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그동안 많은 사진들이 Dica와 D-SLR을 통해서 겔러리에 올라왔습니다.
공통점을 살펴 보면 Di-Ca나 D-SLR 모두 근 적외 영역 근처의 붉은색 표현력이 아주 많이 부족 하거나 거의 표현이 안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왜 그럴까요?
두 종류의 카메라 다 같은 이유는 아닐 것 같고...
또 이를 해결하는 방법은 없을까요?

사실 이미지 처리나 컬러 벨런스 등으로 조금은 커버 할수는 있지만 역시 주파수 별로 골고루 CCD가 담아내지를 못하는 근본적인 문제이기에 과도한 이미지 처리를 통해서 표현 하려 하면 왜곡이 생기거든요.
물론 많은 장수의 합성을 통해 S/N면에서 유리한 화상을 얻을 수는 있으나 색 영역별 표현력은 한계가 있을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일반 디카의 경우 적외 컷트 필터가 들어 있나요?
직초로 찍을 수 있는 D-SLR은 CCD의 특성인가요 아님 프로그램 상에서의 문제 일까요?

전체 표현 한계 화소수에서 R이나 B용 픽셀이 적어서 그런 것인가요?

이런 저런 궁리를 하고 있는 상태라서 도움이 많이 될 것 같습니다.
  • 이건호 2003.05.23 13:13 (*.101.108.100)
    디카,디캠,디SLR모두 적외컷 필터가 들어 있다고 들었습니다.
    굴절렌즈(망원경포함)에서 색수차를 제가하기 위해 노력하지만, 아포크로매틱 굴절의 경우에도 적외선 영역까지 초점면을 완전 일치시키지 어렵다고합니다. 그러면 당연히 적외선부근의 빛은 초점이 퍼지게 되어 안좋은 결과를 나타내고... 이를 방지할 목적으로 IR Blocking Filter를 쓴다 하더군요.
    그런데 일반 디카는 중요한 Ha 영역까지 막는 필터를 쓰는 모양입니다. 일반사진렌즈는 성능이 많이 떨어지니까 그러겠죠?
    냉각CCD에서도 망원경에 따라 IR블록필터를 써야 할 때가 있습니다. (굴절의 경우겠죠.) 제 경우에는 수차조정이 잘 되어서 문제가 없었고.. TOA-130은 설계부터CCD를 염두에 두었기에 역시 그런 문제(적외선이 부풀음)가 없다고 합니다. 만약에 써야 된다면 Ha영역은 잘 투과되는 필터겠죠.
  • 황인준 2003.05.23 18:08 (*.117.19.193)
    그러면 필터를 제거하면 될텐데 경헌 해 보신분 안계세요?
  • 이윤 2003.05.23 21:42 (*.176.147.209)
    제가 쿨픽스5000을 IR Blocking Filter를 제거하고 찍어보았는데 보라색조로 사진이 찍히더군요. 화질도 흐리멍텅해지면서요..
  • 이윤 2003.05.23 21:57 (*.176.147.209)
    적외선이 Red 영역에 감광이 되는것 같습니다. 제 생각인데 IR Blocking Filter를 제거하고 그 위치에 Edmund Scientific에서 여러가지 적외선차단필터 중에서 빛투과 특성이 별사진에 가장 유리하다고 생각되는 거 사서 대신 끼워넣어 보면 어떨까 하는 생각을 전에 했었는데 ....
  • 이윤 2003.05.23 21:58 (*.176.147.209)
  • 이건호 2003.05.23 23:06 (*.79.163.170)
    좋은 방법으로 보입니다.
  • 이준화 2003.05.23 23:29 (*.227.64.113)
    디지털 카메라는 IR 필터가 있는 경우에 맞추어 색상조정이 되어 있을 것입니다. 따라서 IR 필터를 제거하고 사진을 찍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별도로 색상조정을 해야 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제가 생각할때 Raw 이미지 형식으로 데이터를 저장하고, 별도의 색상조정을 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 황인준 2003.05.23 23:55 (*.215.121.200)
    좋은 정보이기도 하고 또 한번
  • 이윤 2003.05.24 10:29 (*.176.147.209)
    조만간에 정리해 보겠습니다.

Q&A 질문과 답변

천체사진, 관측장비, 대상정보, 프로그램, 이미지 처리등에 대해 질의해봅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글을 쓰시기 전에 읽어 보세요~ NADA 2004.05.01 9608
142 퀵캠 4000 을 개조할때 생기는 문제점에 대해서 알고 싶습니다 4 file 이종성 2005.04.04 1851
141 퀵캠 프로 4000 어댑터 1 이재용 2005.07.02 2208
140 퀵캠어댑터 어떻게 만드나요? 1 이재용 2004.12.12 1728
139 클레이포드 포커져..사진용으로 어떤가요... 2 오동혁 2004.07.21 2156
138 타임랩스 촬영시.. 3 김종호 2014.03.18 1739
137 태양 흑점 관측시 필터 문제 (너무 몰라 죄송 ㅠㅠ) 2 조현웅 2006.10.20 2691
136 태양.달용 카메라의 요즘 대세는?? 3 이건호 2013.07.24 1387
135 태양에 대한 질문 3 이종성 2005.04.14 2170
134 텔라드 등배 파인더 궁금한점. 2 유헌석 2006.03.15 2634
133 템마 GoTo 문제 7 김상욱 2009.01.05 2623
132 템마 구입은 했는데...의문점이 있습니다. 4 전영준 2004.08.09 1984
131 템마가대사용시 멈춤현상.. 2 손주호 2009.03.19 2204
130 템마용 오토가이드 만들때... 3 임재식 2007.03.20 3062
129 템마적도의 오토가이더 하는 방법... 2 임재식 2006.04.07 2171
128 토성 AVI 파일 좀 주실분 합성연습;; 2 이종성 2005.03.31 1949
127 토성 합성 1 file 성 대환 2004.01.02 1787
126 토성의 링에 대하여? 1 어진선 2003.10.20 2068
125 토성의 엔케 미니마와 간극에 대하여 2 file 육호준 2003.10.20 2087
124 토우 캠 프로의 초점조절은 어떻게 하나요?(초보) 2 이은주 2004.04.29 2038
123 투유캠 가이드시에 2배바로우... 4 임재식 2006.11.17 2691
Board Pagination Prev 1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 73 Next
/ 73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