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Moon
2006.08.11 15:22

Petavius

(*.109.120.147) 조회 수 2428 추천 수 193 댓글 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일전에 first light 기념한답시고 이 크레이터의 아주 허접한 이미지를 올렸던 적이 있었습니다만,
http://astronet.co.kr/cgi-bin/zboard.php?id=gallery_solar&no=1453

그때와 비교해 보면 어제의 Petavius 는 보이는 각도가 많이 얕아진 것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왜 이 대상은 조금만 손대도 오버 프로세싱한 것처럼 보이는지 모르겠습니다. 크레이터 주변이 원래 곤죽처럼 생긴 이유도 있겠지만 찍을 때 잘 못 찍고 프로세싱도 잘못되었을 것입니다. 결국 이번에도 어색한 이미지가 되어 버렸습니다.

2006년 8월 11일 새벽 1시 53분 21초~54분 00초
충남 아산
ALPO Seeing Scale: 7/10, Transparency: 4/10
Takahashi μ-300 (12-inch Dall-Kirkham, F11.9) at F23.8 using TeleVue Powermate x2
Lumenera LU075

다음은 Petavius 에 대한 간단한 설명입니다 (제 홈페이지 발췌 --;)

Furnerius, Vendelinus, Langrenus 와 함께 월면의 서방에서 거대 크레이터의 연결 고리 - Great Western Chain of Craters - 를 형성하고 있는 매우 인상적인 크레이터입니다. 직경은 대략 177 km에 달하고 벽의 내측 테라스가 특히 넓어서 어떤 부분은 두 겹처럼 보이기도 합니다. 크레이터의 정중앙에 솟아있는 봉우리들의 높이는 대략 0.5~1.7 km 로 되어있습니다.

Petavius 의 특징은 바닥면이 전반적으로 볼록하게 솟아 있다는 것입니다 - 위 사진에서는 그리 명확히 나타나 보이지 않습니다만. 이처럼 사방에서 한 가운데를 향해 누르는 힘 때문에 크레이터의 바닥이 볼록해 지면서 결국 일부분이 찢어지면서 사진 상에서 1시 방향으로 난 깊은 협곡이 생겨난 것으로 추측되어지고 있습니다. 이를 페타비우스의 거대 균열 - Great Cleft (혹은 Rille) of Petavius - 이라 부릅니다. 이 균열은 태양광이 비스듬히 비출 때는 소구경의 망원경으로도 잘 보이지만 정방향일 경우 쉽게 식별이 가지 않을 때도 있습니다. 이렇게 Petavius 를 감싸 조이는 힘의 원천은 무엇이었을까요? 여전한 수수께끼로 남아 있습니다.
  • 유종선 2006.08.11 15:31 (*.78.29.195)
    그래도 멋진걸요... 계속 멋진 사진 기대합니다.
  • 박정용 2006.08.11 18:17 (*.181.18.130)
    디테일한것이 아주 좋습니다.^^
  • 김삼진 2006.08.11 23:20 (*.8.174.8)
    시계 바늘 처럼 보입니다.세밀한 달 즐감입니다.
  • 최훈옥 2006.08.12 03:10 (*.179.205.235)
    와...이렇게 자세하게 볼수있다니...신기합니다!
  • 박성준 2006.08.12 09:09 (*.136.156.253)
    예전 이미지도 좋고, 지금 이미지는 더 좋습니다..^^ 자세한 설명은 강의로군요....

  1. [2006/09/29] 월령 6.4일

    고도가 13도 정도로 낳고, 간간히 구름이 지나가고... 가볍게 관측하려해도 뭔가가 항상 아쉽네요...
    Date2006.09.30 CategoryMoon By박성준 Views1748
    Read More
  2. 월령 20.3일

    월령때문에 관측을 못하는 굶주림을 달로 채워보았습니다...
    Date2006.09.15 CategoryMoon By박성준 Views1821
    Read More
  3. [2006/09/08] 부분월식

    다음날의 야비군훈련을 무릅쓰고, 19%정도 살짝 가려진다는 부분월식을 옥상에서 관측했습니다. 역시 기록으로 남기고픈 욕심에, 마땅한 장비도 없고해서, 딥스카이촬영 시스템에 부분월식을 촬영했습니다. 날씨가 꽤나 투명했지만, 간간히 구름으로 인해, 3...
    Date2006.09.11 CategoryMoon By박성준 Views1649
    Read More
  4. 위난의 바다

    "위난의 바다" 주변을 넓지막하게 잡아보고자 하였습니다만, 이 날 우리나라 상공의 제트기류는 가히 최악이어서 심한 제트기류가 행성 관측 조건을 어떻게 무너뜨릴 수 있는지 시범을 보이는 듯하였습니다. 모처럼 맞이한 다른 좋은 조건들 - 투명도와 달의 ...
    Date2006.09.10 CategoryMoon By윤홍선 Views2627
    Read More
  5. 부분 월식

    부분 월식이 있는지 모르고 있었는데 밤에 부모님께서 전화로 알려 주셨습니다. 너무 무뎌진게 아닌지...ㅎㅎ 주위 분들이 더 관심이 많네요. 날씨가 계속 좋았는데 새벽되니까 먹구름이 쫙 깔려 있네요. 제대로 건진 사진 없습니다. 흑흑 그리고 밑에 사진은...
    Date2006.09.08 CategoryMoon By임상균 Views1898
    Read More
  6. 목성 & 갈릴레오 위성

    날씨는 맑았지만 업무에 채여 미처 아산에 내려가지 못하고, 대신 얼마전 입수한 TG-SP II 위에 FS-60c를 올려 베란다 천문대를 구성해 놓고 이 녀석들의 실력을 테스트 해 보기로 하였습니다. 북쪽이 막힌 베란다에서 익숙치 않은 표류이탈로 대략 극축을 맞...
    Date2006.09.02 CategoryJupiter By윤홍선 Views2359
    Read More
  7. Tycho가 아닙니다^^

    지난 8월 11일 촬영한 허접한 이미지 중에 하나이지만 마침 오늘 LPOD에서도 이 크레이터를 소개하고 있길래 덩달아 올려 봅니다. 이번 주말에는 달도 없고 구름도 가득이로군요. 우울한 주말입니다. ^^ 2006년 8월 11일 새벽 2시 7분 5초~8분 00초 충남 아산...
    Date2006.08.20 By윤홍선 Views1412
    Read More
  8. 060812_moon_10_collection

    2006년 8월 13일 새벽에 찍은 달의 주요 부분 확대 촬영 이미지 입니다. 각각의 이미지를 올려야 하나 귀차니즘으로 인하여 한장의 이미지로 올립니다. 각각의 분화구들의 이름도 자세히 적어서 올려야 하지만 이미 여러번 본 것이고 또한 유명한 분화구들이...
    Date2006.08.17 CategoryMoon By최승용 Views3078
    Read More
  9. 060812_moon

    지난 2006년 8월 12일 토요일 밤부터 M15를 찍기 시작 하다가 일요일인 13일 새벽 철수 직전에 보이는 달이 이뻐 보여 몇장 찍어 보았습니다. 박무와 안개, 또는 구름인지 하늘이 자연산 필터 구실을 해서인지 모니터에 보이는 달의 모습이 잔잔한 시냇물 속...
    Date2006.08.17 CategoryMoon By최승용 Views2153
    Read More
  10. 달 2006년 8월 12일

    8월 12일 새벽의 달사진입니다. 덕초현에 일이 있어 갔는데, 달이 밝고 투명도는 낮아서... 이 사진 찍고 일찍 잤습니다. KASTRON 12.5인치 F5 w/R200CC STL-11000M L 이미지는 Ha filter를 써서 0.1초 노출 4장 합성 RGB이미지는 0.01초 각 1장씩 합성 약 2/...
    Date2006.08.14 CategoryMoon By이건호 Views2076
    Read More
  11. 또 달...

    8월 12일 나다 천문대에 가서 여러 가지 셋팅을 시도해 보았습니다. 하늘에 박무가 많고 또 달이 일찌감치 뜨는 바람에 웹캠 오토가이더 작동 여부는 실행해 보지도 못했습니다. 투유캠을 이용해서 가이드성 잡기가 너무 어려웠고, 촛점 맞추는 일도 장난이 ...
    Date2006.08.13 CategoryMoon By김상욱 Views1663
    Read More
  12. Petavius

    일전에 first light 기념한답시고 이 크레이터의 아주 허접한 이미지를 올렸던 적이 있었습니다만, http://astronet.co.kr/cgi-bin/zboard.php?id=gallery_solar&no=1453 그때와 비교해 보면 어제의 Petavius 는 보이는 각도가 많이 얕아진 것을 느낄 수 있었...
    Date2006.08.11 CategoryMoon By윤홍선 Views2428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 256 Next
/ 256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