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224.149.80) 조회 수 1538 추천 수 151 댓글 12




말머리 주변의 성운과 더불어 꼭 찍어보고 싶은 화각의 영역이었습니다.
가대의 유격을 조금 손보고 도착한 관측지에서 갑자기 모터가 움직이지 않아 현장에서 다시 조립하느라 진땀뺐습니다.
거의 영하15도 훨씬 이하의 추위에 손본 가대기어 유격이 너무 작아서 그랬던거같습니다.
일찍 도착했지만 달도 있었고 이런저런 시스템을 고치느라 결국 자정무렵부터 촬영에 들어갔습니다.
부실한 볼헤드때문에 많은 장수를 버릴 수 밖에 없어서 아쉬웠습니다.
Ha를 이용한 이미지처리는 어떤게 정답일까 여러가지 방법으로 해보다보니 완전 미궁에 빠지게 되버렸습니다.
다만 조금 더 원색에 가깝게 처리해보려했지만 DSLR에서 처리하기가 쉽지는 않네요...
다크이미지를 현장에서 찍다가 에러가 나서 처리를 못했습니다. 다시 다크만 찍어 시간날때 재처리해볼까 합니다.

Date: 2008. 12. 05(양평군 양동면)
Camera: 350D (비냉각/필터개조)
Exposure: ISO800 LPS-P2 (600s 8장)  Ha (600s 8장)
Optics: 니콘 MF105mm (F1.8->F4)
Mount: Takahashi Temma2
Guide: Meade DSI(GPUSB Guiding)
  • 이상희 2008.12.07 13:01 (*.96.18.28)
    요즘 불쌍한QHY8은 어쩌시고 DSLR로 찍어시나요.??
    냉각이던 비냉각이던 고수의손에 걸리면 에누리 없군요.

    적도의 한대로 전샘의 끝없는야망을 채우기엔 너무 부족해 보입니다 .
    다음에는 멋진작품 두배로 보여주십시요 ㅎㅎㅎ 뽐뿌뽐뿌~~~
  • 고창균 2008.12.07 15:35 (*.7.236.90)
    아, 요즘 제가 좋아하는 '고품격 광시야 사진'들을 다양하게 접할 수 있어 무척 기분이 좋습니다.
    광시야 만세~!
  • 김삼진 2008.12.07 20:49 (*.78.141.85)
    장미부터 크리스마스까지 광시야가 대세 인가봅니다.^^멋집니다.
  • 권기식 2008.12.07 23:58 (*.28.198.246)
    저 두 대상이 저렇게 가까이 붙어있었군요...
    겨울 전천을 모자이크로 찍어보실 생각은 없으세요? ㅋㅋㅋ
  • 김형석 2008.12.08 01:23 (*.253.198.4)
    꿈에만 그렸던 화각인데 ㅜ,ㅜ
    니콘105가 FSQ로 변신했네요 ^^
  • 황인준 2008.12.08 10:02 (*.229.212.117)
    광시야의 광풍이군요.. 사지이야 늘 전샘사진 답게 끝내줍니다. 낙하방지 너트에 먼지가 뽀얗게 쌓여있네요..
    택배로 보낼까요?
  • 전승표 2008.12.08 10:06 (*.103.83.29)
    nikkor 150mm... 쪼끄만 놈이 참 대단합니다.
    허블변광성운까지 찍혀나오네요.
    이미지 너무 좋구요, 앞으로도 광시야 작품들 많이 부탁합니다.
  • 김일순 2008.12.08 10:51 (*.110.19.24)
    참 멋진 광시야 사진입니다. 늘 그렇듯이 작품입니다.
  • 지승용 2008.12.08 13:31 (*.231.14.58)
    제가 알고 있느 크리스마스 트리가 아니네요. 앞으로 크리스마스 트리 찍어도 저에게 만족스런 사진 얻기는 힘들것 같습니다. 휴~
  • 박현권 2008.12.08 13:44 (*.253.243.146)
    이번주 165mm + 11000으로 크리스마스랑 장미를 한화각에 찍기위해 갔었습니다.
    근데 만천의 1/4인치 나사가 옆면에 붙어있어, 결국은 화각이 90도 틀어 진다는 사실을 도착해서야 알았고,
    렌즈 문제등으로 공치고 왔는데...

    제맘을 알고서 먼저 찍어서 올려주셨네요.
    다음번 화각 잡을때 많은 도움이 되겠습니다.

    두놈이 인접한줄만 알았는데, 서로 붙어있었네요... 첨알았습니다.

  • 김호섭 2008.12.08 17:13 (*.142.222.126)
    밤하늘 공부하는 교재로 쓰기 좋겠네요. 따로 알고 있는 익숙한 두대상이 사이좋게 있으니 더 보기 좋습니다.
  • 최승용 2008.12.08 17:27 (*.117.76.123)
    망원경만이 아니라 카메라 렌즈도 종류별로 가지고 있어야 하겠군요.^^
    넓고 멋지게 나왔네요.

  1. 캘리포니아성운, ngc1499

    8월 17일, 그 좋았던 날, 세번째로 찍은 이미지입니다. 오랜만에 만난 황홀한 밤하늘이 너무나 아까워서 이것 저것 욕심내다 요놈(?)까지 손을 대었습니다. 나중에 충분한 노출로 찍어도 되었을 것을.... 필름으로 찍을 땐, 전체 모양이 캘리포니아반도를 닮...
    Date2007.08.21 CategoryNebula By고창균 Views1540
    Read More
  2. M5

    뱀자리에 있는 시직경 약 32'의 커다란 구상성단으로 M13과 비교해볼때, 중앙의 밀집도가 다소 낮아 보이지만 상당한 넓이까지 성단이 흩어져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시상이 좀 않좋은데다 바람도 있어서 별상이 좀 커보입니다. 지난주 일요일 포천에 일...
    Date2007.03.29 CategoryStar Cluster By신범영 Views1540
    Read More
  3. M1 Crab Nebula - Ha

    Ha만 처리를 따로 해 보았습니다.. 정말 징그럽네요.. 배경노이즈도 있고.. 별색도 음침합니다. 한장이 어떤이유에서인지 가이드가 튀어 별상이 이상하지만 다 사용을 했습니다. 사진관측 차원에서 올립니다. ADT Kastron 380DS w/ Astrooptics 3" Wynne Corr...
    Date2006.10.04 CategoryPlanetary Nebula By황인준 Views1539
    Read More
  4. 메시에 목록

    이 사진은 지난 2003년에 CCD 촬영을 하면서 부터 2006년 지금까지 촬영한 메시에 목록을 번호별로 나열한 사진입니다. 이제와서 보니 미숙한 부분이 많이 보이는 사진들이지만, 차츰 보완을 해 나갈 예정입니다. 좀 더 큰 사진(원본의 1/3사이즈)은 아래 링...
    Date2006.03.23 CategoryNebula By이건호 Views1539
    Read More
  5. M61 처녀자리 나선은하

    처녀자리에 있는 정면 나선은하입니다. 이날은 시상은 좋았지만 바람이 많이 불었던 날로 기억이 됩니다. 앞이 터진 대구경 뉴튼식의 경우는 특히 바람에 약할수 밖에 없더군요. 바람막이를 설치해야 될지... 아래에는 M61과 모양이 비슷한 13.6등급의 정면 ...
    Date2004.06.08 CategoryNebula By이건호 Views1539
    Read More
  6. 페르세우스이중성단

    이틀전 최승용님 장미 찍으실 때 촬영해 봤습니다. 페르세우스 이중성단 찍고 카메라를 돌려서 플랫 처리를 못했습니다. 덕분에 가운데와 주변이 색감 농도가 다르네요. MC700ProType, Epsilon 250, QHY10 5분 10장 스텔라이미지,맥심dl5 위 사진은 크롭한 사...
    Date2010.11.04 CategoryStar Cluster By임재식 Views1538
    Read More
  7. 크리스마스트리와 장미 한송이

    말머리 주변의 성운과 더불어 꼭 찍어보고 싶은 화각의 영역이었습니다. 가대의 유격을 조금 손보고 도착한 관측지에서 갑자기 모터가 움직이지 않아 현장에서 다시 조립하느라 진땀뺐습니다. 거의 영하15도 훨씬 이하의 추위에 손본 가대기어 유격이 너무 작...
    Date2008.12.07 CategoryNebula By전영준 Views1538
    Read More
  8. [재처리]NGC2237 장미성운

    어제 날이 좋아서 평일이지만 양평으로 무리를 해서 나갔습니다. 무척 추웠지만 관측지에서 비빔밥도 먹고 느긋하게 앉아있다 왔습니다. 게으름을 피운 결과로 극축이 맞지 않아 우하단 별이 돌았고, CCD를 정확히 꽂지 않아 별상이 완전히 엉망입니다. 가이...
    Date2007.12.05 CategoryNebula By김형석 Views1538
    Read More
  9. NGC206 in Andromeda Galaxy

    안드로메다 은하안의 산개성단입니다. 자세히 보면 주변에 붉은 산광성운을 많이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역시 노출이 아쉬운 사진이 되어버렸습니다.. 이런 시상 좋고 투명도 역시 좋은 날 노출만 많이 주었다면.. 하지만 사람 욕심이. 워낙 별빛에 굶주리다...
    Date2006.09.14 CategoryStar Cluster By황인준 Views1538
    Read More
  10. 오리온 중성운(300D)

    번개관측에서 300D 테스트로 찍은 사진입니다. MT-160 용 리듀서를 사용했고, 30초노출 raw 10장을 축소해서 저장후 maxim 에서 평균합성한후 포토샵에서 레벨,곡선,언샵등을 한 이미지 입니다. 주경을 원위치에서 접안부쪽으로 2.5cm 정도 이동하였고, 사경...
    Date2004.02.06 CategoryNebula By이준화 Views1538
    Read More
  11. M65, M66

    * Telescope : Pentax 125SDP (fl=800mm / f6.4) * Mount : Takahashi EM-200 Temma2 Jr. * Camera : SBIG ST-2000XM / CFW9 + Astrodon Filter set * Exposure : L = 600s * 15 (1*1), RGB = each 6*300s (2*2) * Date : 2011. 4. 4 ~ * Location : 경남 의...
    Date2011.04.08 CategoryGalaxy By전승표 Views1537
    Read More
  12. 070210_m42

    2007년 2월 10일 대부도에서 촬영한 오리온 입니다. 지난번에 초점거리를 잘못 잡고 촬영하는 바람에 이상한 모습이 되어버렸었지요. 렌즈를 빌려준 분을 생각하면 이것은 아니다라는 생각이 들어서 어뎁터를 주문하고 기회를 노렸다가 지난 토요일밤에 촬영...
    Date2007.02.12 CategoryNebula By최승용 Views1537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 411 Next
/ 411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