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2004.07.12 23:57

바늘구멍 사진기

(*.91.80.108) 조회 수 1685 댓글 1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연이은 장마비에 습한 기분을 날려 보려고 한번 만들어 보았습니다.
시원한 맥주캔을 하나 따서 나발불고, 빈 알루미늄 캔을 조그맣게 오려 낸다음 바늘로 꼭 찍어 작은 구멍을 내었습니다.
이것을 CCD앞에 붙여 놓고 뭐가 보이나 찍어 보았더니...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가 보이는군요. 바늘구멍이 너무 큰지 상이 잘 안맺혔습니다. 초점길이 80미리에 F200정도 되려나요?
이 핀홀카메라로 경치도 찍고 인물사진도 찍고 하더군요. 다음에 관측가면 요놈으로 성야사진을 한번 찍어봐야겠습니다. 1500원짜리 렌즈(렌즈는 없지만)가 천체사진에 얼마나 효과가 있을지 기대가 됩니다.

  • 최형주 2004.07.13 00:31 (*.219.52.234)
    송곳으로 뚤으셨지요.^^
  • 박정용 2004.07.13 01:17 (*.255.160.58)
    ㅎㅎㅎ 재미있습니다.
    그나저나..장마가 너무 지루하군요.
  • 변성식 2004.07.13 08:20 (*.108.54.3)
    학생때 바늘구멍사진기의 세계란 제목으로
    그룹전을 한일 있는데 그때가 생각이 나는군요.
  • 추현석 2004.07.13 09:33 (*.108.42.138)
    멀리 있는 간판이 잘 않보일땐 손을 움켜 쥐면서 엄지와 집게손가락사이의 조그만 틈사이로 보면
    상이 또렷이 잡혀 간판 글을 읽을수 있었습니다.
    바늘구멍 렌즈와 같은 원리이지요.
    우리가 사는 지구가 바늘구멍속에 들어가는군요~~~~ ^ ^
    그런데 사진으로 찍었을땐 정립인가요 도립인가요?
    지금 올려 놓은 사진처럼 정립이겠지요?
  • 오동혁 2004.07.13 09:54 (*.249.30.148)
    회절현상때문인가요. 아니면..촛점 문제.. 상이깨끗하지 않네요.. 깨끗한 상을 얻을수 없을까요..
  • 박병우 2004.07.13 10:09 (*.79.196.166)
    추선생님의 말씀이 그대로 파인만물리책에 나와 있는 회절현상 설명내용입니다. 단 그기서는 자동차 미등을 보는 것으로 설명이 되어 있는 것으로 기억을 합니다.
    .
    어제 사무실에 가보니 살림이 엄청 불었더군요. 거참 망원경숍을 개업할 날도 멀지 않았습니다.
  • 이건호 2004.07.13 10:50 (*.101.108.100)
    최선생님, 크크 예리하십니다.^^;;
    추선생님, 바늘구멍사진기의 상은 도립상이 됩니다.
    오동혁님, 바늘구멍의 크기와 ccd까지의 거리를 조절하면 좀더 선명한 상이 나올거 같더군요. 장마가 계속되면 실험을 계속해 보렵니다.

    심심한데 초등학생용 퀴즈 하나 낼까요? 문) 바늘구멍사진기는 빛의 ?? 현상을 이용한 것이다. 너무 고차원적인 생각과 답은 마시구요 ^^

    1. 간섭
    2. 회절
    3. 직진
    4. 굴절
    5. 파동
    6. 입자

    p.s 황교수님 버전으로 내고 싶으나 좀 어렵더군요. ^^
  • 김상욱 2004.07.13 11:27 (*.112.77.5)
    정답 2번! 회절현상^^
  • 문병화 2004.07.13 13:09 (*.98.243.77)
    바늘구멍 사진기를 생각하면서보니 예전에 초증학교 때 만들고 놓았던 생각이 납니다. 그때는 가난하고 다들 못살던 세상이라(?) 요새 초등학생들은 간유리를 사용하지만 그대는 습자지를 사용했었더랍니다.
    그리고 추억의 청사진들.....필름을 놓고 햇빛을 쬐면 마루치도 나오고 아루치도 나왔었죠....
  • 박병우 2004.07.13 13:30 (*.79.196.166)
    그리고 바늘구멍 사진기 사진 잘 나왔군요.

    이렇게 실제로 사진을 찍는 발상이 좋습니다. 저야 책에서나 보았지 찍어 보려고 시도해 본 일이 없지요.
  • 이덕수 2004.07.13 13:36 (*.111.230.124)
    3번 빛의 직진성을 이용한 것 입니다.
  • 김상욱 2004.07.13 13:52 (*.112.77.5)
    앗~! 그러고보니 아무래도 틀린 것 같다.-_-;
  • 박현권 2004.07.13 13:59 (*.126.9.12)
    전 국민학교나와서인지 초등학생용 문제는 좀 버겁네요....

    여기에 가 보시면 바늘구멍 사진 작품들이 많이 있네요.
    http://www.pinholeday.org/gallery/2004/index.php?page=1
  • 김일순 2004.07.13 14:14 (*.104.39.80)
    제가 초등학교에 있으니 제가 정답을 .. ^^
    이전에 게시판에 나오는 문제들은 워낙 어려워서 찝쩍대지도 못했는데... 이번에는 좀 거드려볼랍니다.
    답은 3번 직진!! ^^
  • 이건호 2004.07.13 16:07 (*.101.108.100)
    ^^ 네. 함정에 빠지신 분이 별로 없으시네요. 빛의 직진성을 설명하는 예제로 이 바늘구멍사진기를 많이 인용하더군요.
    오해하기 쉬운 것이 회절인데 회절은 물론 일어나지만, 상을 나쁘게 만듭니다.
    실제로 바늘구멍사진기의 선명도를 높이려면 바늘구멍을 아주 작게 해야하지만 너무 작게하면 회절이 큰 영향 나타내어 오히려 상을 나쁘게 만든답니다.

자유 게시판

자유롭게 작성해 주세요. 예의는 기본 입니다.

공지 로그인 문제는 즐겨찾기 주소 확인 부탁드립니다. 최승용 2015.04.14
공지 [공지] 게시판 이용방법 *** NADA 2004.08.23
  1. 아마추어들의 미러코팅에 관한 오해!

    Date2004.08.08 By박경원 Views2054
    Read More
  2. 미국의 부시와 한국의 초등학생과의

    Date2004.08.05 By박병우 Views1430
    Read More
  3. 실리카겔 필요하신 분?

    Date2004.08.05 By권기식 Views1453
    Read More
  4. 회원님들께 질문좀 올립니다...

    Date2004.08.03 By전영준 Views1935
    Read More
  5. 딥스카이장비 질문좀 드립니다

    Date2004.08.01 By김상호 Views1960
    Read More
  6. 우리에 눈

    Date2004.07.31 By박병우 Views1701
    Read More
  7. [re] [광학퀴즈] 다함께 풀어봅시다.

    Date2004.07.31 By황형태 Views2863
    Read More
  8. [re] [광학퀴즈] 다함께 풀어봅시다.

    Date2004.07.29 By박병우 Views1666
    Read More
  9. [re] [광학퀴즈] 다함께 풀어봅시다.

    Date2004.07.27 By박병우 Views1553
    Read More
  10. [re] [광학퀴즈] 다함께 풀어봅시다.

    Date2004.07.27 By이윤 Views1270
    Read More
  11. [광학퀴즈] 다함께 풀어봅시다.

    Date2004.07.27 By황형태 Views2321
    Read More
  12. JMI 포커서

    Date2004.07.24 By어진선 Views1473
    Read More
  13. 7월 22일 목요포름

    Date2004.07.23 By추현석 Views1579
    Read More
  14. CMOS 카메라 만드는 국내 벤쳐 업체

    Date2004.07.20 By어진선 Views1593
    Read More
  15. C14 이동용 케이스

    Date2004.07.19 By김영재 Views1797
    Read More
  16. 숙명여대 가야금 연주-let it be-

    Date2004.07.18 By박병우 Views2211
    Read More
  17. 해금연주자 "꽃별"의 음반

    Date2004.07.18 By김상욱 Views1621
    Read More
  18. 적정 무게추 중량 계산 하기

    Date2004.07.14 By김영재 Views3843
    Read More
  19. Robotic Telescope

    Date2004.07.13 By선숙래 Views1406
    Read More
  20. 바늘구멍 사진기

    Date2004.07.12 By이건호 Views1685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 99 Next
/ 99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