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Nebula
2005.10.19 10:19

PLN205+14.1 Medusa Nebula

(*.85.89.253) 조회 수 1463 추천 수 170 댓글 10




오랜만에 올리는 12인치 사진입니다.
쌍둥이 좌에있는 행성상 성운입니다.
일명 메듀사 성운이라고도 불리우기는 하나 제가 볼때는 아무래도 저수지 물을 박차고 뛰어오르는 낚시에 걸린 붕어 같습니다.
하지만 대구경에 잘 나온 사진을 보면 반대편에도 성운기가 꽤 있는데 12인치에서는 어두운지 잘 찍히지 않았거나 사경이나 주경에 이슬이 옅게 내려있지 않았나 하는 의심이 듭니다.
여기서 중심성은 중심부의 작고 파란 별인 것 같은데 그 파란 정도가 너무 심해서 혹 잘못찍혔나 의심을 할 정도였습니다.
아주 고온의 별인 듯 하군요.
긴 출사의 마지막 사진이지만 CFW10으로 컬러필터 휠을 바꾸고 나서 어뎁터 문제로 이리저리 테스트 하다 만족스러운 보정은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더우기 이즈음 사경과 주경에 옅게 이슬이 내린 탓인지 노출을 최고 많이 주었슴에도 불구하고 디테일이 시원치 않습니다.
이날 새벽에 시상은 최악이었습니다.

.
.
HO-BYM 292FN
AP EQ1200
ST-10XE w/ CFW-10(-15)
L =R: 5min(1X1) X 17  
RGB : 5min ea(2X2) X 4
나다 제 1 천문대
2005년 10월 11일 02: 09~
덕초현 천문인 마을
  • 최승용 2005.10.19 10:35 (*.255.146.12)
    이런 사진에 리플을 빨리 달지 않으면 한 소리 들을 것 같습니다.^^
    정말 멋 있습니다.
    최곱니다.
  • 박성준 2005.10.19 11:26 (*.248.11.89)
    또 이런 멋진 행성상성운이 있었군요...덕분에 흔하지 않은 천체대상들 공부하고 있습니다. ^^
  • 유종선 2005.10.19 12:31 (*.155.240.11)
    이거 정말 첨 보는 대상입니다. 정말 우주는 넓고도 아름답습니다. 함 가보고 싶습니다.
  • 강문기 2005.10.19 13:21 (*.132.58.21)
    계속해서 보기힘든 대작들을 잘 감상하고있읍니다.
  • 지승용 2005.10.19 14:17 (*.169.14.253)
    사진을 보니 제가 완전 Hubble레 해집니다. 완전 Hubble 난 사진 이군요.^^
  • 신범영 2005.10.19 16:24 (*.178.133.254)
    하늘 어디에서라도 멋진 작품을 만들어내는 마술사 같습니다. 멋진 작품들 잘 보았습니다.^^
  • 전영준 2005.10.19 19:32 (*.238.80.161)
    큰일났습니다. 제 어휘력으론 더이상 감상문을 쓸 말이 없네요.^^*
    자꾸 조회를 하게 만드는 사진들입니다.
  • 이건호 2005.10.19 23:46 (*.120.233.221)
    몸이 굳어지는 것 같습니다.
  • 박영식 2005.10.20 02:40 (*.85.209.42)
    희안하게 생긴 녀석이군요...
    멋진 녀석들 계속 구경시켜 주세요 ^^
  • 황인준 2005.10.20 11:00 (*.204.205.99)
    대상은 의외로 크고 밝습니다. 어두운 부분이 안나와서 아쉽지만 CCD유저 라면 이 보다 더 잘 찍으실 수도 있습니다..

  1. NGC1514

    황소자리에 있는 작고 특이한 모양의 행성상 성운입니다. 지난 양평관측회에서 안시로 흥미있게 본 대상이라 촬영해 보았습니다. 15인치에서 필터 없이는 중심성이 일반 별과 같이 보일뿐 성운의 흔적이 잘 보이지 않지만... OIII필터를 끼우면 주위의 성운기...
    Date2005.10.19 CategoryPlanetary Nebula By이건호 Views1071
    Read More
  2. PLN205+14.1 Medusa Nebula

    오랜만에 올리는 12인치 사진입니다. 쌍둥이 좌에있는 행성상 성운입니다. 일명 메듀사 성운이라고도 불리우기는 하나 제가 볼때는 아무래도 저수지 물을 박차고 뛰어오르는 낚시에 걸린 붕어 같습니다. 하지만 대구경에 잘 나온 사진을 보면 반대편에도 성운...
    Date2005.10.19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463
    Read More
  3. M38 / IC417 / NGC1907 Region

    마차부 중심부에 있는 M38부근입니다. 우하단의 IC417은 13분 정도의 크기의 산광성운이고 그 왼쪽 옆은 NGC1907산개성단입니다. 구름이 오락가락한 덕분에 모든 사진의 배경이 매우 거칩니다. 이 화각에는 재미있는 지역인데 구름이 사진을 망쳤습니다. 아쉬...
    Date2005.10.18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302
    Read More
  4. NGC2237 Rosette Nebula

    구름피해 찍느라고 GB를 연속으로 찍지 못해 HaHaGB합성 할때 결국 약간 잘려나가고 말았네요. 60미리 당상처럼 써 먹고 있습니다. 그만큼 넓은 시야에 굶주려 있었나 봅니다. 정말 장미빛처럼 내고 싶어 애를 썼는데 와인색이 잘 안나오네요..^^ FS-60c w/ S...
    Date2005.10.17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503
    Read More
  5. M45 플레이아데스 성단

    M45는 안드로메다 오리온과 같이 수도 없이 찍고 또 찍는 성운성단 목록중에 하나입니다. 언제나 그만 찍게 될런지요. ㅎㅎ 찍을때 마다 새로운 모습이기때문에 그렇겠죠. 성단을 감싸는 반사성운을 올해는 안시로 볼 날을 기대합니다. AP130EDF, EM200, STL-...
    Date2005.10.17 CategoryStar Cluster By이건호 Views1614
    Read More
  6. M8 & M20 (2005년 5월)

    지난 5월에 장수에서 촬영한 이미지인데, 다시 처리해 보았습니다. 관측을 자주 나가지 못하다 보니, 이런 낙으로 보내고 있습니다. ㅠㅠ 100sduf2+GPD+300d+LPS-P2, 반자동가이드 240초 4매 합성 (감도1600) 전북 장수 논개생가터
    Date2005.10.17 CategoryNebula By박성준 Views777
    Read More
  7. IC1805 and IC1795

    이 사진을 찍을때가 하늘에 그래도 구름이 없었나 봅니다. GB의 경우 성운기의 색보다는 별의 크기가 를 같이해서 HaGB합성을 했습니다. 별색이 좀 밍밍하지만 디테일은 만족스럽습니다. 성운기는 단조로움을 피하기 위해 채널을 믹스 약간하고 커브 조정했습...
    Date2005.10.15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476
    Read More
  8. [st-2000xm] 안드로메다

    Canon FD 400/2.8L (5.6) SBIG ST-2000XM (-20도 냉각) TAKAHASHI EM-200 TEMMAR 2 L = 10m X 55 (1X1) RGB = 각 10m X 3 (2X2) 총 640분 드디어 10시간을 채웠군요...;;; 10월 4일, 5일, 10일, 11일... 그러나... 그렇게 10시간이나 찍은거에 비하면 만족도...
    Date2005.10.15 CategoryGalaxy By김승남 Views1104
    Read More
  9. 오리온자리의 버나드루프

    필름스캔하는 중에 나온 사진입니다. 아마 제가 사용한 마지막 E100S인 것 같은데 이로 미루어보아 촬영시기는 2003년 말에서 2004년 초가 될 것 같습니다. 올겨울에는 멋진 버나드루프를 다시 한번 촬열할 수 있는 기회를 갖고 싶습니다. 촬영장소: 천문인마...
    Date2005.10.15 CategoryNebula By박대영 Views1030
    Read More
  10. 허전한 장미

    변변치않은 사진으로 도배가 되는게 아닌지 모르겠습니다. 붉은색 성운이 350D로 얼마나 발현되는지 실험차 떠났던 관측이라 정성껏 한장이라도 찍은게 없어서.. 성운외곽에 부드러운 맛은 전혀 없습니다. 아르미죠레일을 빼먹고 가지고가지 못해 배런스도 못...
    Date2005.10.14 CategoryNebula By전영준 Views1115
    Read More
  11. M31 Andromeda Galaxy

    충분한 노출을 주고 싶었으나 오락가락 하는 구름때문에 여의치않았습니다. 수증기도 한 몫을 거들어서 바탕이 거칩니다. 다음에는 G와 B채널을 비닝없이 오래 찍어 볼 생각입니다. 밝은 별 주위가 이슬때문인지 이상하군요.. FS-60c w/ Sky90용 프래트너 & ...
    Date2005.10.14 CategoryGalaxy By황인준 Views1557
    Read More
  12. 051008_ngc281

    역시 2005년 10월 8일 천문인마을 스타파티에서 찍은 팩맨 입니다. RGB채널이 이상하게 얼라인이 되지 않아서 크롭을 해야만 했습니다. 구름이 왔다갔다 해서 다시 찍고를 여러번 했더니 그런 결과가 생겼나 봅니다. 첫시도이고 아직 이미지 프로세싱도 힘드...
    Date2005.10.14 CategoryNebula By최승용 Views1103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301 302 303 304 305 306 307 308 309 310 ... 411 Next
/ 411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