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248.189.129) 조회 수 1913 댓글 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제가 얼마전에 60mm 초보자용 굴절망원경을 구입했습니다.

중국제 sunny 라는 회사에서 만든것이고 http://www.ezeus.co.kr/
에서 st60800 이라는 모델을 77000원에 구입했습니다.

관찰결과 며칠전에는 분명히 목성의 갈색 무늬 2개를 정확히 보았는데
어제 저녁(2004.04.21)에는 아무리 해도 목성이 뿌연 동그란 원반으로만
보이는 것이었습니다.

그리고 특별히 구름이 낀 것 같지는 않았는데도 하늘이 이상하게도 아주
밝고 하얗게 보였습니다.

그러면 혹시 대기권 아주 높은 곳에 엺은 구름이 끼어서 그렇게 잘 안보인
것입니까?  경험 많은 분들께 질문을 드립니다.

그리고 소구경에 비해 대구경 망원경인 경우에는 이런 날씨의 영향을 받는
정도가 다른지 궁금합니다.

즉 혹시 소구경 망원경인 경우에는 대기중에 습기나 먼지가 조금만 많아
져도 천체 관측에 심하게 영향을 받는지가 궁금합니다.

그리고 어제 날씨에 관측하신 분이 있으면 상태가 어떠했는지도 궁금
합니다.
  • 문병화 2004.04.22 13:49 (*.109.44.236)
    그렇게 보이는 경우는 두가지가 있읍니다. 보통 말씀하신경우는 렌즈에 이슬이 내린 때가 많읍니다. 혹시 렌즈를 확인해 보셨는지요. 드번째 원인은 대기의 투명도가 떨어지는 경우인데 이런날은 보통 하늘이 희뿌연 기가 확실히 느껴지지요. 보통 약간 뿌연 정도로는 상이 완전히 망가지지는 않읍니다. 그리고 구경이 크면 클수록 씨잉의 영향을 많이 받는 것은 사실입니다만 말씀하신 그런것은 씨잉이 아닙니다. 씨잉이란 상의 흔들림정도 촛점을 맞추기가 어려운 정도이지 아예 뿌옇게 보이지는 않읍니다. 아마도 눈으로 좋았는데 망원경을 보면 뿌옇게 보인다면 렌즈에 이슬이 내렸을 가능성이 많읍니다. 참고로 이슬이 많이 내리는 날은 파인더로 보아도 별이 뿌옇게 보입니다. 이는 렌즈에 내린 이슬때문일수도....확인해 보시기를 바랍니다.
  • 최승용 2004.04.23 09:52 (*.255.244.57)
    요즘 같은 봄철 그리고 중국에서 날아 오는 황사....
    하늘의 투명도는 좋지 않습니다.
    낮에는 높은 하늘의 옅은 구름이 눈으로 확인이 되지만 밤에는 목성이나 금성 또는 밝은 별은 잘 보여서 하늘이 맑을 것이라고 생각 합니다. 하지만 이런 날은 행성을 보면 초점이 맞지 않습니다.
    초보자 같은 경우에는 밤에만 하늘을 보고 날은 맑은데 보이는 것이 이상하게 보인다고 생각 할 수 있지요.
    저도 그날 관측을 했지만 도저히 초점을 잡을 수 없었습니다. 참고로 제가 사용하는 망원경은 10인치 입니다.
    이날 밤에는 이슬은 없었습니다. 다소 한기가 느껴지기는 했지만...
    투명도는 3/10, 싱은 4/10정도라고 생각 합니다.
    그럼 싱이 4/10라는 그리 나쁘지 않은 상태인데도 불구하고 초점을 잡을 수 없는 것은 무슨 이유때문일까요?
    바로 하늘이 옅은 구름으로 덮여 있다는 증거 입니다.
    싱이 6/10정도 되어도 초점이 맞지 않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문병화님 말씀처럼 광학계가 커지면 하늘의 상태에 더 민감하게 반응 합니다.
    광학계의 문제가 아니고 바로 하늘의 상태에 따른 문제이므로 다음에 날 좋으면 다시 한번 관측을 해 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즐거운 관측 하시길 바랍니다.^^

Q&A 질문과 답변

천체사진, 관측장비, 대상정보, 프로그램, 이미지 처리등에 대해 질의해봅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글을 쓰시기 전에 읽어 보세요~ NADA 2004.05.01 9608
322 아..그러고보니..행성도를 볼줄 모르는군요..; 김석현 2003.12.23 1919
321 투유캠 촬영시 먼지 때문에 걱정입니다. 4 이진희 2005.10.23 1918
320 초보적 질문 드리겠습니다.... 2 이한조 2005.08.09 1918
319 [re] 또 다른 모니터 색조정 방법이... 이윤 2005.05.24 1918
318 RegiStax V3.0.1.23 2 김경중 2005.06.13 1917
317 D70 유저인데요... 여기 있는 사진들을 찍어 보려면? 1 김민우 2004.10.27 1917
316 [re] 아베수에 대해서 2 이건호 2003.12.19 1916
315 초보라서 그런데요 디카에 대한 질문이요 예수진 2006.01.01 1915
314 Celestron C8 비주얼백 질문드립니다. 5 김준호 2005.06.29 1915
313 질문입니다! 1 원은지 2003.08.25 1915
312 웹캠으로 별이 보이나요? 8 김준호 2004.12.28 1914
311 [re] 질문) SKY 90 / SCT 9.25 사진촬영 ? 이건호 2004.05.11 1914
310 [re] 혜성 촬영 언제까지 가능한가요,..? 1 박병우 2004.05.07 1914
309 웹캠을 어떻게 장기노출을.... 1 진경호 2005.07.08 1913
» 망원경 구경과 날씨와의 관계는? 2 김청민 2004.04.22 1913
307 반사형 망원경에서의 촬영에 대한 질문 2 배남진 2004.03.22 1913
306 가이드에러... 5 도영재 2005.12.26 1912
305 NR기능이 없는 DSLR에서... 2 박청규 2005.07.28 1912
304 촬영에 대한 질문이요.. 2 이주승 2005.08.27 1911
303 CFW-8 칼라필터, 궁금합니다... 7 노광민 2004.02.07 1911
Board Pagination Prev 1 ...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 73 Next
/ 73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