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지구로부터 130억광년 떨어진 아득히 먼 곳에 있는 은하들의 모습이다. 우주공간에 떠 있는 허블 우주망원경이 올해초 촬영한 멋진 사진이다. 이름하여 허블 울트라 딥필드. NASA에서 발표한 원문 해설을 잠시 읽어보도록 하자.
What did the first galaxies look like? To help answer this question, the Hubble Space Telescope has just finished taking the Hubble Ultra Deep Field (HUDF), the deepest image of the universe ever taken in visible light. Pictured above, the HUDF shows a sampling of the oldest galaxies ever seen, galaxies that formed just after the dark ages, 13 billion years ago, when the universe was only 5 percent of its present age. The Hubble Space Telescope's NICMOS and new ACS cameras took the image. Staring nearly 3 months at the same spot …


초창기 우주의 모습은 어떻게 보일까 ? 이 질문의 해답을 얻기위해, 허블 우주망원경이 마침내 가시영역으로는 가장 먼 곳의 사진(HUDF)를 촬영해냈다. 상단의 사진은 지금까지 보아왔던 은하중 은하가 최초로 생성되기 시작한 130억년전, 즉 우주의 나이가 지금의 5%밖에 되지 않았던 시절의 은하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허블 우주망원경의 NICMOS(The Near Infrared Camera and Multi-Object Spectrometer)카메라 및 ACS(Advanced Camera for Surveys)카메라를 이용하여 3개월간 우주의 한 점에 촛점을 고정하여 얻어낸 사진인 것이다 …
이 사진이 찍힌 우주의 상대적 거리는 과연 어디쯤일까 ? Hubblesite.org에서 발표한 아래의 History of the Universe라는 일러스트를 참고해 보도록 하자.

1996년에 촬영된 HDF보다 훨씬 먼, 초창기 은하생성 시점의 모습을 촬영한 것이라 하겠다. 저 빛이 130억년을 달려와서 우리 눈에 보이는 것이니, 말하자면 우리는 130억 년전 과거의 모습을 보고 있는 것이다. 우주의 광활함은 이루 형언할 수가 없다.
  
아래의 링크는 허블 울트라 딥필드가 얼마만큼 떨어져 있는지 대단히 역동적으로 구성한 동영상이다. 퀵타임 포멧이며, 파일크기는 75MB, 상영시간은 약 40초이다.


자유 게시판

자유롭게 작성해 주세요. 예의는 기본 입니다.

공지 로그인 문제는 즐겨찾기 주소 확인 부탁드립니다. 최승용 2015.04.14
공지 [공지] 게시판 이용방법 *** NADA 2004.08.23
  1. 번개..

    Date2007.09.08 By황인준 Views2756
    Read More
  2. 회절현상에 대한 착각

    Date2004.04.17 By김청민 Views2756
    Read More
  3. [퀴즈풀이]

    Date2004.06.04 By황형태 Views2749
    Read More
  4. 이런 식으로 베란다에서 토성을 보았습니다.

    Date2008.03.04 By황형태 Views2738
    Read More
  5. 장비 판매 합니다.

    Date2007.12.17 By최승용 Views2737
    Read More
  6. 회원여러분

    Date2009.01.13 By박성래 Views2733
    Read More
  7. 회원님들, 카페에 들러주세요!

    Date2007.09.19 By고창균 Views2720
    Read More
  8. 회원님들

    Date2007.02.26 ByNADA Views2708
    Read More
  9. 트레일러 관측소 진행..

    Date2007.03.22 By심훈 Views2697
    Read More
  10. 1월5일 장비설치(XQ12/EQ6) 후기~

    Date2007.01.06 By박진홍 Views2696
    Read More
  11. 발열조끼...

    Date2003.10.11 By황형태 Views2696
    Read More
  12. 무료 가이딩 프로그램 PHD Guiding

    Date2007.12.02 By이준화 Views2689
    Read More
  13. 메시에 마라톤

    Date2005.03.05 By남기현 Views2689
    Read More
  14. 우주의 크기를 이미지와 동영상으로 설명

    Date2005.04.01 By박정민 Views2685
    Read More
  15. SynScan에서 EQMOD 지원

    Date2008.02.14 By권기식 Views2678
    Read More
  16. 게시판 제목 수정

    Date2014.02.14 By김상욱 Views2673
    Read More
  17. [re] 천체 관측용 카메라에 관한 문의사항

    Date2008.07.14 By이준희 Views2671
    Read More
  18. 2004년 천체사진공모전 결과

    Date2004.03.15 By이건호 Views2669
    Read More
  19. 덕초현스타파티 / NADA사진 전시회

    Date2007.09.07 ByNADA Views2662
    Read More
  20. 망원경 차폐 형상에 따른 회절링의 광량 분포(1)

    Date2004.05.10 By박병우 Views2654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99 Next
/ 99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