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79.196.135) 조회 수 292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NJP가대 극축 맞추기

NJP로 극축을 맞추는 방법은 대략 2가지입니다. 첫 번째 방법은 조견판을 보고 맞추는 방법입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이 방법으로 맞추는 것같습니다만 이 방법은 정밀한 극축이 요구되는 사진촬영에는 부적합한 방법입니다. 조견판 자체가 수분각의 오차가 있을겁니다..

두 번째 방법이 요 위의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현재 제가 한 방법인데, 일년전에 맞춘 극축을 아직 한번도 수정을 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초점거리 1200mm 망원경으로 5분간 노터치 가이드 촬영을 해도 그런데로 볼만할 정도의 별상이 얻어집니다. 물론 자동도입도 잘 됩니다.

이 방법은 기본 원리는 극망에 있는 십자선의 수직선을 지구 중력방향과 정확히 일치를 시키고 난 뒤 그 것을 기준으로 북극성을 찾아서 정확한 북극점을 찾는 원리입니다.

이 수직선을 일치시키는 방법은 넓은 방안에서(강당이 제일 좋음) 가대를 놓고 전방의 10m 정도되는 곳에 실을 추에 매달아 늘어 뜨립니다. 방안에서 하는 이유는 실이 바람에 흔들리지 않게 하기 위해서입니다. 극망을 보면서 실의 방향과 수직선 방향을 일치시킵니다. 극망을 보면서 지구 중력 방향과 수직선이 일치할 때 수평계의 물방울이 가운데 오도록 조정합니다(요것 할 때는 차분한 마음으로 하세요. 급하게하면 시간이 더 걸립니다), 이 작업이 생각보다 시간이 걸리고 까다롭습니다. 그러나 이렇게 한번 세팅만 하면 그 다음은 아주 편합니다.

극망의 수직선이 지구 중력방향과 딱 일치만 한다면, 현재 시각과 현재 관측지의 경도, 위도만 정확히 안다면
1.북극성의 위치가 진북으로부터 어느 각도로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는 알 수있는데, 이것은 가대의 극망의 위치에 북극성을 넣어주면 이것은 해결이 되는 것입니다.
2.요위의 공정에서, 내 가대는 어느 곳에서 설치하던(경사진데 설치하던 편평한데 설치하던) 수평계의 물방울이 가운데 오도록 가대를 조정해주면, 극망의 십자선의 수직선은 지구 중력방향과 정확히 일치한다는 것이므로 위 그림 내용대로 세팅하면 정확한 극축 맞추기가 되는 것입니다.

이 극축 맞춤을 할 수 있으려면 관측지의 위도 경도를 알아야되고, 그 시간의 지방항성시를 구할 필요가 있습니다. 경도 위도는 GPS 에 의해 알수가 있고, 지방항성시는 템마PC 자동도입을 프로그램을 켜면 아래쪽에 ALST란 것이 나오는데 그것이 지방항성시입니다. 물론 저의 경우는 고정관측지이므로 초기 세팅 한번만 하면 되었습니다. 이 방법이 아주 합리적이고, 정밀한 방법인데 이 방법으로 하시는 분들은 별 없는 것같았습니다. 저도 딴 분으로부터 배운 방법이고, 이 교리를 전파를 시켜야하는데, 전파가 안되어서리....

만약 안시 관망의 극축맞춤이라면 조견판으로 해도 충분할 것이란 생각이듭니다.

ps: 중고 망원경을 구입해서 사용설명서가 없다고 하셨는데, 만약 망원경 가게에서 구입하셨다면 사용설명서 복사본을 달래서 한번 읽어보시기바랍니다.


Q&A 질문과 답변

천체사진, 관측장비, 대상정보, 프로그램, 이미지 처리등에 대해 질의해봅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글을 쓰시기 전에 읽어 보세요~ NADA 2004.05.01 9585
1222 10D 질문.. 2 박성래 2003.10.27 2945
1221 em10b에 대해 질문 1 file 임재식 2007.03.31 2939
1220 st-2000xm 구형모델 지금시점에서 매리트가 있는지요.. 3 오동혁 2007.10.05 2938
1219 [re] 디카로 은하수 사진찍기... 1 file 신범영 2005.04.04 2935
» [re] NJP적도의 극축 세팅 방법 file 박병우 2003.08.31 2928
1217 Astro-Physics 1200 이동용 피어 양도하실분 있으신가요?? 신병석 2008.04.16 2925
1216 사진 겹치는법 2 김수현 2007.02.06 2922
1215 [re] 번개 관측지 약도 file 황인준 2003.08.18 2920
1214 가이드 에러... 5 file 김민호 2008.06.04 2915
1213 [re] 파면 오차에 대하여 2 이준희 2004.05.12 2915
1212 오토가이드시 적경축만 가이드하면... 2 권기식 2007.05.22 2909
1211 EM200 마운트의 모델별...? 1 최훈옥 2006.01.04 2907
1210 북극성조견에 대한 질문? 3 file 변성식 2007.06.12 2905
1209 eos 50d 벌브제어 문의 드립니다. 3 김정호 2008.11.15 2903
1208 제 MaxIm DL 은 통....당췌.. ㅠ.ㅠ 18 송준엽 2006.08.23 2900
1207 필름 스캔 잘 하는 곳 추천 알고싶습니다. 1 임재식 2008.08.15 2897
1206 "영인산 자연 휴양림에서 니트혜성 촬영하기"에 올라온 장비 문의좀.. 2 file 전영준 2004.07.03 2891
1205 deepsky imager의 오토가이드 성능?? 5 임재식 2007.03.06 2890
1204 사진분석, 고수님들의 지도편달 부탁드립니다. 1 file 김가람 2008.11.05 2888
1203 Canon 400D는 천체사진용으로 적합한지요? 4 조승기 2007.01.10 2887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 73 Next
/ 73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