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148.181.28) 조회 수 2147 댓글 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안녕하세요.

촬영용 장비 찾기 위해 대충 둘러보다 보니 DSLR중에 350D가 눈에 들어오는군요.

그런데 냉각CCD 사용하시는 분들 보면 LRGB 각각 촬영해서
합성하시는 방법을 이용하는데
문득 LRGB 합성을 하는 이유가 궁금해지네요.

그냥 대충 알고 있기로는 이미지의 품질을 높이기 위함인데
그러면 LRGB 합성을 하지 못하는(?) DSLR은 그런 면에서 불리하지 않은가 합니다.

그리고 DSLR(350D)이 냉각CCD에 비해서 유리한 점이 뭐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제가 알고 있기로는 냉각 가능하게 개조해도 가격이 유리하고, 화소크기 및 해상도등에서 월등한 듯 한데...
단점이라면 어떤것들이 있을까요?
CMOS 사용? 합성 가능 유무 등....

조언 부탁드립니다.
  • 임종필 2006.07.21 23:59 (*.254.112.9)
    아주가장기본적인 노출시간에따른 노이즈때문이 아닐까요? 저도 잘은 모르겠지만 그게 표면적으로 큰거 같아요
  • 최훈옥 2006.07.22 10:02 (*.179.205.243)
    냉각 CCD는 한개의 CCD입자엔 한개의 영역의 빛밖에 받아들이지 못합니다(원샷 CCD도 있긴합니다만).DSLR은 한개의 입자에 RGGB의 영역의 빛을 받아들여서 한장만으로도 사진이 나옵니다.
    그리고 DSLR카메라로도 LRGB촬영이 가능합니다(촬영한 사진을 다시 분리해서)
    DSLR이 냉각CCD보다 유리한점은....저렴한가격,간단한 촬영...정도 말고는 없을것 같습니다.
    QE도 딸리고...냉각개조자체도 쉽지않고...화소크기도 냉각 CCD보다 작고......
    일단 워크샵 자료를 잘 검토해보시면 좋을것 같습니다.질문하신 내용 대다수가 워크샵에 나왔던 내용이네요
  • 윤영훈 2006.07.22 10:54 (*.148.181.28)
    앗... 그런 자료가 있었군요.
    저는 게시판만 뒤져본지라...
    워크샵 자료 보면서 공부좀 많이 해봐야겠네요.
    두분 답변 감사합니다.
  • 박성준 2006.07.23 00:14 (*.130.101.106)
    흠...전 DSLR 유저입니다..냉각 CCD를 사용해본적은 없습니다만...제가 알기론...빛의 3성분인 Red, Green, Blue는 미세하게 맺히는 초점의 위치가 다릅니다. 그래서, R, G, B 별로 따로 초점을 맞춰서 RGB합성을 하는것이죠...RGB 통합형으로 나온 냉각 CCD도 있겠지만, 초점의 미세한 outfocus가 일어나겠죠...


    그리고, DSLR의 장점은 편리성과 사용하기 쉬운점이 아닐까 싶습니다. 그 어떤 무엇도, 냉각 CCD를 능가하지 못할거 같습니다. RGB 통합형이고, 노이즈가 많아서 장기노출이 힘들고....
  • 이건호 2006.07.24 09:05 (*.101.107.100)
    냉각흑백CCD로 L,RGB합성을 하는 근본적인 이유는 RGB촬영시보다 노출시간을 단축하고도 퀄리티가 비슷하거나 더 좋은 사진을 얻을 수 있기때문입니다.
    답글이외의 DSLR 의 추가적인 장점이이라면 이동(혜성, 궤적을 그리는, 일주 등)천체를 촬영할때 색이 분리가 안되는 장점이 있더군요.
  • 윤영훈 2006.07.24 19:07 (*.148.181.28)
    박성준님, 이건호님... 답변 감사합니다.
    얼른 공부도 하고 장비도 사서 되던 안되던 도전해보고 싶네요.
  • 아무게 2006.09.04 18:00 (*.235.53.92)
    1shot full color 류들은 CCD(혹은 Cmos) 각 픽셀이 RGB고유값을 추출하지 않고 딱 한 종류의 컬러만 추출합니다. 나머지 컬러는 주변에 붙어있는 픽셀에서 끌어와 합성하는 알고리즙을 쓰죠

    이것의 장점은 저렴한 단가로 color표현이 가능하다는 것이고 단점은 각 픽셀이 한가지의 컬러만을 지니기때문에 예리하게 사진을 뽑아낼수 없다는 것이죠

    반면 흑백 CCD에 RGB필터를 이용해서 합성하는 방식은 각 픽셀에 RGB값을 모두 읽어올수 있기때문에 이상적으론 CCD 한개의 픽셀에서 RGB값을 모두 읽어올수 있어 예리한 사진을 찍을수 있죠
    다만 대기상의 불안정으로 RGBL를 각각 찍는다 해도 그 화상이 완벽하게 일치하지 않는이상 아무리 좋은 알고리즘을 적용하더라도 사진을 예리하게 뽑아내긴 힘듭니다.

    이러한 단점을 제대로 보안한것이 3CCD방식의 Eng급 무비 카메라들이 있죠.
    RGB를 3개의 CCD로 분할해서 동일 시간에 캡춰하는 방식이라 시차에 따른 화질 변화로 생기는 오류도 없을뿐더라 일반 컬러CCD같이 색을 합성하는 방식때문에 생기는 블로어도 없습니다.

    단 이렇게 하면 상당히 고가가 되며
    하늘에 있는 별들의 컬러보다는 광 스팩트럼으로 분석하는것이 여러모로 유리하기때문에
    3CCD를 구지 쓸 필요는 없을거란 생각입니다.

    아마도 24mm정방형 CCD를 3CCD로 만들면
    왠만한 6인치 아포 굴절보다 비싸질성 싶네요. -.,-;;

    냉각이란것은 반도체 소자가 열에 따라 특성이 바뀌는데 열이 올라갈수록 s/n(신호대 잡음비)비가 올라가서 핫픽셀이 많이 생기죠.
    이러한 문제점을 제거하기 위해서 부가적으로 달려있는 장비쯤으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Q&A 질문과 답변

천체사진, 관측장비, 대상정보, 프로그램, 이미지 처리등에 대해 질의해봅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글을 쓰시기 전에 읽어 보세요~ NADA 2004.05.01 9585
1042 천체 관측과 직접 관련은 없지만 IR cut-off 필터에 대해 문의 드립니다. 1 류승완 2006.08.28 2354
1041 dslr로 관측을 시작하려면... 2 조현웅 2006.08.25 2593
1040 C14의 경통 직경이 얼마인가요? 2 이건호 2006.08.25 2553
1039 가이드경 미동운대 문의 드립니다. 8 정순원 2006.08.24 2732
1038 제 MaxIm DL 은 통....당췌.. ㅠ.ㅠ 18 송준엽 2006.08.23 2900
1037 슈미트... 3 경민 2006.08.22 2137
1036 행성촬영용으로 Televue Pronto를 사려고 하는데 의견좀 7 김경호 2006.08.21 2679
1035 배율과 환산화각에 대한 질문입니다. 2 file 이상훈 2006.08.17 2678
1034 부디 고슈님들의 많은 충고 간섭 부탁드립니다. - 망원경선택 9 이경성 2006.08.16 2383
1033 포토샾에서 모자이크는 어떻게 하는지요. 2 김정호 2006.08.08 2469
1032 혜성인가요? 6 file 정지수 2006.08.08 2036
1031 MAXIM DL 에서 DSLR 촬영시 c/f 에 저장할때.. 2 박재기 2006.08.07 2090
1030 장비선택 조언 부탁드립니다. 3 임상익 2006.08.06 2393
1029 적도의에 사용할 원형 수평기 판매처좀 알고싶습니다. ? 3 오동혁 2006.08.03 2012
1028 화학산 헬기장 가는 법좀 알려주세요? 3 오동혁 2006.08.02 3510
1027 [질문] 더스트 커버 주문 제작 2 윤홍선 2006.07.30 2248
1026 스펙에 보면 350d w/o 라고 있는데 w/o가 뭐죠? 3 김정호 2006.07.25 2184
1025 행성촬영 할때 극축? 4 김경호 2006.07.23 2757
» 냉각CCD와 DSLR 비교 질문 7 윤영훈 2006.07.21 2147
1023 ToUcam 어댑터 질문 4 김경호 2006.07.18 2046
Board Pagination Prev 1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 73 Next
/ 73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