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73.92.234) 조회 수 2378 댓글 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여러분들의 도움으로 stl-11000의 처녀작(?)을 찍을 수 있었습니다.
밑의 제 글에서 가이드의 실패의 원인이라고 생각한 것은 전혀 다른 문제에 있었습니다.
제 망원경이 TMB 6인데 Pentax 67 만을 연결할 수 있는 Field Flattener가 같이 있습니다. 물론 구입 당시 전 CCD에 관심이 없었기 때문에 그냥 지나갔었습니다. CCD를 구입하고는 당장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그냥 직초점 혹은 Barllow를 넣고 찍어봤습니다.
그저께 밤에 촬영한 사진을 자세히 보니 그런 현상은 가이드 실패가 아니라 CCD 사이즈가 너무 커서 발생한 현상이었습니다. 촬영한 사진의 네 모퉁이를 조사해보니 네 모퉁이의 별상들이 모두 중심을 향해 흐른 모습이었습니다.
그걸 알고 나서 제가 얼마나 바보같던지....^^
빨리 어댑터 하나를 만들어야겠습니다.

이미지, 다크, 바이어스, 플랫까지 모두 찍어 지금 이미지처리 대기 중입니다. 실망스러운 점은 TMB 6인치로는 M51 정도 크기의 대상도 제대로 찍을 수 없다는 점입니다. 대구경에 긴 초점거리 망원경이 하나 쯤은 있어야 한다는 것을 느꼈습니다. RC는 많이 비싸겠지요? ^^

두가지 정도 의문나는 것이 있어서 다시 질문을 드립니다.

플랫 필드의 촬영은 참으로 여러 방법이 소개되어 있어서 좀 헷갈립니다.
사진 작업을 위해 사 두었던 마틴 11x14인치 뷰박스를 이용하여 플랫을 시도했습니다. 망원경을 거의 수평으로 하고 (망원경의 높이는 약 1900mm 정도), 400mm 높이의 의자 위에 뷰박스를 올려놓고 보니 빛이 너무 밝은 것 같다는 느낌이 들어 망원경 후드는 이건호님인가 사용하셨다는 런닝셔츠(이것도 헌 것임^^)를 덮고 고무줄로 잘 당겨서 주름이 없게 펴서 고정하고 망원경 앞에서 2절지 크기의 하드보드지(뒷면이 흰색)을 45도 각도로 들고 노출은 1초 정도 주었습니다.

일단 제 눈에는 다른 분들이 찍어 놓은 플랫필드 이미지처럼 보이는 것 같아 노출 시간은 결정했는데.... 이것도 맞는 것인지 모르겠습니다.

질문 1>> 플랫 필드를 촬영하는 쉬운 방법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HOW TO에서 보면 여러 시도를 하셨던 걸로 알고 있는데 요즈음에는 어떤 방법을 선호하시는지요...? 참고로 전 집에서만 촬영을 합니다.

질문 2>> 플랫 필드 이미지를 보니 그리 심하지는 않습니다만 네 귀퉁이에 마치 망원경 후드에 의한 비네팅처럼 원 모양으로 잘려나간 듯한 상을 보여주는데 그 원인이 무엇일까요? TMB 6이 Pentax 67의 이미지를 잡을 정도라면 이런 현상은 나타나지 않아야 하는 것 아닐까요? 상대적으로 stl의 CCD 사이즈는 작으니까 말입니다. 참고로 전 아직 Pentax 67로 사진을 안 찍어봤습니다.^^ 스타리랜드 김정현씨의 말로는 광원이 너무 가까워서 생긴 것 같다는데... 그리고 Pentax 67도 비네팅이 원 모양은 아니지만 카메라 바디에 의한 것은 어쩔 수 없다고 하더군요. 그래서 이준희님께서는 67판 카메라를 제작 중이시라고도 들었습니다.
  • 김형근 2005.05.06 14:41 (*.73.92.234)
    정확히 이준희님인지 이준화님인지 좀 헷갈립니다. 제가 잘못 안 것이라면 양해하시기 바랍니다. ^^
  • 이준희 2005.05.06 15:00 (*.111.41.48)
    저와 이준화 교수님이 이름이 비슷해서 혼동하시는 경우가 많더군요. 저는 67 필름 사진만 찍고, 이준화 교수님은 CCD 사진만 찍으십니다. STL 11K 로 찍은 플랫 프레임에 비네팅이 있다고 하셨는데, 아마 광학계의 미세한 비네팅이 확대되어 보이는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플랫 프레임을 맥심 같은 데 띄워 놓고 white point 와 black point 를 조절해 보시기 바랍니다. 어떻게 보이는지 아실 수 있을 겁니다. 비네팅이 있다 해도 최종 찍은 사진에는 영향이 없을 것입니다.
  • 박영식 2005.05.06 15:09 (*.219.33.111)
    1) flat image는 sky flat이 가장 좋습니다...
    무한대? 광원이므로... 광학계가 찍은 그대로 두시고, 새벽, 혹은 저녁 sky flat을 찍으세요...
    16bit 이니까 전체적인 레벨이 30,000~40,000ADU 정도 나오게 찍으시면 됩니다.
    물론 sky 밝기가 시시각각 변하므로 노출시간을 변경하시면서 찍으시면 되구요...
    한번만 찍어보시면 쉽게 찍으실 수 있을듯 합니다.

    flat image도 역시 combine 해서 사용해야하므로 최소3장이상을 찍으셔야 합니다.

    저녁에는 하늘이 밝으므로, B filter부터 찍으시고, V, R 순으로 찍으시면되고,
    새벽에는 반대로 점점 밝아지는 상황이므로...
    R부터 찍으시고, V, B 순으로 찍으시면 됩니다.
    중간에 좀 버벅대면 flat time을 놓칠 수도 있는데, 이럴때는 전날 찍어놓은 것을 슬쩍 끼워넣어서 combine 해서 사용하시면 됩니다.

    2) sky flat을 찍어보시고 똑같은 현상이 나타나면...
    그다음엔 후드를 떼고 찍어보시고...
    그래도 그 현상이 나타나면...
    STL-11K의 접안부? 장착 부분에의한 비네팅으로 생각됩니다.. ^^
    한번찍어보세요...
  • 이건호 2005.05.06 15:35 (*.101.107.100)
    이제 본격 가동에 들어가시는군요. 축하드리구요...

    CCD면적이 넓으니 플래트너도 얼른 다시구요... ^^
    박영식님 말씀대로 플랫은 스카이플랫이 제일 좋았습니다. 하지만 처음엔 이거 찍기 어렵습니다만 몇번 버벅거리면 숙달이 됩니다.
    저는 요즘, 박명전후로 천정을 향해 놓고 망원경 추적모터를 정지시킨다음 플랫을 5장 찍어 미디언컴바인합니다. 그러면 별들이 플랫에 안찍힙니다.

    스카이 플랫 안 찍었을때는 티셔츠 플랫을 씁니다.

    네 귀탱이 감광은 STL의 2인치 접안부에서 생깁니다. 제대로 하려면 STL 2인치 접안부 대신 더 넓은 것으로 개조해서 찍으면 되는데... 우선 플랫으로 처리하셔도 눈에 띄게 나쁘지 않을 것 같습니다.

    M51이 작게 나오는 것은 작은 대상을 찍어서 그렇습니다. 너무 당연한 이야기이죠 ^^; 넓은 성운 성단을 촬영하면 아주 멋진 이미지를 얻으실 수 있을겁니다.
  • 김형근 2005.05.06 17:05 (*.73.92.234)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궁금한 게 또 하나 있습니다.

    ....
    ....

    도대체 일들은 언제 하시나요? ^^
    전 노가다라서 정말로 여기 들어오려면 왔다갔다 여러번 해야 하는데....ㅎㅎ

    이렇게 빠른 답변들이 올라오는 것을 보면 아예 이 일에만 매달려 사시는 분들 같아서 말입니다. ㅎㅎ
    열정을 여기에 쏟아붓고 계신 것 같아 존경스럽기도 하고 부럽습니다.

    NADA가 여러분들과 함께 영원히 번창해지길 기원합니다.
  • 이건호 2005.05.06 22:14 (*.120.233.189)
    일들을 언제 할까요??
    최소 일안한다 ~~에서부터~~ 최대 여기 들어와 있는 하루 30여분을 제외하고 죙일 일만 한다.ㅎㅎ
    너무 심오한 질문인 듯합니다. ^^
  • 박영식 2005.05.06 23:03 (*.85.205.203)
    글쎄요... 일을 안하고 나다 홈피만 보고있을순 없구요... ^^
    일하다 나다홈피 띠워놓고... 새로운 글이나 이미지가 올라왔는지 보고... 없으면 창 다시 닫고... 하는데 5초면 되지 않나요? ^^
    새글이나 이미지가 있으면 쭉 훑어보고... 답글달고... 2분이면 되지않을까 합니다. ^^

Q&A 질문과 답변

천체사진, 관측장비, 대상정보, 프로그램, 이미지 처리등에 대해 질의해봅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글을 쓰시기 전에 읽어 보세요~ NADA 2004.05.01 9585
662 정식 회원 가입 절차를 알고 싶어요~ 3 김지은 2005.05.14 2260
661 돕소니안 제품 질문입니다. 2 박정민 2005.05.13 1750
660 자작할때 어떤 경통 재료가 적당할지.......... 3 이장원 2005.05.12 1779
659 판별부탁드립니다..; 2 박재현 2005.05.11 2245
658 구경비에 대해 궁금한 점 3 박정민 2005.05.11 1732
657 The sky 에서 em200 연결 에러~ 2 신병석 2005.05.10 1881
656 sky and telescope 잡지를 구독하고 싶은데요 김경훈 2005.05.09 1842
655 볼헤드 추천! 3 이용주 2005.05.09 1996
654 비축가이드시스템으로 천체사진찍는데 괜찮을지요...? 1 오동혁 2005.05.08 2321
» 플랫 필드에 대한 질문 2가지 7 김형근 2005.05.06 2378
652 다카하시 제품 질문입니다. 3 박정민 2005.05.06 2069
651 [질문]STL-11K 테스트 중에 이상한 일이 일어났습니다. 10 file 김형근 2005.05.04 2580
650 케논 70~200 f2.8 렌즈 질문 입니다 3 여상욱 2005.05.03 2511
649 2모델중 천체사진에 맞는 dslr 추천부탁드립니다. 4 오동혁 2005.05.01 1986
648 웹캠 망원경 연결 방법에 대해서 궁금한데요. 4 이중연 2005.05.01 2310
647 캐논 EF 70-200mm F2.8L 에 대하여... 9 김일순 2005.04.29 2517
646 사진촬영을 위한 카메라나 ccd 문의 드립니다. 어떤것이 적당할찌. 9 임종필 2005.04.28 2063
645 안녕하세요~ 궁금한 것이 있어서 글을 올립니다. 1 김현준 2005.04.28 1970
644 여긴 공해가 좀 심한 곳인데요. 심히 걱정되는군요. 3 박정민 2005.04.27 1827
643 심각한 질문입니다. 4 박정민 2005.04.27 1736
Board Pagination Prev 1 ...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 73 Next
/ 73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