고 하얗게 보였습니다.

그러면 혹시 대기권 아주 높은 곳에 엺은 구름이 끼어서 그렇게 잘 안보인
것입니까?  경험 많은 분들께 질문을 드립니다.

그리고 소구경에 비해 대구경 망원경인 경우에는 이런 날씨의 영향을 받는
정도가 다른지 궁금합니다.

즉 혹시 소구경 망원경인 경우에는 대기중에 습기나 먼지가 조금만 많아
져도 천체 관측에 심하게 영향을 받는지가 궁금합니다.

그리고 어제 날씨에 관측하신 분이 있으면 상태가 어떠했는지도 궁금
합니다.
  • 문병화 2004.04.22 13:49 (*.109.44.236)
    그렇게 보이는 경우는 두가지가 있읍니다. 보통 말씀하신경우는 렌즈에 이슬이 내린 때가 많읍니다. 혹시 렌즈를 확인해 보셨는지요. 드번째 원인은 대기의 투명도가 떨어지는 경우인데 이런날은 보통 하늘이 희뿌연 기가 확실히 느껴지지요. 보통 약간 뿌연 정도로는 상이 완전히 망가지지는 않읍니다. 그리고 구경이 크면 클수록 씨잉의 영향을 많이 받는 것은 사실입니다만 말씀하신 그런것은 씨잉이 아닙니다. 씨잉이란 상의 흔들림정도 촛점을 맞추기가 어려운 정도이지 아예 뿌옇게 보이지는 않읍니다. 아마도 눈으로 좋았는데 망원경을 보면 뿌옇게 보인다면 렌즈에 이슬이 내렸을 가능성이 많읍니다. 참고로 이슬이 많이 내리는 날은 파인더로 보아도 별이 뿌옇게 보입니다. 이는 렌즈에 내린 이슬때문일수도....확인해 보시기를 바랍니다.
  • 최승용 2004.04.23 09:52 (*.255.244.57)
    요즘 같은 봄철 그리고 중국에서 날아 오는 황사....
    하늘의 투명도는 좋지 않습니다.
    낮에는 높은 하늘의 옅은 구름이 눈으로 확인이 되지만 밤에는 목성이나 금성 또는 밝은 별은 잘 보여서 하늘이 맑을 것이라고 생각 합니다. 하지만 이런 날은 행성을 보면 초점이 맞지 않습니다.
    초보자 같은 경우에는 밤에만 하늘을 보고 날은 맑은데 보이는 것이 이상하게 보인다고 생각 할 수 있지요.
    저도 그날 관측을 했지만 도저히 초점을 잡을 수 없었습니다. 참고로 제가 사용하는 망원경은 10인치 입니다.
    이날 밤에는 이슬은 없었습니다. 다소 한기가 느껴지기는 했지만...
    투명도는 3/10, 싱은 4/10정도라고 생각 합니다.
    그럼 싱이 4/10라는 그리 나쁘지 않은 상태인데도 불구하고 초점을 잡을 수 없는 것은 무슨 이유때문일까요?
    바로 하늘이 옅은 구름으로 덮여 있다는 증거 입니다.
    싱이 6/10정도 되어도 초점이 맞지 않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문병화님 말씀처럼 광학계가 커지면 하늘의 상태에 더 민감하게 반응 합니다.
    광학계의 문제가 아니고 바로 하늘의 상태에 따른 문제이므로 다음에 날 좋으면 다시 한번 관측을 해 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즐거운 관측 하시길 바랍니다.^^

Q&A 질문과 답변

천체사진, 관측장비, 대상정보, 프로그램, 이미지 처리등에 대해 질의해봅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글을 쓰시기 전에 읽어 보세요~ NADA 2004.05.01 9585
341 보드카메라를 이용한 천체촬영용 카메라제작 메뉴얼 7 엄태준 2004.05.06 1898
340 보드카메라 개조관련 메뉴얼 등록 양해를 구합니다. 4 엄태준 2004.05.06 1930
339 [re] 박병우님께 질문입니다. 1 file 박병우 2004.05.03 2048
338 온라인 사진 성도 질문 3 이준희 2004.05.03 1813
337 박병우님께 질문입니다. 이덕수 2004.05.03 1740
336 회원분들 행성사진을보면...씨잉과 투명도가... 2 박진수 2004.05.01 3101
335 CCD의 클래스 질문 입니다. 2 박성래 2004.04.30 1819
334 토우 캠 프로의 초점조절은 어떻게 하나요?(초보) 2 이은주 2004.04.29 2037
333 반사망원경 거울코팅의 내구성 5 김청민 2004.04.29 2831
332 [re] D-SLR 구입을 하려하는데.. 고민입니다. 3 file 박병우 2004.04.26 1766
331 TC-80N3 전자릴리즈를 10D/300D 용으로 개조하기 4 정경희 2004.04.26 1826
330 요즘 토성과 화성이 안보입니다? 4 file 김청민 2004.04.26 1903
329 D-SLR 구입을 하려하는데.. 고민입니다. 19 김순완 2004.04.24 3179
328 EM200USD autoguide 단자의 입력전압? 2 신호철 2004.04.23 1972
327 안녕하세요..NADA회원분들! 부산에 혹시 계신분 있어요? 2 김세영 2004.04.23 1929
326 굴절 망원경 100mm 의 딥 스카이 관측 성능? 3 김청민 2004.04.22 4504
» 망원경 구경과 날씨와의 관계는? 2 김청민 2004.04.22 1913
324 천체 사진을 찍어보고 싶은 초보의 질문... 4 김영기 2004.04.21 1862
323 프로그램 질문입니다. 유종선 2004.04.20 1868
Board Pagination Prev 1 ...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 73 Next
/ 73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