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축 맞춤의 이론치와 실제 3
NJP 가대로 지방항성시 입력에 의한 극축 맞춤 결과의 100% 확대 사진을 보여드리겠습니다. 어느 정도가 별이 흐른 것인지 기준도 다를 것이므로 제가 생각하는 기준은 이렇습니다. 사진을 올리려고 검색해보니 별이 흐른 것은 모두 휴지통에 들어간지라 남아 있는 것 중에서 올립니다.
이건 M82 모습입니다. 100% 확대시의 크기입니다. 노출시간은 280초이므로 대략 5분 정도입니다. 과거 사진을 찍을 때 기본으로 300분을 세팅하고 먼저 찍었습니다. 280초를 준 것은 300초가 노이즈가 많아서 시간을 조금 짧게 주었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300초이던 280초이던 별이 흐르는 차이는 별 없었습니다. 이 정도 수준이면 ‘별이 흐르지 않았다’라고 가정했습니다. 이준화님이 올리신 M82의 경우 초점거리가 제 것의 대략 1/2이므로 이 점을 고려하여 참조하시면 되겠습니다.
이것은 남위 26도의 M4 구상성단입니다. 노출시간은 234초 대략 4분입니다. 역시 노이즈 문제로 시간이 줄었다고 생각합니다. 여기서는 별이 약간 흐른 것이 ‘확인’ 가능합니다.
M5 구상성단은 딱 적도 위치입니다. 노출시간은 255초입니다. 여기서는 별이 흐르기도 흘렀지만 바닥 진동이 있는 걸 알 수있습니다. 바닥 진동의 영향의 크다는 것을 알고부터는 망원경을 지상으로 내릴 궁리를 하게됩니다.
..................
제 가대가 메이커측의 사용설명서대로 맞추었다고 가정아래 생각하면 결론은 이렇습니다. 어제 말한 내용과 같습니다.
‘NJP 가대에서 5분 노출시 별이 흐른 양은 (6인치 굴절 망원경으로) 디지털 카메라로 5분간 직초점 촬영해서 100% 확대시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정도이다’.
이론식에서는 5분 노출을 할 경우 2분각의 정도(精度)를 가정하면 흐름양 ‘제로’에 근접하게 되어 있지만 그렇지는 않고, 위와 같은 흐름 정도가 나옵니다. 이 정도의 흐름을 저는 눈으로 ‘확인 가능한 정도의 흐름’이라고 이야기한 것입니다. 다른 가대는 5분 노출시 1200mm 초점거리를 가정하여 100% 확대할시 어느 정도 흐르는지 정말 궁금합니다요.
이 흐름의 양이 궁금하여 사진을 찍자말자 자료를 보았습니다. 그 내용이 요 아래 설명한 내용입니다. 그 때 한번 정리해서 올려 공유하려다 그만두었는데, 그 이유는 저는 수식의 개념을 보고 눈치껏 간이적으로 계산을 하여 추정하는 스타일이고(눈치를 채신 분도 계시겠지만), 또 임의적으로 간이식을 만들기도 하여 검토하는 꼼수를 부리기도 하므로, 공식적으로 올리기는 부담스러워 올리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결론은 쉽게 추정이 가능했고, 이 정도의 흐름양을 메이커에서 개런티하구나 느낌이 왔습니다.
그래서 사용설명서대로 세팅하라고 한 것이고, 어차피 사진촬영을 위한 극축 세팅이라면 번거로운 것은 어느 방법이던 마찬가지 아닙니까? 안시 관망의 경우에는 조견판으로도 충분하고도 남지요.
분명한 것은 이제까지 얘기한대로 조견판의 오차는 그 양만큼 그대로 사진에 나타나게 되어있습니다. 그 것을 관용하는 관용 폭은 사람마다 다르기는 합니다만....
따라서 메이커에서 제공하는 기준대로 ‘기본에 철저하게’ 세팅하라는 말을 할 수밖에 없는겁니다. 지는 기본을 지키는 것에는 아주 고지식하게 고수하려고 하는 편이라, 다른 것은 생각하지 않는 스타일이긴 합니다.
NJP 가대로 지방항성시 입력에 의한 극축 맞춤 결과의 100% 확대 사진을 보여드리겠습니다. 어느 정도가 별이 흐른 것인지 기준도 다를 것이므로 제가 생각하는 기준은 이렇습니다. 사진을 올리려고 검색해보니 별이 흐른 것은 모두 휴지통에 들어간지라 남아 있는 것 중에서 올립니다.
이건 M82 모습입니다. 100% 확대시의 크기입니다. 노출시간은 280초이므로 대략 5분 정도입니다. 과거 사진을 찍을 때 기본으로 300분을 세팅하고 먼저 찍었습니다. 280초를 준 것은 300초가 노이즈가 많아서 시간을 조금 짧게 주었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300초이던 280초이던 별이 흐르는 차이는 별 없었습니다. 이 정도 수준이면 ‘별이 흐르지 않았다’라고 가정했습니다. 이준화님이 올리신 M82의 경우 초점거리가 제 것의 대략 1/2이므로 이 점을 고려하여 참조하시면 되겠습니다.
이것은 남위 26도의 M4 구상성단입니다. 노출시간은 234초 대략 4분입니다. 역시 노이즈 문제로 시간이 줄었다고 생각합니다. 여기서는 별이 약간 흐른 것이 ‘확인’ 가능합니다.
M5 구상성단은 딱 적도 위치입니다. 노출시간은 255초입니다. 여기서는 별이 흐르기도 흘렀지만 바닥 진동이 있는 걸 알 수있습니다. 바닥 진동의 영향의 크다는 것을 알고부터는 망원경을 지상으로 내릴 궁리를 하게됩니다.
..................
제 가대가 메이커측의 사용설명서대로 맞추었다고 가정아래 생각하면 결론은 이렇습니다. 어제 말한 내용과 같습니다.
‘NJP 가대에서 5분 노출시 별이 흐른 양은 (6인치 굴절 망원경으로) 디지털 카메라로 5분간 직초점 촬영해서 100% 확대시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정도이다’.
이론식에서는 5분 노출을 할 경우 2분각의 정도(精度)를 가정하면 흐름양 ‘제로’에 근접하게 되어 있지만 그렇지는 않고, 위와 같은 흐름 정도가 나옵니다. 이 정도의 흐름을 저는 눈으로 ‘확인 가능한 정도의 흐름’이라고 이야기한 것입니다. 다른 가대는 5분 노출시 1200mm 초점거리를 가정하여 100% 확대할시 어느 정도 흐르는지 정말 궁금합니다요.
이 흐름의 양이 궁금하여 사진을 찍자말자 자료를 보았습니다. 그 내용이 요 아래 설명한 내용입니다. 그 때 한번 정리해서 올려 공유하려다 그만두었는데, 그 이유는 저는 수식의 개념을 보고 눈치껏 간이적으로 계산을 하여 추정하는 스타일이고(눈치를 채신 분도 계시겠지만), 또 임의적으로 간이식을 만들기도 하여 검토하는 꼼수를 부리기도 하므로, 공식적으로 올리기는 부담스러워 올리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결론은 쉽게 추정이 가능했고, 이 정도의 흐름양을 메이커에서 개런티하구나 느낌이 왔습니다.
그래서 사용설명서대로 세팅하라고 한 것이고, 어차피 사진촬영을 위한 극축 세팅이라면 번거로운 것은 어느 방법이던 마찬가지 아닙니까? 안시 관망의 경우에는 조견판으로도 충분하고도 남지요.
분명한 것은 이제까지 얘기한대로 조견판의 오차는 그 양만큼 그대로 사진에 나타나게 되어있습니다. 그 것을 관용하는 관용 폭은 사람마다 다르기는 합니다만....
따라서 메이커에서 제공하는 기준대로 ‘기본에 철저하게’ 세팅하라는 말을 할 수밖에 없는겁니다. 지는 기본을 지키는 것에는 아주 고지식하게 고수하려고 하는 편이라, 다른 것은 생각하지 않는 스타일이긴 합니다.
분명히, 박병우님께서 사용하시는 방법은 올바른 방법입니다. 극축또한 잘맞아있고, 예전에도 말씀드린것처럼 사진도 흐르지 않고 잘찍혀 있습니다.
혹시나, 제 덧글에 대해서 오해하실까봐, 말씀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