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2004.02.10 23:40

스케치연습(M51)

(*.187.160.53) 조회 수 1048 추천 수 52 댓글 1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수정 삭제


컴퓨터와 스케너를 새로 장만 했습니다.
모든 시스템을 연결하고 원본을 스켄한 후 포샵으로 다듬었는데
생각대로 되지 않고 정말 어렵단걸 느낍니다.
연필선이 강하면 느낌이 안오고 부드럽게 하면 구름같아 보여서
어찌해야 될지 아직 모르겠습니다.
새로 산 LCD 모니터가 너무 밝아  농담을 결정하기도 힘들고...
장비가 오기 전 까지 아무래도 좀 더 연구를 해 봐야 겠습니다.
  • 이준희 2004.02.11 07:40 (*.111.41.101)
    스케치 실력이 대단하십니다. 가능하다면 관측 장비와 장소, 기록 등을 올려 주시고, 반전하기 전의 원본 스캔도 올려 주시면 안될까요?
  • 박정용 2004.02.11 09:02 (*.181.18.130)
    이준희씨 안녕하세요~ 일전에 분당에서 혼자 남아 관측하시는데 먼저 자리를 뜨게 되어서 죄송했습니다. 본격적인 관측에 들어가면 그렇게 하도록 하겠습니다.
  • 이경화 2004.02.11 11:02 (*.253.39.59)
    와! 대단합니다. 글과 꽃사진을 통해서도 감성이 풍부하신 분이라 생각했었는데, 스케치라곤 하기엔 믿을수 없을만큼 굉장한 작품이네요. 화구는 주로 무얼 쓰시고, 어떻게 처리하시나요? 설사 그런걸 다 안다해도 누구나 따라할수있는 경지를 넘어서신것 같지만요. 기대가 됩니다.
  • 황인준 2004.02.11 11:35 (*.204.207.47)
    스케치를 스캔 떠서 포토샵 처리라... 새로운 시도로군요..
    하지만 거친 듯이 터치가 살아있는 것도 같이 올려주시면 더 재미있을 것 같습니다.
  • 김영혜 2004.02.11 12:47 (*.125.37.119)
    정말 부럽습니다. 이렇게 근사한 스케치를 하시다니요...
  • 박정용 2004.02.11 12:54 (*.181.18.130)
    지금 공부하고 있는 방법은 망원경을 통해서 정확히 보고, 본대로 그리고, 지우고, 두드리고, 뭉개고, 엑센트를 주는 것 정도 이구요~ 준비물로는 목탄, 목탄가루, 솜, 연필, 연필지우개, 뽁뽁이, 부드럽고 거친 붓 두자루, 화장지, 작은 분무기, 받침유리, 사각이나 원형 구멍난 검정마분지, 작은 램프, 유리받침과 마분지와 손으로 가볍게 누르는 힘을 지탱한 지지대. 등등..이 아닐까 합니다.
    행성이나 달 같이 질감이 좋은 것은 생생한 연필자국이 있는것도 기분이 좋은데 은하나 성운은 아련하고 신비로운 빛을 연필선을 가지고 표현하기는 너무나 어려운것 같습니다...이상은 저만의 생각 입니다. 혹 달리 생각하고 다른 방법으로 시도 하시는분들도 많으리라 생각합니다. ^^
  • 최승용 2004.02.11 12:59 (*.187.167.129)
    멋진 모습이네요.
    스케치도 어려운 분야임이 분명 합니다.
    관측 실력도 있어야 하겠구요.
    이제 장비만 들어 오면 멋진 스케치가 나오겠군요.^^
  • 배철균 2004.02.11 18:46 (*.96.6.59)
    안산에는 행성사진 베테랑과 안시 베테랑 두분이 계십니다. 그리고 초짜도 한명있습니다.^^
  • 김영재 2004.02.12 09:28 (*.251.197.105)
    이제 안산이 뜨고 있군요..ㅎㅎ
  • 윤정한 2004.02.12 22:37 (*.220.156.156)
    안녕하세요. 참으로 놀랍고도 훌륭한 스케치네요.
    저도 안시관측과 스케치에는 약간의 관심이 있습니다만, 여태껏 제가 그린 것들이 부끄러울 정도로 잘 그리셨네요.
    잘 감상하였구요. 앞으로도 좋은 작품 기대하겠습니다.
    (그런데, 어떤 장비를 사용하여 그리셨는지 궁금합니다. 나선팔의 굽이치는 모습이나 나선팔 내부의 dark lane과 그 굴곡, 그리고 은하 내부의 어두운 별들(17등성 미만의 별들)까지 그려져 있는 것을 보면, 거의 미터급 천문대 장비를 사용하신것 같네요)
  • 박정용 2004.02.13 08:45 (*.181.18.130)
    안녕하세요~ 윤정한님.
    위의 그림은 미터급 망원경이 아니라 단지 종이 망원경을 사용하여 스케치 방법이나 디테일 표현, 농담의 결정 등등 을 본격적인 관측에 앞서 시험해 본 연습의 결과물일 뿐입니다.^^
    앞으로 사용하게될 장비는 C14가 될것 같구요~ 아직 망원경은 오지 상태입니다.
    종이 망원경이란~ 그냥 모니터에 올려진 사진을 보고 스케치 하면 밝기가 너무 밝고 화려하여 안시로 보는 느낌이 도저히 나지 않아서 종이컵 안쪽에 매직으로 검게 칠하고 컵 아래부분 중심에 바늘구멍(0.01mm : 작을수록 좋음)을 뚫어 모니터에 올려진 좋은 사진을 바늘구멍을 통해보면서 연습한 것 입니다. 이때 컵의 바닥면이 눈쪽으로, 즉 바늘구멍이 아이피스가 되어야 합니다.
    연습한 원본이 사진이다 보니 박진감 넘치는 그림이 되어서 오해을 살만 했습니다. ^^
    (연습이라 했으니 괜찮을 거라 생각했는데..ㅎ
    위 그림은 사진을 보고 그린것임을 알립니다.)
  • 박정용 2004.02.13 08:50 (*.181.18.130)
    아직 망원경은 오지 상태---> 아직 망원경은 오지 않은 상태로 고칩니다.
  • 윤정한 2004.02.13 09:41 (*.241.146.3)
    아. 그렇군요...^^
    실제로 망원경으로 대상을 보면서 스케치할 때에는 averted vision을 많이 사용하게 되는데, 이렇게 보이는 모습을 그대로 종이에 그려 넣기는 쉽지 않더군요.
    저도, 낮에 direct vision으로 잘 보이는 대상(예를 들면 사진 같은 것)을 재미삼아 그려 본 적이 있는데, 작업의 난이도는 밤에 그리는 것과는 비교가 되지 않더군요.(보일듯, 말듯... 제대로 본 건지, 못 본 건지...)
    C14로 멋진 그림 많이 그리시기 바랍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Free Gallery

살아가는 다양한 모습을 자유롭게 담아주세요.

  1. 자작 쿨픽스4300 아탑타

    자작아답타입니다. 만드는시간 5분 사용소감 최상 이제부터 돈아끼세요... 제료비 티카 아탑타한개 용산가격3만 두꺼운종이 테이프...
    Date2004.03.03 By황정호 Views719
    Read More
  2. 구름덮인 청학리 하늘

    ...
    Date2004.03.03 By이준화 Views704
    Read More
  3. 어린이대공원

    지난주말 어린이대공원에서 찍은 사진입니다.
    Date2004.03.03 By이준화 Views639
    Read More
  4. 덕초현의 천문돔 연구단지

    요 몇일 사이에 덕초현 언덕에 많은 천문대가 새로 생겼더군요. 하와이의 마우나케아에 있는 망원경 연구단지가 연상이 되는 덕초현의 진풍경입니다. ^^
    Date2004.03.02 By이건호 Views839
    Read More
  5. 3월1일 대천포구

    3월1일 오랜만에 막간을 이용해서 부모님과 아이들 모두 대천항에 회를 먹으러 갔습니다. 아주 거하게 오랜만에 먹는 우럭과 광어 그리고 도미회는 정말 일품이었습니다. 산낙지와 쭈꾸미를 추가로 사서 먹었는데 이 녀석들이 왠일로 산낙지를 너무도 맛나게 ...
    Date2004.03.02 By황인준 Views800
    Read More
  6. 망원경이 왔던날.

    며칠전 퇴근해서 집에오니 2인용 소파만큼이나 큰 상자가 하나 덩그러니 놓여있었습니다. 여러 망원경이 손을 거쳐갔지만 이 친구는 무식하게 크다 싶은맘이 들었습니다. 오랫동안 함께 함께 하리라 생각했으면서도 떠나보냈던 다른 망원경들이 생각났습니다....
    Date2004.02.28 By박정용 Views1291
    Read More
  7. 제주도

    한달전쯤 찍은 사진입니다. 후지F401z
    Date2004.02.26 By이준화 Views789
    Read More
  8. 카메라폰으로 촬영한 초승달...^^

    초저녁에 망원경의 아이피스에 손으로 붙잡고 촬영한 사진입니다. 손으로 들고 찍어서 상이 좀 흔들렸네요. 역시 테스트로 한번 찍어봤는데 생각보다 잘 나옵니다.(33만 화소가 이정도 일 줄이야... 흐뭇...) 하나는 망원경 배율을 80배로 해서 촬영을 하였고...
    Date2004.02.23 By염범석 Views1120
    Read More
  9. 동방광학의 김창수 사장님과

    지난주 주말에 친분이 있는 일본 교에이의 기무라씨가 한국에 왔었습니다. 전 일정을 아스트로 라이프의 이 재림씨가 가이드를 맏았습니다. 토요일에는 대구를 향하는 일정이었는데 천안으로 오는 도중 동방광학을 들렀습니다. 동방광학의 김창수 사장님은 아...
    Date2004.02.23 By황인준 Views1406
    Read More
  10. M51을 폰 안에..

    어제 찍은 M51을 폰에 넣어 보았습니다. 이게 제가 최근 장만한 폰입니다. 구형이지만 가격대비 성능비가 우수했습니다. 회사사람들에게 폰을 보여주니, "폰카로 찍은게 이정도 나와????????" 한 10년뒤엔 망원경아이피스에 폰으로 단추 한방 누르면 이런사진...
    Date2004.02.20 By박현권 Views1080
    Read More
  11. 금성(올려도되나?)

    제장비로 찍어본 금성입니다
    Date2004.02.19 By이은호 Views661
    Read More
  12. 스케치연습(M51)

    컴퓨터와 스케너를 새로 장만 했습니다. 모든 시스템을 연결하고 원본을 스켄한 후 포샵으로 다듬었는데 생각대로 되지 않고 정말 어렵단걸 느낍니다. 연필선이 강하면 느낌이 안오고 부드럽게 하면 구름같아 보여서 어찌해야 될지 아직 모르겠습니다. 새로 ...
    Date2004.02.10 By박정용 Views1048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 56 Next
/ 56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