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2004.07.12 23:57

바늘구멍 사진기

(*.91.80.108) 조회 수 1685 댓글 1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연이은 장마비에 습한 기분을 날려 보려고 한번 만들어 보았습니다.
시원한 맥주캔을 하나 따서 나발불고, 빈 알루미늄 캔을 조그맣게 오려 낸다음 바늘로 꼭 찍어 작은 구멍을 내었습니다.
이것을 CCD앞에 붙여 놓고 뭐가 보이나 찍어 보았더니...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가 보이는군요. 바늘구멍이 너무 큰지 상이 잘 안맺혔습니다. 초점길이 80미리에 F200정도 되려나요?
이 핀홀카메라로 경치도 찍고 인물사진도 찍고 하더군요. 다음에 관측가면 요놈으로 성야사진을 한번 찍어봐야겠습니다. 1500원짜리 렌즈(렌즈는 없지만)가 천체사진에 얼마나 효과가 있을지 기대가 됩니다.

  • 최형주 2004.07.13 00:31 (*.219.52.234)
    송곳으로 뚤으셨지요.^^
  • 박정용 2004.07.13 01:17 (*.255.160.58)
    ㅎㅎㅎ 재미있습니다.
    그나저나..장마가 너무 지루하군요.
  • 변성식 2004.07.13 08:20 (*.108.54.3)
    학생때 바늘구멍사진기의 세계란 제목으로
    그룹전을 한일 있는데 그때가 생각이 나는군요.
  • 추현석 2004.07.13 09:33 (*.108.42.138)
    멀리 있는 간판이 잘 않보일땐 손을 움켜 쥐면서 엄지와 집게손가락사이의 조그만 틈사이로 보면
    상이 또렷이 잡혀 간판 글을 읽을수 있었습니다.
    바늘구멍 렌즈와 같은 원리이지요.
    우리가 사는 지구가 바늘구멍속에 들어가는군요~~~~ ^ ^
    그런데 사진으로 찍었을땐 정립인가요 도립인가요?
    지금 올려 놓은 사진처럼 정립이겠지요?
  • 오동혁 2004.07.13 09:54 (*.249.30.148)
    회절현상때문인가요. 아니면..촛점 문제.. 상이깨끗하지 않네요.. 깨끗한 상을 얻을수 없을까요..
  • 박병우 2004.07.13 10:09 (*.79.196.166)
    추선생님의 말씀이 그대로 파인만물리책에 나와 있는 회절현상 설명내용입니다. 단 그기서는 자동차 미등을 보는 것으로 설명이 되어 있는 것으로 기억을 합니다.
    .
    어제 사무실에 가보니 살림이 엄청 불었더군요. 거참 망원경숍을 개업할 날도 멀지 않았습니다.
  • 이건호 2004.07.13 10:50 (*.101.108.100)
    최선생님, 크크 예리하십니다.^^;;
    추선생님, 바늘구멍사진기의 상은 도립상이 됩니다.
    오동혁님, 바늘구멍의 크기와 ccd까지의 거리를 조절하면 좀더 선명한 상이 나올거 같더군요. 장마가 계속되면 실험을 계속해 보렵니다.

    심심한데 초등학생용 퀴즈 하나 낼까요? 문) 바늘구멍사진기는 빛의 ?? 현상을 이용한 것이다. 너무 고차원적인 생각과 답은 마시구요 ^^

    1. 간섭
    2. 회절
    3. 직진
    4. 굴절
    5. 파동
    6. 입자

    p.s 황교수님 버전으로 내고 싶으나 좀 어렵더군요. ^^
  • 김상욱 2004.07.13 11:27 (*.112.77.5)
    정답 2번! 회절현상^^
  • 문병화 2004.07.13 13:09 (*.98.243.77)
    바늘구멍 사진기를 생각하면서보니 예전에 초증학교 때 만들고 놓았던 생각이 납니다. 그때는 가난하고 다들 못살던 세상이라(?) 요새 초등학생들은 간유리를 사용하지만 그대는 습자지를 사용했었더랍니다.
    그리고 추억의 청사진들.....필름을 놓고 햇빛을 쬐면 마루치도 나오고 아루치도 나왔었죠....
  • 박병우 2004.07.13 13:30 (*.79.196.166)
    그리고 바늘구멍 사진기 사진 잘 나왔군요.

    이렇게 실제로 사진을 찍는 발상이 좋습니다. 저야 책에서나 보았지 찍어 보려고 시도해 본 일이 없지요.
  • 이덕수 2004.07.13 13:36 (*.111.230.124)
    3번 빛의 직진성을 이용한 것 입니다.
  • 김상욱 2004.07.13 13:52 (*.112.77.5)
    앗~! 그러고보니 아무래도 틀린 것 같다.-_-;
  • 박현권 2004.07.13 13:59 (*.126.9.12)
    전 국민학교나와서인지 초등학생용 문제는 좀 버겁네요....

    여기에 가 보시면 바늘구멍 사진 작품들이 많이 있네요.
    http://www.pinholeday.org/gallery/2004/index.php?page=1
  • 김일순 2004.07.13 14:14 (*.104.39.80)
    제가 초등학교에 있으니 제가 정답을 .. ^^
    이전에 게시판에 나오는 문제들은 워낙 어려워서 찝쩍대지도 못했는데... 이번에는 좀 거드려볼랍니다.
    답은 3번 직진!! ^^
  • 이건호 2004.07.13 16:07 (*.101.108.100)
    ^^ 네. 함정에 빠지신 분이 별로 없으시네요. 빛의 직진성을 설명하는 예제로 이 바늘구멍사진기를 많이 인용하더군요.
    오해하기 쉬운 것이 회절인데 회절은 물론 일어나지만, 상을 나쁘게 만듭니다.
    실제로 바늘구멍사진기의 선명도를 높이려면 바늘구멍을 아주 작게 해야하지만 너무 작게하면 회절이 큰 영향 나타내어 오히려 상을 나쁘게 만든답니다.

자유 게시판

자유롭게 작성해 주세요. 예의는 기본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로그인 문제는 즐겨찾기 주소 확인 부탁드립니다. 5 최승용 2015.04.14 513
공지 [공지] 게시판 이용방법 *** 3 NADA 2004.08.23 10629
528 [구합니다.] 2.14인치 사경 구합니다. 8 최승용 2005.05.12 1540
527 [구매] 캐논 TC80n3리모트 남명도 2005.09.27 1250
526 [구걸] 구걸합니다. 8 남명도 2008.02.13 1800
525 [광학퀴즈] 다함께 풀어봅시다. 17 황형태 2004.07.27 2321
524 [광학퀴즈] 다함께 참여합시다~~ 26 황형태 2003.12.07 2249
523 [광학퀴즈] 4대의 망원경 중에서... 19 file 황형태 2004.06.03 2767
522 [광고] 조개비 돔 5 file 이건호 2008.11.14 2509
521 [광고] 10D, 300D 용 전원 장치 만들어 드립니다. 1 박성래 2004.01.19 1325
520 [Tip]새로운 극축보정법_극축촬영법? 2 file 김희철 2005.02.09 1651
519 [re]감사드립니다. 신범영 2007.12.26 2075
518 [re] 회절현상에 대한 착각 이준희 2004.04.19 1750
517 [re] 회절과 망원경 성능 관계 의문점? file 박병우 2004.04.17 1797
516 [re] 확대촬영 초점조절 방식 그림 7 file 이준화 2003.09.05 1671
515 [re] 화성의 크레이터 사진 마지막으로 올림 1 file 문병화 2004.04.30 1538
514 [re] 현권씨 축하합니다. 9 file 박현권 2006.02.22 1415
513 [re] 카메라용 망원 렌즈와 천체 망원경의 화질 비교 3 file 박병우 2004.12.28 1753
512 [re] 카메라 질문입니다.. 도와주세요..ㅠㅠ 1 박성래 2004.10.24 1344
511 [re] 최승용님께... 1 최승용 2003.07.03 1902
510 [re] 초신성이나 소행성 행성이나 혜성을 발견하고자 한다면... 1 이건호 2004.05.10 1511
Board Pagination Prev 1 ...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 99 Next
/ 99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