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안녕하세요? 천체 사진 촬영에 입문한지 얼마 안되는 권한조입니다.
그동안 8인치 반사망원경과 3인치 굴절망원경으로 안시관측만 해오다가
10D를 구해서 사진촬영에 도전하고 있습니다.

촬영에 사용한 경통은 Cerestron사의 Nextstart 80GT의 경통입니다.
80mm , f5 이고 아크로매틱 굴절 망원경입니다.

처음에 GPD가대에 올려 노터치 2분 촬영을 해본결과  왼쪽 그림과
같이 별상이 3개로 나타났습니다. 처음에는 초점을 잘못맞춘 문제리고
생각했습니다. 그후 10D의 LCD로 별상을 확인하면서 초첨면 부근에서
포커서를 미동시키며 계속 별상을 찍어본 결과 계속 왼쪽 그림처럼
별상이 3개로 나타났습니다.

그후에 테스트 한 방법은 렌즈 커버를 붙인 후 가운데 캡을 제거하고
(태양이나 달을 관측할때 주로 이렇게 사용했습니다.)
다시 촬영해본 결과 오른쪽 그림과 같이 동글동글하게 나왔습니다.
이렇게 ISO1600으로 120초 노터치가이드로 8장을 촬영후 맥심에서 합성하고
리싸이즈 하였습니다.

1.
하지만 이렇게 촬영을 하면 광량이 매우 줄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런 방식을 쓰지 않고 다른 방법으로 별상을 동글동글하게
얻는 방식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리듀서나 플래트너와 같은 장치가
별도로 필요한지요?
2.
그리고 FS78 이나 75SDHF와 같이 좋은 굴절 망원경들은 직초점
촬영시 이러한 현상이 없는지 궁금합니다.

나다 고수님들의 많은 조언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 되십시요.



  • 이재열 2004.11.24 00:23 (*.151.239.6)
    일반적으로 구경을 줄이면 선예도가 좋아지긴 합니다. 이는 렌즈의 주변부로 갈수록 각종 수차가 많아지기 때문이죠. 그래서 렌즈의 잘 연마된 중앙부만 사용하면 별상은 나아질겁니다. 그러나 이렇게 되면 노출시간이 길어지게 된다는 문제가 생기죠.

    리듀서는 사용할 필요가 없을 듯 하구요. 필드 플래트너 역시 80mm 아크로매틱에 사용할 필요가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일단 렌즈 자체의 주변부 수차 때문에 그런 것이니 더 이상 개선할 방법은 없을 듯 합니다.
  • 이재열 2004.11.24 00:25 (*.151.239.6)
    플루오라이트와 같은 고급 굴절 망원경을 사용하면 확실히 나아집니다. 사진용으로만 생각하신다면 펜탁스 75SDHF가 더 나을겁니다.

    그런데 사진 잘 찍으셨네요. 밝은 별의 성상이 좀 부은듯 하긴 합니다만... 80mm 아크로매트로도 잘 나오는군요.
  • 권한조 2004.11.24 09:24 (*.36.157.34)
    조언과 답변에 감사드립니다.
    빠른 시일에 펜탁스 경통을 구해서 다시한번 도전하고 싶습니다.
  • 최원균 2004.11.24 10:42 (*.159.80.60)
    안녕하세요.

    제가 80GT의 내부구조를 본적이 없어 정확히 말씀은 못드리겠지만, 좌측사진의 성상은 렌즈 스트레스, 배플미설치 등등의 가능성도 있지 싶습니다.

    고급굴절은 렌즈소재가 좋을뿐아니라, 렌즈를 지지하는 렌즈셀과 광로의 잡광을 막아주는 배플처리가 잘 되어있습니다. 물론 그 만큼 가격도 고가이고요.

    가지고 계신 경통을 한번 유심히 보시고 이것저것 손보시면 좋은 성상 얻으실것 같습니다.

    그나저나 사진 참 좋습니다. ^^

Q&A 질문과 답변

천체사진, 관측장비, 대상정보, 프로그램, 이미지 처리등에 대해 질의해봅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글을 쓰시기 전에 읽어 보세요~ NADA 2004.05.01 9587
1282 다카하시 핸드 콘트롤러 사용법에 대하여... 2 최승용 2003.10.29 2589
1281 [질문]투유캠 노출시간 3 나경윤 2003.10.29 2533
1280 오토가이드시 보정속도는? 2 이준화 2003.11.03 2237
1279 [문의] 레지스탁스 질문입니다. 4 김주희 2003.11.03 1964
1278 밝은 것과 어두운것 합성 질문 입니다. 4 박성래 2003.11.04 2092
1277 PC카메라 오토가이드관련 질문드립니다 4 정일근 2003.11.04 2643
1276 천체 사진을 찍고 싶은데..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 1 박영복 2003.11.04 2117
1275 LRGB 합성 관련 질문 이준희 2003.11.17 2535
1274 [re] LRGB 합성 관련 질문 이건호 2003.11.17 2273
1273 필터 휠 질문 이준희 2003.11.17 2378
1272 [re] 필터 휠 질문 1 file 이건호 2003.11.17 1992
1271 투유캠프로 문의 4 file 김상국 2003.11.20 2241
1270 다까하시 EM-200 시리즈 적도의 11 지승용 2003.11.21 3798
1269 시리우스 2중성? 7 file 박병우 2003.11.24 2474
1268 Flat Filed 촬영방법 이준화 2003.11.26 2019
1267 [re] Flat Filed 촬영방법 7 이건호 2003.11.26 2273
1266 별자리 찍는 방법좀 가르쳐주세요 1 정대철 2003.11.26 2298
1265 딥스카이필터?? 2 박성환 2003.11.27 2039
1264 적도의에 대한 의견 듣고 싶습니다. 4 박성래 2003.11.27 2548
1263 [re] 구름낀날 Flat Field 찍기 1 이준화 2003.11.27 2065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 73 Next
/ 73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