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Nebula
2008.02.25 15:32

M42

(*.81.30.100) 조회 수 2330 추천 수 222 댓글 13




여러장비들 세팅과 이런저런 이유로 양산까지는 시간이 걸릴듯 합니다.
시스템 하나가 겨우 세팅이 되어 가이드하며 찍어 보았습니다.
10XE로는 늘 불루밍때문에 고생했던 M42입니다.
인기가 없어 저렴하게 손에 넣은 DED108과 QHY5 가이더로서의 테스트였습니다.
약간 세팅을 다르게 하거나 하면 좋은 기기인 듯 싶습니다.

Vixen ded108
Takahashi NJP Temma2
QHY8
400s X 5
30s X 5
가이더 Pentax 125SDHF + QHY5 mono

2008년 2월 24일 충남 아산 호빔천문대

DED108는 중고가격이 저렴해 늘 관심이 가던 경통이었습니다.
내장 프래트너와의 최적거리가 아니어서 별상은 그저 그렇습니다.
하지만 최적거리에 놓고 사용하면 평탄면 90미리 짜리 가치있는 망원경입니다.
달 덕분에 노출을 넉넉히 줄 수 없었습니다.
원 없이 찍어 보고 싶은 M42는 결국 다음 시즌을 기약해야 하지 않을까 합니다.

늘 테스트에 머무르는 이번 시즌은 마치 다음 시즌 준비 같습니다..
조금 후면 황사에 송화가루에....
  • 최승용 2008.02.25 15:39 (*.78.47.13)
    기다리던 이미지가 올라 왔군요.
    바탕이 조금만 더 어두웠으면 어떨까 하는 생각이 들기는 하지만
    현재로써도 엄청난 이미지 입니다.
    대부도에서도 이렇게 찍힐까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하고....
    기회되면 저도 마지막으로 m42를 한번 더 찍어 봐야겠습니다.^^
  • 신범영 2008.02.25 17:04 (*.254.250.124)
    새로운 시스템이 궁합이 잘 맞는 것 같습니다.
    짧은 노출에서도 오리온의 화려한 성운이 제대로 나왔네요.
    시즌 맞춰서 노출매수만 늘리면 대박이겠습니다.^^
  • 고창균 2008.02.25 17:58 (*.7.236.170)
    아, 좋습니다. 다양한 시스템들이 호빔천문대에 차곡차곡 쌓여지는군요.
    단 하루만에도 다양한 장비들로 밤하늘을 초토화시키겠습니다. 한 번 놀러가봐야할텐데....
  • 도영재 2008.02.25 18:26 (*.151.162.42)
    중심부도 보이고 밝은 달빛에도 잘 나왔습니다.
    저도 qhy하나 마련해야 하는데 급할 것이 없다고 생각되어 미루고 있습니다.^^
    추후 대구경 반사 사용시에 세트로 맞출계획입니다.
  • 김형석 2008.02.25 19:15 (*.253.198.17)
    소구경 굴절인데도 중심부의 디테일이 무척 좋습니다.
    황인준님 시즌 2가 기대됩니다. ^^
  • 선숙래 2008.02.25 21:00 (*.39.188.33)
    역시 지존입니다.
    10장으로 이 정도 디테일을 만들어내다니요.^^^^
  • 유종선 2008.02.26 09:54 (*.155.236.134)
    색감이 독특하고 우아한 느낌이 듭니다.
    같은 카메라를 가지고도 충분히 성능을 못내고 있는게 한스럽습니다. ㅠ.ㅠ
  • 강문기 2008.02.26 10:06 (*.132.58.21)
    세부를 자연스럽게 잘 표현한 영상입니다. 멋집니다.
  • 전영준 2008.02.26 19:52 (*.238.80.182)
    중심부 성운을 자글자글하게 잘 표현이 되네요.
    한수 배워야하는데 다음 월령때 찾아가 뵙고싶습니다.
  • 권기식 2008.02.26 22:15 (*.77.37.47)
    마지막 오리온이 아닐까 싶네요...
    올 겨울에는 좀 더 넓은 화각으로 다시 한 번 찍어보고 싶은 대상입니다.
    영원한 표적~ ㅎㅎㅎ
  • 박영식 2008.02.28 00:33 (*.26.42.218)
    작은? 구경으로 멋진 사진찍으셨네요...
    조만간? 와인 한병사들구 성준씨랑 같이 가겠습니다. ^^
  • 황인준 2008.02.28 13:39 (*.81.30.100)
    테스트 샷에 그보다 더 멋진 리플들입니다.
    장비 세팅이 쉽지 않네요... 고샘, 전샘, 박샘들 언제든 날 좋으면 놀러와요..^^
  • 박정용 2008.03.04 00:36 (*.106.199.242)
    작은 구경으로도 기찬 이미지를 얻었습니다.
    성운기가 가득하군요.

  1. M42

    여러장비들 세팅과 이런저런 이유로 양산까지는 시간이 걸릴듯 합니다. 시스템 하나가 겨우 세팅이 되어 가이드하며 찍어 보았습니다. 10XE로는 늘 불루밍때문에 고생했던 M42입니다. 인기가 없어 저렴하게 손에 넣은 DED108과 QHY5 가이더로서의 테스트였습...
    Date2008.02.25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2330
    Read More
  2. 메로페성운

    오랜만의 촬영이었습니다. 준비되지 않은, 갑작스럽게 결정한 관측이었지만 모처럼 맑은 날이었습니다. 장소: 경기도 양평군 옥천면 용천리 촬영일: 2007년 9월 8일 망원경: GSO 8" 뉴턴식(F/4) w/Vixen Coma Corrector 마운트: Takahashi NJP w/FS2 카메라: ...
    Date2007.09.09 CategoryNebula By박대영 Views2328
    Read More
  3. M51 부자은하

    장마철, 기말고사기간을 이용하여 재고정리합니다. 몇년전에이어서 최근 초신성이 발견되어 관심을 끈 대상인데 2010년 겨울에 찍어놓고 시간이 없어서 이제서야 꺼내봅니다. 아래사진은 R 대신 Ha채널을 이용하여 은하의 보라색 산광성운을 강조해보았습니다...
    Date2011.07.01 CategoryGalaxy By신범영 Views2322
    Read More
  4. NGC4565

    NGC4565 C8ex, EM10, ST-10XME L: 5min X 7장 (1x1 binning, Actual size crop) 2003년 4월 5일 양평 설매재 부근
    Date2003.04.07 CategoryGalaxy By이건호 Views2320
    Read More
  5. M 42 with Running man ^^

    이건호씨와 오토가이더 테스트를 위해 나갔었습니다. 하늘은 좋았으나 바람이 불었고 이 사진을 찍을 당시는 부유물질이 많았는지 광해가 좀 있었습니다. 광해가 이미지 처리하는데 노이즈로 나타나더군요..어두운 하늘에서 찍으면 더 좋은 이미지를 얻을 것 ...
    Date2003.10.30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2318
    Read More
  6. M8 (NGC6523, Lagoon) in Sagittarius

    궁수자리에 있는 45분X30분 크기의 석호성운입니다. 관측소의 벽의 높이가 180cm로 높아서 남쪽의 낮은 대상 찍기가 어려웠는데 지난 7월8일 가대를 50cm정도 높여서 해결하였습니다. 아직 극축을 정확하게 마추지 못해 우측 상단의 별들에서 필드로테이션이 ...
    Date2008.07.13 CategoryNebula By신범영 Views2306
    Read More
  7. 080229-M51

    촬영일: 2008년 02월 15, 29, 03월 1, 7, 15일 새벽 촬영지: 대부도 대남초교 망원경: SMC 12"(300mm Newtonian, f4) 적도의: EQ 1200 GTO 카메라:SBIG 2000XM(-35도) L:285(1bin) R:120(2bin+1bin:60) G:120(2bin+1bin:60) B:155(2bin+1bin:80) 지난 2월 15...
    Date2008.03.27 CategoryGalaxy By박정용 Views2306
    Read More
  8. M3-2번째 사진

    Object: Globular cluster M3(NGC5252) in Canes Venatici Exposure: 320 seconds, ISO1600 Processing: Enhanced in Adobe Photoshop 7.0 Telescope system: Tak. FS152 152mm F/8 APO refractor and Fujifilm FinePixS2Pro digital camera Mount: Tak. NJP ...
    Date2003.04.07 CategoryStar Cluster By박병우 Views2301
    Read More
  9. 라군성운+삼렬성운...+은하수....

    어제 장수에서 찍었습니다. 간만에 하늘이 심상치 않아서 무리해서 떠났는데 하늘이 구름이 덮였다가 잠깐씩 군데군데 뚫리곤 했습니다. 1시경에 너무 기막힌 하늘이 약1시간정도 펼쳐졌는데 그때 몇컷 건졌습니다. 캐논 10D에 감도800 200mm 1.8L렌즈(개방조...
    Date2003.07.31 CategoryNebula By이윤 Views2298
    Read More
  10. M104-Sombrero Galaxy

    -NADA 제1천문대 -292FN w/R200SS 코마코렉터 -NJP Temma2 -ST-10XME w/CFW-8A(-40) -L : 300초X18장(1X1) -RGB : 각 300초X3장씩(2X2) -2007. 02. 19 4월이 지나면 좀 한가해지려나.... 쌓아 두었던 것 올만에 하나 처리해서 올려봅니다. 요즘은 날이 참 꾸...
    Date2007.04.16 CategoryGalaxy By김일순 Views2297
    Read More
  11. [re] M15 구상성단

    이건호님의 원본을 가지고 재처리를 해보았습니다. 재처리과정 : 포토샵에서 곡선및 레벨조정, 더스트&스크래치->맥심에서 DDP 및 언샵마스트, 핫픽셀제거 하면서 궁금했던점 : 8시방향 밝은별을 어떻게 처리하면 이건호님처럼 동그랗고 작은 별이 되나요?
    Date2003.07.14 CategoryStar Cluster By이준화 Views2285
    Read More
  12. M13

    -NADA 제1천문대 -292FN w/R200SS 코마코렉터 -NJP Temma2 -ST-10XME w/CFW-8A(-40) -L : 100초X12장(1X1) -RGB : 각 200초X3장씩(1X1) -2007. 02. 23 크기는 엄청 크네요.. 밝기도 그렇고.. 구상성단은 짧은 시간에 찍을 수 있어 좋습니다.
    Date2007.03.03 CategoryStar Cluster By김일순 Views2281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 411 Next
/ 411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