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2003.11.26 16:30

[re] Flat Filed 촬영방법

(*.101.108.100) 조회 수 2274 댓글 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오히려 제가 준화님께 궁금해 하던 것입니다. ^^;

덕초현등에서 망원경으로 찍을때 기준으로는... 여러가지 방법대로 했습니다.
1. 매뉴얼에 있는대로 흰종이 2장을 서로 마주보게하고 플래쉬를 비추어 찍는 벙법.
2, 박명시 검푸른 하늘에 대고 찍는 방법 (별도 찍히는데... 중간값합성하면 없어졌습니다.)
3. 라이트박스 만들어서 해 보고
4. 속옷을 2장 겹쳐서 찍어보고 했는데

4번이 가장 편하고 잘 되어서 지금은 그 방법을 쓰고 있습니다.

집에서 아무때나...
흰색 상의 속옷을 2장 겹쳐서 후드에 싸 맵니다. 그리고 멀리서 스탠드 등으로 비추면서 플랫을 10장정도 찍습니다.
같은 온도에서 같은 노출로 다크를 찍어 감산한다음...
10장을 중간값으로 합성해서 플랫필드로 쓰고 있습니다.
이 파일을 가지고 플랫영상 처리는 맥심에 calibration에 맡기고 있습니다.

문제는,
먼지, 광학계 비네팅 등에 의해서 생기는 것은 완벽히 잡아 줍니다만,
잡광이 들어 온 것은 잡지를 못합니다. 찍을때와 플랫을 찍을때 조건이 다르기 때문에요.

지난번 말머리를 분당에서 찍을때 Ha의 경우에는 플랫필드없이도 잘 나왔지만(Ha의 특성으로 잡광도 모두 차단하기에)... RGB 프레임은 처리해보니 잡광처리가 안되면 쓸수 없을 정도로 잡광 영향이 많았습니다. 이런경우는 플랫필드와는 다른 방법으로 제거해야 될거 같습니다.

원 프레임에 블루어를 주어 별을 없앤 다음에 빼는 방법은 잘 안되는가요?
전에 이방법으로 쓰시던걸 기억하거든요.
  • 이준화 2003.11.26 17:59 (*.249.97.68)
    광해필터를 끼우고 촬영하거나, 덕초현에서 촬영하는 경우 광해의 영향이 별로 없어서 짧은 노출의 경우에는 별 필요를 느끼지 못했는데, 노출을 오래주다보니 약하지만 불균일한 배경이 나타납니다.
  • 이준화 2003.11.26 18:02 (*.249.97.68)
    예전에 사용하던 방법은 밝은 광해의 영향을 제거하는데는 대충 사용할 수 있었는데, 약한 신호레벨과 비슷한 배경은 제거하기가 쉽지 않더군요. 비슷하게 제거할 수 는 있는데, 깨끗하게 제거되지는 않습니다.
  • 이준화 2003.11.26 18:10 (*.249.97.68)
    가장 궁금한것은 찍혀진 Flat Filed 의 크기를 얼마로 해서 사용하는가 입니다. 찍어논 Flat Field 를 포토샵에서 스케일링해서 어둡게 하거나, 밝게 하거나 레벨을 변경하면 calibration 해서 얻어지는 이미지가 조금 좋아지는 경우도 있고, 엉망이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저의 가장 큰 궁금중은 과연 flat field 의 레벨은 어떻게 맞추어서 사용해야 하는가 입니다. 많은 경우 saturation level 의 1/3 ~2/3 정도로 맞춘다고 했는데, 이 이야기대로라면 대충 레벨을 맞추어 사용해도 별문제가 없다 라고 생각되는데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는 것이 저를 혼란스럽게 만들고 있습니다.
  • 이건호 2003.11.26 23:25 (*.74.94.96)
    전에 해 본 바로는 어느정도 변해도 얻어지는 영상은 비슷했습니다. 현재는 로 1/3 정도(20000) 근처에서 찍고 있습니다.

    플랫 영상은 어떻게 원본에 적용하는가요?
  • 이준화 2003.11.27 11:08 (*.249.97.68)
    그냥 MAXIM 에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 박영식 2003.12.10 14:59 (*.219.33.111)
    linux 에 iraf를 깔아 쓰세요...
    CCD 영상을 다루시는 분들은...
    iraf가 제일 편합니다...

    preprocess 하신후에... maxim 등에서 나머지
    처리(합성...등등)를 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 박영식 2003.12.10 15:02 (*.219.33.111)
    참, flat-field 영상은 최소한 3장 이상의 image를
    사용하시는게 좋구요... 레벨은 말씀하신것 처럼
    10,000~20,000adu(@16bit)가 적당합니다.
    그리고, sky flat이 가장 좋으며... dome flat을 얻기
    힘드시면 전에 찍어놓은 sky flat을 사용하셔도 됩니다.

Q&A 질문과 답변

천체사진, 관측장비, 대상정보, 프로그램, 이미지 처리등에 대해 질의해봅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글을 쓰시기 전에 읽어 보세요~ NADA 2004.05.01 9587
182 초짜 인사 드리고.. 망원경 추천 부탁^^ 1 깡이리 2005.10.02 2058
181 촛점거리가 길수록 성운 촬영 어려움과 ccd 질문 2 구자환 2005.04.03 2165
180 촛점은 어떻게 맞추시나요? 11 유종선 2004.11.03 2794
179 촬영에 대한 질문이요.. 2 이주승 2005.08.27 1911
178 최승용님께 질문!(내용간단) 2 남명도 2003.06.09 2253
177 추운 날씨에서 따뜻하게 우주를 관측할 수 있는 방법 11 박정민 2005.12.22 2038
176 추적할떄 적경,위축을 2 김창민 2004.06.04 2078
175 춘천/원주 지역에서 경통을 자를 수 있을까요? 1 김형근 2013.12.18 1727
174 카메라 내부 파라미터 측정관련 질문.. 4 이성안 2015.12.23 542
173 카메라 렌즈앞의 UV필터는 빼야하나요? 3 별밤 2005.06.29 2571
172 카메라 렌즈와 아이피스를 연결하는 어뎁터 질문입니다, 6 강덕선 2004.07.29 2242
171 카메라 질문..! 1 김혜성 2005.10.27 2070
170 카메라 픽셀 사이즈 관련 질문요~ 12 김종호 2014.03.04 1721
169 카메라렌즈 나사규격은? 2 남명도 2007.12.04 4110
168 카메라선택! 11 박진호 2006.01.24 2459
167 카메라와 천체망원경의 연결에 대하여... 9 김형진 2005.09.21 3490
166 카본 파이프..라기 보단 카본에 대한 정보........(1) 5 송준엽 2006.02.08 3683
165 카본 파이프에 대한 정보..(2) 8 송준엽 2006.02.09 7993
164 카세그레인 계열 망원경 사용할때.. 2 file 최훈옥 2006.01.12 2303
163 카세그레인 망원경 4 여상욱 2004.11.02 2718
Board Pagination Prev 1 ...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 73 Next
/ 73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