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2003.04.10 15:30

LRGB 합성의 문제점

(*.249.97.68) 조회 수 439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일본의 사이트에서 보았던 글입니다. 모든내용이 정확히 기억나지는 않지만 대충 이런내용입니다.

LRGB 합성은 사람의 눈이란것이, 색깔의 변화보다는 보다는 명암의 변화에 더욱 민감하다는데 착안해서 만들어진 방법입니다. 즉 명암데이터는 정확히 얻어놓고, 색상데이터는 대충 얻어놓자. 그리고 둘을 합치면 같은 노출시간을 가지고 RGB 합성만 한 사진보다 훌륭하게 보이는 LRGB 합성사진을 얻게된다는 것이 LRGB 합성의 내용입니다.

이방법으로 합성을 하기위해 사진을 찍는경우, L 영상은 많은 시간을 사용해서 사진을 찍지만, R,G,B 영상은 적은 시간동안 노출을 주고, 많은 경우 binning 하기때문에 해상도가 떨어지게 됩니다. 따라서, L영상에는 뚜렷하게 나타나는 별들이 R,G,B 영상에는 희미하게 나타나거나, 나타나지 않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밝은 별들의 색상은 잘 나타나지만, 그리밝지 않은 별들은 주변색에 묻혀서 그 본래의 색상이 표현되지 못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성운을 촬영하면 성운안의 희미한 별들의 색깔은 흰색이 아니라 성운의 색깔로 그대로 보이는 것이죠.  또 성운밖에 있는 희미한 별들도 R,G,B 색상정보가 충분치 않기 때문에 그냥 흰색으로만 표현 됩니다.

이것을 LRGB 합성의 문제점으로 지적했던것이 기억나서 적어보았습니다.

그 글에서도 밝혔었습니다만,  이런 문제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같은 시간 촬영을 했을때, RGB 합성보다 LRGB 합성의 영상이 탁월하게 높은 질의 영상을 얻게 해주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LRGB 합성을 하고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6 은하 R채널에 Ha 넣기 file 공양식 2020.04.07 263
105 영양과 의성 데이터 촬영 비교 2 file 공양식 2020.04.16 376
104 Straton : 혜성사진 처리에 큰 도움이 되는 프로그램. 2 김광욱 2016.03.03 423
103 오토스택커 얼라인크기에 따른 퀄리티 1 김종호 2016.04.04 455
102 Selective Color 와 Brightness/Contrast, Saturation 1 file 김승남 2017.01.03 481
101 Pixinsight : 일그러진 별상의 복원 김광욱 2015.04.29 488
100 2017년 북미 개기일식: 코로나 표현하기 file 김상욱 2017.09.02 583
99 pixinsight를 이용한 태양 이미지처리 김종호 2015.12.03 594
98 Pixinsight : 천체사진 배경 Noise 처리방법 : ACDNR 2 김광욱 2015.03.25 714
97 Pixinsight : 별상 축소방법 1 김광욱 2015.04.29 722
96 Photoshop Nik Collection으로 노이즈제거와 샤픈 조정 1 file 김태환 2016.04.05 811
95 시상에 따른 이미지 차이 2 file 정병준 2016.07.06 824
94 미러리스 (또는 DSLR) 카메라로 촬영한 천체사진 촬영 및 이미지 처리과정 3 이준화 2016.03.19 877
93 이친구 요즘 뭐하는지 궁굼합니다. 7 file 박영식 2015.04.07 935
92 Pixinsight 이미지 처리 예제 8 김광욱 2014.11.24 1138
91 달사진 잘찍기... 3 file 김종호 2016.03.01 1147
90 태양 컬러액션 4 file 김종호 2014.05.12 1689
89 태양플랫처리 액션 1 file 김종호 2014.05.13 1773
88 Maxim을 사용한 SKY FLAT 촬영과 처리 (v1.0) 4 file 이건호 2014.03.23 2226
87 태양 H-a 필터 사진촬영과 이미지처리 1 이건호 2014.02.24 2313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Next
/ 6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