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248.189.129) 조회 수 2606 댓글 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제가 얼마전에 초보용 60mm 굴절 망원경을 구입했는데 바로우 렌즈
까지 동원해서 최대 600배가 얻어지기는 합니다.

그런데 망원경 이론을 보니까 그렇게 해서 배율을 높여도 실제로는
회절 현상 때문에 배율이 제한되어 버린다고 했습니다.

그런데 여기서 의문이 생기는 것은 ;

회절이 되는 것은 렌즈에 입사되는 광자들 중에서 렌즈의 가장자리에
입사하는 것들 뿐이고 그것들이 망막(필름)에 레일리 원반을 만들더라도
렌즈 중심쪽으로 들어오는 광자들은 정확한 상을 만들 것임.

렌즈 지름이 증가함에 따라 가장자리 길이는 지름에 비례해 증가하지만
렌즈전체 면적은 지름의 제곱에 비례하므로 결국 렌즈 지름이 어느 정도
커지게 되면 회절에 의한 방해 영상은 점점 그 비율이 작아지게 됨.

그렇다면 회절로 인한 배율 제한 (분해능 제한)은 렌즈크기가 좀 커지면
맞지 않는 이론이 되어버리고, 실제로는 렌즈를 잘만 만들면 60mm 같은
소구경 렌즈로도 고배율(대기 공기 제한치 이내)이 가능하다?

과연 이 생각이 맞는것인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크기와 거리를 아는 지상 표적을 가지고 실험을 해서 과연 레일리
회절에 의한 이론이 맞는 이론인지 확인해 보아야 할 것 같습니다.
  • 김청민 2004.04.16 18:48 (*.93.190.66)
    만일 모든 점에서 회절이 일어난다면 렌즈지름이
    크건 작건 분해능이 같은 것 아닌가요?
  • 김청민 2004.04.16 18:58 (*.93.190.66)
    아니면 렌즈에서 중심에 가까운 쪽에서 만들어
    지는 영상일 수록 회절이 심해지기 때문에 렌즈
    지름이 큰 것이 좋다? 이것입니까?
  • 박병우 2004.04.17 02:16 (*.99.83.55)
    회절이 심해진다라는 뜻이 무엇인지요? 회절상의 크기는 렌즈의 구경과 관계가 있습니다. 구경이 작아지면 회절상의 반경은 커집니다. 그러나 구경의 99.9%를 차폐를 하여 중심 빛이 못 들어오더라도 구경(가장자리 크기)이 정해지면 회절상의 반경은 그 구경에 의해서 결정되버리고 중심은 관계치 않습니다. 중심은 단지 빛의 광량에만 관계합니다. 상세는 요 아래에 다시 답변 하겠습니다.
  • 박병우 2004.04.17 08:40 (*.99.83.55)
    물론 요 위에서 말한 회절 반경은 초점거리를 고정시킨 상태입니다.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