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79.196.166) 조회 수 3838 댓글 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수정 삭제


제 이름이 들어가 있어 경면정밀도에 대해서 보조 설명합니다.

경면정밀도는 과거 미러 가공시의 경면정밀도 내용을 정리한 내용을 말하는 것같습니다. 이 내용은 적은지가 오래되서 잘 기억이 안납니다만 틀린 내용은 없을겁니다. 왜냐하면 교재를 그대로 베꼈으므로.-_-‘’

단지 파면오차(wave front error)의 개념에 대해서 추가 설명을 하고자합니다. 우리가 통상 이야기하는 1/4람다냐 또는 1/8람다냐하는 것은 파면오차(or 파면수차)를 말합니다. 여기에 대해 별친구들의 인식이 차이가 있는 것같은데 제가 생각하고 있는 파면오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만약 미러가 이론적으로 완벽한 미러라면, 미러에서 반사된 빛다발은 초점면의 한점으로 수렴을 할 것입니다. 빛은 파동이므로 미러에서 반사 회절되어 상점(像点)을 향해서 동심 구면(球面)으로 진행되어 옵니다. 결국은 초점면에서 에어리디스크라는 작은 원반을 만들게 됩니다. 이 파면은 빛의 산부분을 연결하는 파로 진행하는데 파장이 크면 에어리디스크원반도 크게 됩니다(이것은 물리책 호이겐스 원리에 의한 굴절편을 참조하세요).

그런데 미러가 완벽하지 않고 울퉁불퉁하다면 이 파면도 동심구면이 아닌 울퉁불퉁하게 진행되어 올 것입니다. 이 때 에어리디스면도 둥근원이 아닌 울퉁불퉁하게 되어 보일 것입니다. 이 때 원래 에어리디스크(참조구면)보다 제일 오차가 발생한 파면과 에어리디스크의 기준면 차이를 PV오차라고 합니다. 이 기준면 차이를 평균하고 평균과의 차이를 제곱하여 표준편차로 나타낸 것을 RMS 오차라고 합니다.

위의 그림을 보면 빛이 507나노메타이고 F4인 망원경에서 에어리디스크의 직경은 4900나노메타가 됩니다. 이 때 울퉁불퉁한 상점이 에어리디스크와 가장 차이나는 거리가 127나노메타였다면

파면 오차 = 127/507 = 1/4

즉 PV값은 1/4람다가 됩니다. 이 오차 한계가 레일리한계 분해능 각도를 볼 수 있는 한계 정밀도입니다. RMS값으로 기준하면 1/14람다 = 0.07람다 정도가 됩니다. 이 때의 광량을 본다면 레일리 원반 광량 피크치의 80%정도의 밝기가 됩니다.  

이것이 이론적으로 오차를 허용할 수 있는 미러 정밀도의 한계치입니다. 이 정도면 충분하므로 1/4람다가 ‘미러의 한계허용정밀도’로 인용되고 실제 1/4람다이면 충분합니다. 문제는 실제로 메이커에서는 과장을 많이 하고 있어 그 수치를 완전히 신뢰할 수는 없다는 점입니다. 또 반사망원경의 경우는 사경의 회절도 고려해야하고, 에어리디스크의 크기는 사경값과 중첩되므로 좀 더 엄격한 미러의 경면정밀도를 요구하게 됩니다. 그렇더라도 1/8람다이면 충분할 것입니다. 단 실제로 1/8일 때 그렇습니다.

PS)
1. 원래 파면오차(wave front error)의 정의는 렌즈(미러)에서 굴절(반사)된 빛다발이 관측자가 사출동(射出瞳)에서 볼 수 있는 파면과 참조파면의 오차임에 유의해주세요.  
2. 과거에 경면정밀도가 좋으면 좋을수록 좋다라는 의견이 많았습니다. 그러나 이론적으로 1/4람다 가공이면 레일리분해능 각도까지 충분히 관측할 수 있고, 대부분의 교재는 1/4람다를 최종 가공 미러라고 보고 데이터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3. 사진용 망원경이라면 1/4람다는 전혀 필요없습니다. 제가 사진을 찍어보니 1/2람다라도 충분하고도 남습니다. 시잉좋고 광축 잘 맞는게 좋고, 기구부가 튼튼한 제품이 좋습니다. 찍어보면 알아요~~    
4. 저도 아마추어이므로 망원경의 모든 논리를 완벽하게 소화할 여력이 없고, 검증 받은 적도 없습니다. 위의 내용도 어디까지나 제 견해이므로 다른 의견 있는 분들은 리플글로 의견을  주시기 바랍니다.
  • 남기현 2004.05.12 10:09 (*.103.12.132)
    300MM F4경통에 2.5배파워메이트를 붙여서 투유캠으로 행성사진을 찍는다면 1/4 이나 1/8람다나 별 차이 없을까요? 제가 현재 8인치SCT를 가지고 있는데 300MM F4로도 충분히 8인치SCT만큼 혹은 그 이상 행성상을 보인다면 굳이 두개의 경통을 가지고 있을 필요가 없어서 드리는 말씀입니다.
  • 황인준 2004.05.12 11:06 (*.207.96.60)
    300mm F5이상의 것이라면 절대적으로 행성사진에 C8보다는 유리할 것입니다. 고정도 광학계라면 더욱 그러하겠지요. 저는 수치나 도면으로는 설명을 못하겠는 그런 문과생 출신이지만 그냥 경험상 고정도 광학계는 특히 행성사진에서는 많은 차이를 가져온다고 믿습니다. 바꿔 얘기하면 고정도 광학계가 시상에 약간이나마 덜 영향을 받는 것 같습니다.
    일례로 일반 생산되는 양산광학계의 경우 시상이 안좋아 대기가 울렁 거릴 경우 상이 완전히 뭉개지며 촛점을 잡을 수도 없답니다. 하지만 고정도 광학계는 시상에 거슬르며 버티는 맛이 있답니다.
    물론 잘 보이구요... 행성사진에서는 특히 잘 보이는 놈이 잘 찍힙니다. 그리고 옵션중에서 주경만 1/8람다가 되더라도 썩 좋지 않은 부경에서 깍아 먹는 정밀도를 감안하면 1/4람다 짜리 보다는 훨씬 메리트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일본의 미러깍끼 명인들은 약 1/10람다까지는 성상테스트로 알아내다고 합니다. 안시할 경우는 더욱이 사용아이피스로부터 오는 상의 저하를 감안 할 경우 고정도는 이런 면에서 빛을 발합니다.
    경험치이므로 믿거나 말거나 입니다.
    좋은 선택 하시기를 바랍니다.
  • 황인준 2004.05.12 11:34 (*.207.96.60)
    이거 원 답변 해 놓고 보니 박선생님의 답변과 비교하니 무식이 팍팍 드러나네요..ㅋㅋ
    참고할만한 것이 없겠네요..
    뱅우성님 자꾸 이런 분위기로 몰고 가시면 저같은 주먹구구는 으로 답변 달기가 어렵겠습니다..꺼이꺼이 TT
  • 박병우 2004.05.12 12:26 (*.79.196.166)
    인준씨 뭘요~ 답변을 잘 하셨는데요. 전혀 이상하게 들리지 않습니다. 제 이야기는 물리적인 기준이 그렇다는 것이고요.
    .
    제가 언급한 요위의 기준을 물리적으로 ‘회절한계(diffractiton limited) 성능’이라고 합니다. 이론적으로 회절한계까지 볼 수 있는 한계점이란 뜻입니다. 그러나 인간의 눈은 회절한계보다 더 작은 각도까지 분리할 수 있다는 것이 실험적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대표적인 예가 두 점 광원이 분리되어 인식되는 각도를 실험한 ‘도스의 실험식’입니다. 즉 사람의 눈은 땅꽁처럼 중간이 완전히 분리되지 않아도 머리의 상상력에 의해 땅콩의 중간부를 분리 상상하여 양 끝단 볼록한 부위에 땅콩이 각 한개씩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이 차이에 의하여 고정밀도 미러를 아마추어들은 요구하게 되지싶습니다. 그러나 과학적으로는 이것은 실험치일 뿐이고, 더 이상의 논리전개는 힘드므로 물리적으로는 회절한계까지만 설명하고 끝냅니다.
    .
    회절한계 성능의 약점도 있습니다. 울퉁불퉁한 파면이 유독 한 곳에만 뾰쪽하게 울퉁불퉁한 경우입니다. 이것을 보완하기 위해 RMS값을 도입하기는 했습니다만 이럴 경우의 신뢰성을 보정할 방법은 없겠군요. 물론 이런 경우는 잘 없다고 생각하고 울퉁불퉁한 분포가 학교의 학생들 성적처럼 평균치를 중심으로 골고루 퍼져있다는 가정에서 합니다. 이것을 ‘가우스 분포’라고 하지 싶습니다.
    .
    그러나 아무리 미러를 잘 가공하더라도 물리적으로는 회절한계이론치 이상으로 더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다는 객관적인 보증은 할 수 없습니다.
    ......................

    사람 눈으로 ‘잘 보인다’는 상당히 감성적인 요소가 들어갑니다. 6인치 굴절망원경으로 목성 표면이 잘 보인다고 해서, 10인치 반사보다 분해능이 좋을 수 없습니다. 사람은 굴절 6인치로 목성표면의 이쁘게 보이는 것을 두고 10인치 반사보다 잘 보인다고 착각(착시)을 합니다. 또 더 많은 정보량이 보인다고 착각을 하게 됩니다.

    비유가 될지 모르겠지만 옆집에 이쁜처녀와 못난이 처녀가 살고 있다 칩시다. 이쁜처녀는 총각들이 줄을 서지만, 못난이 처녀는 따라오는 총각 한 명 없어 집에서 파리만 잡습니다. 파리를 무식한 총각들이라고 생각하면서...이것이 몸값(망원경값) 차이입니다. 냉정하게 본다면 이쁜처녀나 못난이처녀나 똑같이 눈도 두개, 코도 하나 입도 하나입니다. 즉 내가 인식하는 정보량은 같습니다. 이와같이 사람의 눈은 감성적인 요소가 다분히 들어 있다는 것을 인지할 필요가 있겠습니다.
    .........................

    행성을 촬영시는 초점길이가 늘어납니다. 같은 구경에서 초점길이가 늘어나면 필름면에 맺히는 에어리디스크의 크기도 커집니다. 이러면 회절한계치를 좀더 리얼하게 볼 수 있을 뿐이지 판독되는 정보량은 같습니다. 도스의 실험치라는 것은 어디까지나 안시 관측의 경우이기 때문입니다. 여거시 이쁘게 찍히느냐, 안 이쁘게 찍히느냐 것은 물리적으로 설명할 수 없습니다.

    촬영의 경우 변수는 훨씬 많아지고, 최종 총합해상도는 필름 해상도와 연계가 됩니다. 실제로 카메라의 경우는 회절한계성능이 전혀 필요 없고 필름면의 30마이크론 정도에서 상을 맺어줄 정도면 충분합니다. 그러므로 카메라렌즈는 매니어들 사이에서 렌즈의 경면정밀도라는 말이 거의 안 나오는 것입니다.

    천체사진을 잘 찍을려면 부지런히 나가서 시상 좋은 날 만나서 챤스를 놓치지 않고 촬영하는게 제일입니다(이것도 가우스 분포를 이루더구만요). 그런 의미에서 손쉬운 1/2람다 망원경이라도 충분하다는 뜻이지, 1/2람다가 촬영에서는 회절한계를 만족한다는 뜻은 아닙니다.

  • 황인준 2004.05.12 12:51 (*.207.96.60)
    "사람 눈으로 ‘잘 보인다’는 상당히 감성적인 요소가 들어갑니다. 6인치 굴절망원경으로 목성 표면이 잘 보인다고 해서, 10인치 반사보다 분해능이 좋을 수 없습니다. 사람은 굴절 6인치로 목성표면의 이쁘게 보이는 것을 두고 10인치 반사보다 잘 보인다고 착각(착시)을 합니다. 또 더 많은 정보량이 보인다고 착각을 하게 됩니다." ===>이 부분은 어느정도 관측 경험이 있는 사람에게는 해당이 안되는 예기입니다. 그러한 착시나 착각은 경험치가 부족할때에 생긴다고 믿습니다.. 그리고 아크로 굴절 6인치나 못난이 싸구려 아포 굴절과 초고정도 10인치의 경우라면 어떨까요? 그 반대이면 또 어떨까요?
    그래서 일단 많이 보고 찍고 즐기고 재미느끼고 또 그 과정에서 많은 것을 얻고 배우고 하는게 아마츄어 아닐까 합니다....
    너무 치열하고 너무 알려는 것에 전투적이다 보면 빨리 지치게 되기도 합니다.
    그러다 보면 이 가치있고 아름다운 취미에서 멀어지는 계기도 되며 또 많이 그런 모습을 봐 왔습니다.
    인터넷이 그 얼마나 대단히 유용한지 요즈음 논쟁도 흔하고 또한 너무도 뛰어난 사람들이 많은 것을 느끼게 됩니다.
    그럴 때 마다 나는 그 동안 뭣을 해 왔나 하는 생각도 합니다.
    이제 점점 나다는 Q&A에 답변을 다는 것이 왠만하면 힘들어지는 그런 수준이 되고 있습니다.
    그러면서 저도 각성을 합니다..
    이론적으로도 기반을 갖고 있다면 하는 바램..
    하지만 반대의 경우도 있습니다..
    실제 경험치 못한 것에 대해 이론을 바탕으로 결론을 지어버리는 경우입니다.
    그런 경우가 나다에는 거의 없지만 왕왕 다른 사이트에서 많이 보게 됩니다..
    여하간 배울 것은 많은 나다입니다.
    즐거운 취미생활이 되기 위해서는 취미답게 둥들둥글 해 지면 좋을것 같습니다.
    어릴적 등화관재때 서울 하늘에서 은하수를 보고 탄성을 지르던 그런 감상적인 별에서 점점 멀어지는 것은 아닌지.......
    비도 오고 하니 옛날 생각이 많이 납니다..
  • 황인준 2004.05.12 13:03 (*.207.96.60)
    남기현님 미안합니다. 답변하다가 완전히 삼천포로 빠졌네요..
    제가 오리온 12인치를 쓰고 있지 않다면 역시나 답변을 하지 못했을 겁니다..
    좋은 선택 있으시고 멋진 사진 찍어 사진도 올려주시고 정회원 문도 노크 하시고 그렇게 되기를 바랍니다.



  • 황인준 2004.05.12 13:04 (*.207.96.60)
    그리고 뱅우성님 내일 날이 좋다허니 영인산에 놀러오슈.. 도망가는 니트 잡아야져...^^
  • 박병우 2004.05.12 13:32 (*.79.196.166)
    그럼 영인산으로 날겠습니다요.
    .............

    제 얘기는 6인치 굴절이든 10인치 반사 두 망원경 모두 회절한계치를 만족하는 조건입니다. 이 조건을 충족하는 마당에는 6인치 굴절을 아무리 매끈하게 가공하더라도 10인치 반사 분해능을 능가할 수 없습니다. 만약 그게 가능하다면 아주 예외적인 눈을 가진 사람일겁니다.

    그리고 알면 알 수록 답변하기가 힘들어지는 것은 어느 분야나 마찬가지입니다. 모를 때는 답변도 쉽습니다. 허나 안다고 즐거움이 더 많아지는 것은 아니지요.

    저도 마찬가지였지만 천체관측기기를 접한 별친구들은 누구나 회절이 뭐니, 경면 정밀도가 뭐니 하는 용어를 접하게 되고, 궁금증을 가지게 됩니다. 남기현씨도 같은 똑같은 궁금증을 가지고 있는 사람입니다.

    저 역시 잘못된 정보를 전달하는 것을 굉장히 두려워하는 사람입니다. 실컷 시간을 내서 글을 적어 올렸는데 그것이 엉터리였다면 그야말로 손실이기 때문입니다. 한편 이것은 제 명예에 관련된 것이기도 합니다. 대한민국은 좁아서 박병우라는 사람이 뭣하고 살아온 사람인지 뒷 조사해 볼려면 누구나 10분이면 알아볼 수 있습니다. 흥신소에 맡기면 10분이면 제 일생의 모든 데이터가 다 나올겁니다.

    저는 이 글을 보시는 여러분들이 될 수 있는 한 탐구하시기를 바라고 또 그것을 장려하고 싶습니다. 그렇다고 만날 책상에 앉아서 탐구만하라는 것은 아니고요. 이것이 현업과 관련없다하더라도 그 정신은 그대로 현업에도 적용될 수 있지 않겠습니까. 교재를 보고 따져보는 것을 딱딱하다고만 생각을 마시고요. 남기현씨는 제가 적은 경면정밀도 내용이 어려웠다라고 했는데, 적어도 나다홈페이지에서 제가 인용한 기술적인 내용중에서는 어려운게 없답니다. 대한민국 성인의 평균 학력 수준이라면 그냥 차분히 보고 따져보면 이해를 할 수 있답니다. 이 점을 정말 강조하고 싶습니다.


Q&A 질문과 답변

천체사진, 관측장비, 대상정보, 프로그램, 이미지 처리등에 대해 질의해봅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글을 쓰시기 전에 읽어 보세요~ NADA 2004.05.01 10049
362 [re] C14와 C11 리듀서 이건호 2004.05.15 1978
361 GIRO-MINI 경위대 써보신분 평가 좀 부탁드리겠습니다. 11 엄태준 2004.05.15 2239
360 C14와 C11 F수 낮추는 법 질문 이상렬 2004.05.14 1868
359 더 스카이라는 프로그램에 대해서 2 이성후 2004.05.14 1824
358 입문용 저가의 적도의 소개부탁드립니다. 2 허준성 2004.05.13 2145
357 CCD Autoguide에 관해서 2 오정식 2004.05.13 1794
356 [re] 오리온 뉴튼 반사 질문입니다. 2 김명중 2004.05.12 1935
355 CCD카메라 이미지크기 조절을 위한 계산기 5 엄태준 2004.05.12 2269
354 [re] 질문) SKY 90 / SCT 9.25 사진촬영 ? 1 이준희 2004.05.12 2726
353 [re] 파면 오차에 대하여 2 이준희 2004.05.12 2988
352 [re] 장시간 노출 사진과 안시에 대하여.. 1 file 김동빈 2004.05.12 1904
» [re] 오리온 뉴튼 반사 질문입니다. 8 file 박병우 2004.05.12 3838
350 오리온 뉴튼 반사 질문입니다. 8 남기현 2004.05.11 1949
349 장시간 노출 사진과 안시에 대하여.. 4 최성우 2004.05.11 2048
348 [re] 질문) SKY 90 / SCT 9.25 사진촬영 ? 이건호 2004.05.11 1927
347 질문) SKY 90 / SCT 9.25 사진촬영 ? 1 신병석 2004.05.09 2132
346 [re] 300D와 lens 에 관란 질문 박성래 2004.05.08 1887
345 300D와 lens 에 관란 질문 1 김순완 2004.05.08 1903
344 [re] 혜성 촬영 언제까지 가능한가요,..? 1 박병우 2004.05.07 1934
343 혜성 촬영 언제까지 가능한가요,..? 1 김순완 2004.05.07 2001
Board Pagination Prev 1 ...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 73 Next
/ 73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