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Galaxy
2005.04.20 23:23

M87 타원은하

(*.120.233.211) 조회 수 1026 추천 수 91 댓글 2




처녀자리에 있는 타원은하로 초점이 제대로 맞지 않아 아쉬움이 남지만 은하의 중심에서 7시 방향으로 분출하는 제트가 찍혀있습니다.

2005년 4월 13일 덕초현 천문인마을 RO
LRGB = 40m, 15m, 15m, 15m
GSO12inch, EQ1200GTO, ST10XME


밤하늘의 보석
m87

거대한 타원은하로 M84, M86에서 남동쪽으로 1.5도 지점에 있는데 우리 태양의 7900억 배나 되며, 매우 강력한 라디오 파와 X선이 방출되고 있다. m87은 다른 목적으로 Virgo Ask 3C 274라고도 일컬어지고 있다(여기서 C는 라디오 전파 근원지를 분류한 Cambridge Catalogue의 약자이다)

사진을 보게 되면 중심핵에서 북서쪽으로 뻗어 있고 분출 광경을 볼 수 있는데, 이 모습은 1918년 리크 천문대의 가 사진으로 발견한 것으로 대부분의 천문가들은 이런 모습을 은하 중심 내부에 거대한 블랙홀이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그 외에도 은하의 바깥쪽에 기이할 정도로 많은 구상성단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m87은 1781년 3월에 메시에가 처음 발견하였는데 M86의 확대한 모습과 흡사하며, 4inch 굴절이나 8inch 반사로 관측하면(80-100배)같은 시야 안에 NGC4476, 4478과 8-12등급 별들이 20여개 보이는데 중심부로 갈수록 급격히 밝아지며 전체적으로 크고 둥근 모습으로 보인다. 은하 내에서의 물질 분출 모습은 아마추어 망원경으로는 볼 수 없지만 장시간 노출을 준 사진에는 포착할 수 있다.

은하 자체의 크기와 밝기는 각각 7.6분×6.8분이고 8.6등급이다.
  • 신범영 2005.04.21 05:23 (*.39.129.55)
    얼핏보면 옆에 있는 은하같은데 제트 분출하는 모습이군요.
    멋진 모습 잘 보았습니다.
  • 황인준 2005.04.21 18:39 (*.85.89.29)
    RO뽐뿌에 당한 사람이 있더군 건호씨..
    선모님이라고..^^ 부럽습니다.

  1. M102

    메시에 대상 치고는 시직경이 아주 작은 놈입니다. . HO-BYM 292FN AP EQ1200 ST-10XE w/ CFW-8a(-30) L : 50min(1X1) RGB : 6min ea(2X2) 나다 제 1 천문대 덕초현 천문인 마을 2005. 4. 4 01:17~
    Date2005.04.24 CategoryGalaxy By황인준 Views1555
    Read More
  2. [ST-2000XM] M40

    FD 400mm 1:2.8L (F5) SBIG ST-2000XM (-25도) LRGB = 9m 2m 2m 2m 메시에 대상 다 찍기...
    Date2005.04.23 CategoryDouble/Variable Star By김승남 Views1632
    Read More
  3. 안타레스주변 .............nude300d 노이즈패턴

    다크,플랫 감산후 15장 합쳤는데 이처럼 좀 심하게 패턴이 보입니다. 로패스필터제거가 결정적으로 원인이지 않나 생각됩니다. 이를 최소화시키기 위해선 한컷찍고 카메라 약간 움직여주고 다음컷 찍고 또 움직이고....(불규칙하게) 해야하지 않을까 생각이 ...
    Date2005.04.22 CategoryNebula By이윤 Views1264
    Read More
  4. M85 머리털자리 은하

    중앙의 밝은 렌즈형은하 M85와 좌측의 막대나선은하 NGC4394 입니다. GSO12inch, EQ1200GTO, ST10XME LRGB= 40m, 15m, 15m, 15m 2005년 4월 13일 덕초현 천문인마을 RO
    Date2005.04.22 CategoryGalaxy By이건호 Views1093
    Read More
  5. NGC7023 Iris Nebula

    역시 투명도가 장애가 되는 그런 날임을 증명해 주는 사진입니다. 하지만 늘 직접 찍은 사진에는 애착이 가는 것이 이 분야의 매력이 아닐까 합니다. 천체사진을 찍으면서 자기 자신이 100%가까이 만족을 할만한 사진을 찍기 위해서는 시상, 투명도, 노출시간...
    Date2005.04.21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572
    Read More
  6. NGC3628

    상대적으로 노출을 많이 준 사진입니다만 투명도 때문인지 어두운 부분이 빈약합니다. 이날 새벽 은하수가 잘 보이지 않을 정도였습니다 . HO-BYM 292FN AP EQ1200 ST-10XE w/ CFW-8a(-30) L : 110min(1X1) RGB : 13min ea(2X2) 나다 제 1 천문대 덕초현 천문...
    Date2005.04.21 CategoryGalaxy By황인준 Views1272
    Read More
  7. ngc7000_050416

    지난 4월16일 강원도 홍천에서 찍은 북아메리카성운입니다. 화각이 적당하여 찍어보았는데 새벽이라 노출시간이 부족하여 붉은색을 강조하였더니 자연스럽지 않아 보입니다. 다음에 좀더 노출시간을 늘려서 찍어보아야 겠습니다. EM200+FSQ106+STL11000 L(5x5...
    Date2005.04.21 CategoryNebula By신범영 Views1368
    Read More
  8. M87 타원은하

    처녀자리에 있는 타원은하로 초점이 제대로 맞지 않아 아쉬움이 남지만 은하의 중심에서 7시 방향으로 분출하는 제트가 찍혀있습니다. 2005년 4월 13일 덕초현 천문인마을 RO LRGB = 40m, 15m, 15m, 15m GSO12inch, EQ1200GTO, ST10XME 밤하늘의 보석 m87 거...
    Date2005.04.20 CategoryGalaxy By이건호 Views1026
    Read More
  9. M97 Owl Nebula

    출사 둘째 날에는 시상이 아주 좋지 않았습니다. 엷은 박무도 있었던 것 같구요.. 결과물은 총 노출 시간이 부족하다고는 하나 구경 값을 못하고 있습니다. 봄입니다. HO-BYM 292FN AP EQ1200 ST-10XE w/ CFW-8a(-30) L : 30min(1X1) RGB : 6min ea(2X2) 나다...
    Date2005.04.20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310
    Read More
  10. NGC4236

    그냥 크기가 큰 은하라서 찍어 보았는데... 너무 어둡더군요... 그래도 올라온 사진이 없어서 한 번 올려 봅니다. 지난 2월 12일날 찍은 사진 이제서야.... 2005.02.12, 덕초현 중앙천문대 12" F4, FL1200mm + Coma Corrector + LPSP2 NJP Temma PC, 20D ISO8...
    Date2005.04.20 CategoryGalaxy By조창우 Views826
    Read More
  11. NGC4631

    종합 노출이 부족한 것과 다크(딤채에서 찍은 것)가 깨끗하게 빠지지 않아 처리에 아쉬움이 남는 사진입니다. L만 더 찍었으나 시상이 안 좋을때 찍은 것은 오히려 디테일을 떨어뜨려 쓸 수 가 없었습니다. HO-BYM 292FN AP EQ1200 ST-10XE w/ CFW-8a(-30) L ...
    Date2005.04.19 CategoryGalaxy By황인준 Views1354
    Read More
  12. Abell 1656 머리털자리 은하단

    Deeeeeeeep sky....... 수억~수십억광년 떨어져 있는 머리털자리 은하단. LRGB: 40m. 15m, 15m, 15m GSO12inch, EQ1200GTO, ST10xme 2005년 4월 16일 덕초현 RO
    Date2005.04.19 CategoryGalaxy By이건호 Views1478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315 316 317 318 319 320 321 322 323 324 ... 411 Next
/ 411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