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Nebula
2012.08.13 10:00

120805_m27

(*.117.76.123) 조회 수 1431 추천 수 62 댓글 9




120805_m27

올해 휴가는 날씨가 아주 좋았씁니다.
대천, 여수 엑스포, 다시 대천의 일정으로 가족과 함께 했지요.
토요일 밤 10시에 집에 도착해서 샤워만 하고 바로 아산으로 달립니다.
하늘이 좋았기 때문이지요.
정말 투명한 하늘에 밝은 달이 있기는 했지만 지금이 기회가 될 것 같았씁니다.
전 역시나 테스트였기에...
광축도 잡아야 하고....
투명도는 아주 좋았지만 시상이 아주 엉망이었습니다.
안시에서 초점이 잡히질 않을 정도로....
시상의 변화도 너무 심해서 초점 조절에 실패....
광축은 아직도 역시나 조금 문제....
그런데....
모니터를 바꾸기로 했습니다.
원래는 1600x1200을 지원하는 모니터인데 갑자기 해상도가 풀려서 이상한 사이즈로 잡히는 바람에
모니터에 보이는 별상이 중심에서 주변부로 코마를 형성 합니다.
지금까지 광축이라고 생각했던 것이 모니터 잘못이었다니......
정말 이럴줄은 몰랐습니다.
결국 예전에 쓰던 모니터로 바꾸었더니 그나마 그동안 고생했던 것이 한방에 해결 되네요.
물론 세밀한 광축 조정은 조금더 필요했지만 이런 정도면 저에게는 눈감아 줄 수 있는 정도는 됩니다.
어차피 완벽한 광축을 잡을 수 없는 경통의 구조적인 문제가 있으니까요.
4일 밤은 시상이 나뻤던 관계로 이미지가 없고 5일 밤에 찍은 사진으로 이미지 처리를 해 보았습니다.
Ha 이미지를 2장을 넣었더니 배경이 많이 안좋아 지네요.
또한 RGB 이미지가 부족한 지 색감이 제대로 살지 못하네요.
물론 이미지 처리 실력도 문제겠지요...
또 날이 좋아지면 다른 대상도 한번 겨누어 봐야겠습니다.
건강들 조심하시고 (올 여름은 너무 더웠다는....)
그럼...

추가:
리듀서로는 ADT에서 개발한 HD58RC를 사용 했습니다.
이 리듀서는 촬상면과 리듀서 간격을 조절하면 F:6(0.75)까지 줄일 수 있는 구조 입니다.
그러나 이것은 8300CCD까지만 그렇고 11K용은 F:6.4(0.8)까지 입니다.
별상은 보시는데로 구석까지 좋은 이미지를 보여 줍니다.
광축만 조금 더 수정하면 완벽한 별상을 보여 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이것 저것 테스트 할 것이 많은데 광축이 항상 발목을 잡았습니다만 현재까지의 결과로는
HD58RC를 대신할 리듀서를 찾을 수는 없을 것 같습니다.(가격대비)
그동안 많은 고생을 하기는 했지만 현재는 아주 만족스런 결과를 보여 줍니다.
경통도 철경통에서 카본 경통으로 교환하면서 하루 밤 초점 변화도 거의 없네요.
또한 경통 자체에서 생기는 플레어 현상이 있습니다. RC 사용하시는 분들 참고 하세요.
베이플 내부에서 생기는 현상이 더군요. 저는 분해해서 내부에 무광 도색을 다시 했습니다.
그리고 베이플이 조금 짧다는 생각이 들어서 조금 길게 하는 어뎁터도 만들었지만 이번에는 사용하지 않았습니다.
플랫을 잘 찍으면 이런 모든 것이 해결 됩니다.
망원경 자체로써는 정말 가격대비 최고 입니다.
아무튼 다음번 관측이 또 기대 됩니다.
그럼....


.............................................................................................................................................

촬영시간 : 2012년 8월 5일
촬영장소 : 충남 아산시 송악면 마곡리 호빔천문대
망원경 :  GSO 10RCF(카본경통)
적도의 : Skymax V + Anygoto
카메라 : QHY9 + Korecton HD58RC
가이드 : OAG + QHY5
L     : 600s x 8ea (1x1) (-15C)
Ha   : 900s x 2ea (1x1)
R     : 600s x 10ea (1x1)
RGB : 300s x 4ea(2x2)

  • 박영식 2012.08.13 10:50 (*.253.237.162)
    빨간 사과가 됐습니다. ^^
    구석구석 별상 좋아요...
    광축에 만족하셨다니 다행입니다. ^^
  • 이광호 2012.08.13 14:25 (*.144.255.38)
    광축 촛점 좋습니다
    완벽한 사진이네요
  • 황인준 2012.08.13 16:56 (*.27.253.206)
    알흠다운... 말이 필요없는... 대한민국 최고의 열정가... 아마 세계 최고 일지도..^^
  • 임재식 2012.08.13 20:07 (*.206.51.155)
    오랜만에 올리신 테스트 사진이 멋집니다^^
  • 김호섭 2012.08.13 21:55 (*.93.163.125)
    아래사진은 크롭하지 않은 원본 사이즈인가요?..구석의 별상이 저정도면 ADT의 리듀서는 한마디로 [물건]입니다.
  • 박대영 2012.08.14 19:50 (*.252.203.13)
    열정이 넘치는 사진입니다. 시상이 좋은 날을 만나야 할텐데요..^^
  • 최승용 2012.08.16 16:51 (*.117.76.123)
    김호섭님!
    주변부 아주 약간은 이미지 얼라인먼트 하면서 어쩔 수 없이 짤릴 수 밖에 없는 상황이구요.
    제가 의도적으로 주변부를 자르지는 않았습니다.
    그러니까 8300의 풀프레임에 가깝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미지 사이즈만 줄였습니다.^^
  • 이건호 2012.08.20 11:14 (*.101.107.100)
    우와~~~ 사진 참 곱네요~ 원추!
  • 서길원 2012.08.21 17:53 (*.78.73.204)
    참 부드러우면서도 자연스런 사진이네요...형님 잘 지내시죠??...^^;;;

  1. 120805_m27

    120805_m27 올해 휴가는 날씨가 아주 좋았씁니다. 대천, 여수 엑스포, 다시 대천의 일정으로 가족과 함께 했지요. 토요일 밤 10시에 집에 도착해서 샤워만 하고 바로 아산으로 달립니다. 하늘이 좋았기 때문이지요. 정말 투명한 하늘에 밝은 달이 있기는 했지...
    Date2012.08.13 CategoryNebula By최승용 Views1431
    Read More
  2. 120219_m1

    120219_m1 이번에는 정말 테스트 사진 입니다. 제가 가지고 있는 GSO 10RC와 이번에 ADT에서 개발한 HD58RC의 조합으로 성능 테스트를 한 것 입니다. 2월 18일, 토요일은 맑고 투명한 하늘에서 함박눈이 내리는 진기한 현상을 경험하면서 그냥 날을 지새울 뻔...
    Date2012.02.21 CategoryNebula By최승용 Views1206
    Read More
  3. 11k Rosette nebula3탄 Ha버전

    11k첫 사진입니다. fsq-106 STL11k astrodon rgbc, Ha(6nm) 1월 21일 덕초현 천문인 마을 Ha1200X12 G 240X4 B 240X4 무슨이유에선가 ..L로초점을 맞추고 RGB를 찍었지만..... R은 총 240초6장을 찍었으나 초점이 맞질 않아서 버렸습니다. 덕초현에서 박현권...
    Date2006.01.22 CategoryNebula By남명도 Views877
    Read More
  4. 111226_ic443

    111226_ic443 12월 25일 성탄절 밤 하늘이 좋아서 가족과의 저녁 약속도 펑크내고 아산으로 달려 갔었는데..... 찍을 만한 시간이 되자 하늘에 별과 구름이 함께 하면서 눈이 조금씩 내리더군요. 그래서 결국은 새벽에 철수를 하였지요. 그리고 다시 월요일 ...
    Date2011.12.27 CategoryNebula By최승용 Views1086
    Read More
  5. 111222_ngc2264

    111222_ngc2264 12월 22일 목요일 밤에 아산에서 촬영한 크리스마스용 입니다. 이날은 밤새 날이 좋아서 간만에 즐거운 마음으로 촬영할 수 있었씁니다. 조진원씨, 임경순씨가 함께 했었씁니다. 동장군이 찾아와서 좀 춥기는 했지만 그래도 날이 맑다는 것으...
    Date2011.12.24 CategoryNebula By최승용 Views946
    Read More
  6. 111218_ngc2244_ngc2237

    111218_ngc2244_2237 (오늘 새벽에 찍어서 처리하고 방금 올립니다.^^) 요즘 망원경의 개조와 카메라의 변경으로 인하여 마음은 빨리 많은 대상들을 찍어 보고 싶으나 하늘은 전혀 도와 주질 않고 있네요. 2011년 12월 17일 토요일 밤에 아산으로 달려 갔으나...
    Date2011.12.19 CategoryNebula By최승용 Views1422
    Read More
  7. 111204-m45

    111204_m45 2011년 12월 2일 밤부터 아산 호빔에 있으면서 이번에 새로운 장비를 테스트 하였씁니다. QHY9과 3인치 코렉터의 조합으로 한번 테스트 해 보고는 바로 카메라를 교체하는 일이 생겨서 조급한 마음에 아산으로 달려 갔지요. 장비는 그동안 화각으...
    Date2011.12.07 CategoryStar Cluster By최승용 Views1451
    Read More
  8. 111204-ic434

    111204_IC434 sbig stl 11000m의 두번째 테스트 이미지 입니다. 토요일 밤에 촬영한 M45는 구름의 영향으로 rgb를 충분히 얻지를 못했는데 다음날인 일요일날 밤에도 초반에는 구름으로 인하여 촬영을 하지 못하고 있었씁니다. 결국 철수를 고민하게 되었을 ...
    Date2011.12.12 CategoryNebula By최승용 Views1542
    Read More
  9. 111120_ic434

    111120_ic434 말머리 성운과 그 주변.... (말머리가 화관을 쓰고 있네요.^^) 화각이 작아서 맛은 없지만 그래도 정말 오랜만에 맑은 하늘 밑에서 온갖 삽질을 해보았던 날이었습니다. 더구나 시상이 영 좋지 않아서 별이 호빵만 합니다. 초점도 수시로 변해서...
    Date2011.11.24 CategoryNebula By최승용 Views1368
    Read More
  10. 110923_ngc7331 & Stephan's Quintet

    110923_ngc7331 & Stephan's Quintet 2011년 9월 23일 금요일 밤 아산 호빔에서 촬영한 ngc7331 입니다. 이날부터 하늘이 계속 좋아서 토요일 월차를 내고 일요일까지 있었습니다. 맑은 하늘을 몇일간 마음 푹 놓고 볼 수 있다는 기대감과 함께 별사진을 찍고...
    Date2011.09.27 CategoryGalaxy By최승용 Views1024
    Read More
  11. 110921_m33

    2011년 9월 21일 호빔천문대에서 촬영한 m33 입니다. 일본을 직격한 태풍의 영향으로 자정까지 구름이 오락가락 하는 하늘이었지만 간만의 짙은 하늘색이 호빔으로 향하게 만들었습니다. 호빔장과 함께 이런저런 이야기도 나누면서 하늘이 좋아지기를 기다렸...
    Date2011.09.22 CategoryGalaxy By최승용 Views1039
    Read More
  12. 110905_m27_gso10rc-firstlight

    2011년 9월 5일 밤부터 촬영을 시도한 m27 입니다. 지난 몽골 관측 이후 이렇다할 관측 실적이 없는 동안 또 장비 업글병이 도져서 대만의 GSO에서 나온 10인치 RC 스틸 경통을 영입하게 되었씁니다. 현재 가지고 있는 장비도 초점거리가 1000mm인데 이번것은...
    Date2011.09.06 CategoryPlanetary Nebula By최승용 Views1374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382 383 384 385 386 387 388 389 390 391 ... 411 Next
/ 411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