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2005.12.11 21:38

20인치 완성

(*.138.182.126) 조회 수 3552 추천 수 149 댓글 1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지난 7월부터 본격적인 작업에 들어가  5개월 만에 20인치 반사망원경 제작을 마쳤습니다.    망원경을 직접 만들기가
처음인지라 섣불리 작업을 시작하지 못했지만 구상한 시간이 오래된 만큼 예상보다 시행착오는 많지 않았습니다.
작업하는 동안 청계천과 문래동을 수없이 오가며 배운 지식들은 향후 필요한 분들과 함께 공유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
망원경의 전체 구조는 이미 검증된 트러스 구조를 택했으며 미러셀 부착 방식은  센트리온18인치와 유사한 방식으로 제작
했습니다.   이 방식은 구상만 했다가 실제 적용사례가 없어 포기했었는데 센트리온18인치가 비슷한 구조로 설계된 것에 확신을
갖었습니다.     미러셀 부분은 베어링을 활용한 18점 지지 방식이며 가장 고민했던 측면 지지는 개인적인 생각대로 제작을
했습니다.   한마디로 모험을 했죠 ^^;    사경 지지부는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십자형식은 접안부와 카메라를
부착하기에 강도가 부족하지 싶어 해외의 대형 반사망원경의 사경 지지부에서 힌트를 얻었습니다.   반사망원경처럼
안시관측이 가능하며 사경부분을 분리하면 바로 촬영이 가능하도록 접안부는 2가지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플래이트 부분은 무게를 줄이기 위해 속부분을 원형 4cm 깊이 12mm 60개를 파냈고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H빔
구조로 보강대를 부착하였습니다.  안시 접안부 반대편의 차광막 작업도 필요하고 겨울이다보니 관측하면서 내뿜는 입김이
바로 아이피스와 사경 사이로 들어가다 보니 상이 많이 불안정했습니다.  마지막에 시간이 부족해서 알루미늄 파이프에
보온재를 입히지 못했는데....   몇 부분만 더 보강하면 훌륭한 망원경이 되리라 기대합니다.
  • 황인준 2005.12.11 21:40 (*.207.101.121)
    대단합니다.
    아노다이징도 하고 축면 접안 유닛 붙이고 총알구멍까지 내니 뽀대도 엄청납니다.
    정말 근사하고 축하드립니다.
  • 박진홍 2005.12.11 21:51 (*.138.182.126)
    감사합니다. 다... 도움 주신 덕분입니다.
    주위 분들의 도움, 지원이 없었으면 상상도 못했던 일입니다.
  • 육호준 2005.12.12 02:04 (*.211.82.136)
    20인치의 위용이 대단합니다.
    사진또한 걸작이 만들어지겠군요.
    기대해봅니다.
  • 이건호 2005.12.12 08:19 (*.101.107.100)
    ㅎㅎ 머리 숙인 자세가 그 위용을 말해주는 것 같습니다.
    성능이 어떨지 정말 궁금합니다. 나중에 한수 배우러 갈께요~
  • 김일순 2005.12.12 09:58 (*.104.39.86)
    근사하고 멋집니다. 그 크기에 위앞감을 느낌니다. 다시한번 축하드립니다.
  • 박대영 2005.12.12 12:35 (*.98.199.230)
    걸작 탄생!! 축하합니다..앞으론 종종 중앙천문대에 놀러가야 겠네요..^^
  • 박진홍 2005.12.12 13:10 (*.226.36.113)
    감사합니다 ~~
    안시부분 차광막 등 몇가지 보완한 다음 사진 촬영도 해볼까 합니다만....
    사진은 내년이 되야 하지 싶습니다 ^^;
    중앙천문대 지붕에 경통이 걸리기 때문에 조심조심 합니다만 걱정이 됩니다. 지붕도 그렇고 망원경도 그렇고...
    근처 관측 오실때 중앙 천문대에 놀러오세요~~
  • 이경화 2005.12.12 18:26 (*.120.171.240)
    축하해요. 옥상이 망원경무게를 어찌견디나 걱정됐는데, 구멍들의 예술적인 연결로 산뜻하게 탄생되었군요.
    무척 궁금하네요. 언제나 볼수있을지.. 굉장하고 대단하시네요. 다시한번 축하드립니다 ~
  • 이준화 2005.12.14 20:55 (*.249.97.69)
    정말 대단하십니다. 20인치로 보는 세상이 궁금해지는군요.
  • 박진홍 2005.12.15 10:49 (*.104.85.29)
    구멍을 뚫긴 뚫었는데 그리 많은 무게를 줄이지는 못했습니다.
    중앙천문대 옥상에서 다른 망원경들만 가리고 있어 죄송한 마음 뿐입니다.
    이번주 보름달 아래서 테스트샷 해보려 하는데...
    전 망원경 성능보다 적도의가 잘 추적을 해줄지 걱정입니다 ^^;

천문 장비 / 이벤트

자작장비 및 천문장비 세팅사진 및 천문행사/번개관측 등의 모습을 담아봅니다.

  1. 결국 스카이메모를...

    EM-10에 67 피기백 촬영이 어려워 적도의 업그레이드를 생각하다가 결국 피기백 전용 적도의를 장만했습니다. 중고는 못 기다릴 것 같아 신품 구매해버렸습니다. 짐이 늘어서 걱정이긴 합니다만... 낑낑대는 EM-10의 큰 짐을 덜어주게 되어 기분이 좋네요... ...
    Date2006.02.12 By권기식 Views2633
    Read More
  2. 제 장비

    하나는 NADA 제1천문대에 설치된 필름사진촬영 시스템이고.. R200SS + EM-200 TemmaII jr. 다른 하나는 집에 가지고 있는 행성촬영/관측 시스템 입니다. Orion 10" 반사 (f/4.8) + GPD-PC NADA 에 가입한 후 그동안 수없이 강력한 뽐뿌신공을 견뎌냈다고 생각...
    Date2006.02.09 By지승용 Views4186
    Read More
  3. 진행중 프로젝트(350d)...

    350d를 가지고 진행하고 있는데 지금 밀링작업중에 있고 빠르면 앞으로 5-10일안에 테스트샷을 찍을 수 있을거 같습니다. 1.수냉,공냉식 선택적으로 하도록.. 2.상온대비 -30도 냉각..(희망^ ^) 가능하면 원터치 착탈개념으로 했으면 하는데 디테일설계가 쉽...
    Date2006.02.07 By이윤 Views2483
    Read More
  4. 플랫을 찍는 남명도님

    2006년 2월 5일 새벽 덕초현에서
    Date2006.02.06 By이건호 Views2095
    Read More
  5. EOS-350D 펠티에 냉각개조

    그동안 지지부진 하던 냉각개조를 이번 설 연휴에 완성 해 봤습니다. 아직 온도제어와 쿨링펜,카메라 전원공급기가 완성되진 않았지만 테스트는 해 봤습니다. 온도를 영하도 내려도 성애가 생기거나 하지는 않는데.. 습기제거는 이건호씨가 찬조해준 흡습제(...
    Date2006.02.06 By임정수 Views3521
    Read More
  6. 선숙래 님의 15인치 트러스 뉴토니언

    오늘 아침에 덕초현의 NADA 제1천문대에서 장비를 정리하다가, 선숙래 님의 15인치 트러스 뉴토니언 앞에서 함께 찍은 사진입니다. 파란 하늘과 주변 설경이 어우러져 상쾌한 아침이었습니다. 간밤의 밤하늘도 좋았으나 무척이나 추웠습니다.
    Date2006.02.04 By윤홍선 Views2217
    Read More
  7. 2006년 1월 20일 번개관측

    지난 금요일 분당 율동공원에서 있었던 번개관측사진입니다. 가로등이 아주 밝아서 좀 그렇지만 행성과 달만 보는데는 지장없이 넓고 좋았습니다. 간만에 HP250에 돕드라이버로 쨍한 토성을 한없이 보다가 들어 왔습니다.
    Date2006.01.23 By이건호 Views2268
    Read More
  8. 현권씨와 장비

    아침에 장비철거중이신 현권씨의 몰카입니다. 최신 헤어스타일을 하고계셨습니다^^
    Date2006.01.23 By남명도 Views2380
    Read More
  9. 별마실 관측소에서

    별보러 마실갈까요? ^^; 지난 1월 6~7일에는 안흥에 새로 지어진 김삼진님의 별마실천문대에서 보냈는데, 깔끔한 집과 슬라이딩루프 관측소가 어우러진 멋진 곳이었습니다. 몇장 사진을 더 올려 놓았으니 구경한번 해 보시기 바랍니다. 링크 -> http://astrop...
    Date2006.01.10 By이건호 Views3298
    Read More
  10. 20인치 완성

    지난 7월부터 본격적인 작업에 들어가 5개월 만에 20인치 반사망원경 제작을 마쳤습니다. 망원경을 직접 만들기가 처음인지라 섣불리 작업을 시작하지 못했지만 구상한 시간이 오래된 만큼 예상보다 시행착오는 많지 않았습니다. 작업하는 동안 청계천과 문래...
    Date2005.12.11 By박진홍 Views3552
    Read More
  11. 기변 신고입니다.

    67에서 67 II로 바꿨습니다. 별사진에는 과분한 바디지만 오랫동안 사모해오다가 드디어 가지게 되었네요... 별사진이든 풍경이든 찍는 빈도는 비슷할 것 같은데 일단 신고해봅니다.. ^^; 가지고 있는 렌즈 중 75mm가 가장 광각인데 조금 더 광각만 구비하면 ...
    Date2005.12.07 By권기식 Views2434
    Read More
  12. 일본방문 - 사지 아스트로 파크 103cm

    사지 아스트로 파크의 103cm 망원경과 연구원들.. --------------------------------------- 일본방문관련 사진들을 전시해 놓았습니다. 관심있으신 분들은 더 구경하고 가세요..^^ http://astronavi.co.kr/zeroboard/zboard.php?id=gal_scrap
    Date2005.11.30 By황인준 Views318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38 Next
/ 38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