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Nebula
2003.12.16 22:31

M1

(*.249.97.68) 조회 수 1355 추천 수 180 댓글 8


먼저 찍었던 M1 의 칼라데이터가 좋지 않아서 다시 찍어보았습니다.
MT-200,EM-100, L(1x1):5minx8, R,G,B (2x2):5min x 2
  • 정민경 2003.12.17 01:39 (*.204.51.139)
    역시 ccd의 디테일은 한수 위인것 같습니다.
    비교가 안되게 잘 나왔습니다.
  • 이준화 2003.12.17 12:37 (*.249.97.68)
    조만간 10D 를 구입해서 사용할 계획인데, 제가 생각할때는 10D 로도 같은 사진을 찍을 수 있으리라 봅니다. 저의 계획은 사진을 찍을때 감도를 되도록 높게 raw format 으로 찍고(12-bit) 16-bit tiff 형식의 file 로 저장한후 maxim등의 프로그램으로 16-bit 데이타 형식 그대로 합성하는 것 입니다. 제 예상으로는 RGB 필터가 붙어있어서 LRGB 합성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많은 노출시간이 필요하리라 생각되지만(총노출시간으로 비교하면 3배정도?) 거의 비슷한 사진을 얻을 수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 정민경 2003.12.18 01:13 (*.204.54.61)
    좀 회의적이기는 합니다만(고감도 CCD에는 따라가지 못하는 부분이 있습니다.) 이번에 시간이 가능하고 하늘만 도와 준다면 40장 정도 촬영해서 합칠 생각입니다.
    결과가 좋으면 좋겠습니다.^^
    포토샾에서 저도 raw로 찍어서 16bit-tiff로 합성하고 있습니다. 이미지 처리는 처리가 안되서 낮춰서 하고 있고요.
    ccd가 있으신데 dslr이 필요 할까요?
  • 정민경 2003.12.18 09:36 (*.204.52.28)
    정정합니다. 제가 포토샾에서 8bit로 변환해서 처리 했었네요^^
  • 이준화 2003.12.18 11:19 (*.249.97.68)
    이건호님의 사용하시는 CCD 센서는 일반 DSLR 에서 사용하는 센서보다 감도가 좋습니다. 그러나, ST-2000 에서 사용된 센서는 DSLR 에서 사용되는 센서와 감도가 비슷합니다. 따라서 냉각이 안된다는 점과 필터가 앞에 붙어있다는 점만 제외하면 10D 나 ST-2000 과 비슷합니다. 10D 경우 열잡음이 작은 편이므로, F수가 작은 망원경 및 망원렌즈로 노출만 오래 준다면 천체사진용 CCD 카메라와 비슷한 사진을 얻을 수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 이준화 2003.12.18 11:22 (*.249.97.68)
    실제결과는 찍어보아야 알 수 있겠지만, 정민경님의 결과물로 보아서는 충분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제가 DSLR 을 구입하려는 것은 크기가 큰 별자리, 성운들을 찍고 싶어서 입니다. F수 작은 망원렌즈를 사용해서 찍어볼 계획입니다.
  • 이준화 2003.12.18 11:50 (*.249.97.68)
    이미지를 합성할때(평균) 8-bit 정보를 사용하는 것과, 12-bit 정보를 사용하는 것은 큰차이가 있습니다. 예전에 제가 PC-카메라를 사용해서 천체사진을 찍을때는 8-bit 로 데이터를 처리했는데, 오리온자리 대성운과 같은 밝은 대상을 제외하고는 좋은 결과를 얻기 어려웠습니다. 같은 센서를 사용하고 데이터 처리를 16-bit 로 하게 된 이후에 좀더 어두운 영역까지 표현이 가능하게되었습니다.

    정민경님은 현재 이미지합성을 어디에서 하고 계신가요? 혹시 8-bit 데이터를 평균해서 사용하신다면 maxim 등의 프로그램으로 16-bit format 에서 합성한후, 16-bit tiff 로 저장하고 포토샵에서 16-bit 데이터를 직접 처리하면 더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지도 모릅니다.
  • 정민경 2003.12.18 13:22 (*.204.54.89)
    그런 이유들이 있군요. 저는 무조건적으로 cmos의 성능이 떨어진다고 생각 했습니다.
    모든 이미지 처리를 포토샾에서 하고 있습니다만 맥심에서 한번 해 보아야 하겠습니다.

  1. M39

    백조자리 산개성단 M39입니다. M39 NGC 7092 Other description: Open cluster bright scattered. Constellation: Cyg Dreyer description: Cluster, very large, very sparse in stars, very little compressed, stars of magnitude 7 to 10; = M39. Magnitu...
    Date2003.12.19 CategoryStar Cluster By이건호 Views1318
    Read More
  2. M42 트라페지움

    C11으로 찍은 트라페지움입니다.확대해서 보니까 다섯번째 여섯번째 별이 보이네요.처음 이걸 이미지처리할 때는 도저히 사진이 되지 않을거라 여겨서 포기하고 지워버리려 했는데 M81 하나 해봤다고 오늘은 조금 사진처럼 되네요. C11 F10 ST2000XM CFW8A L ...
    Date2003.12.18 CategoryNebula By선숙래 Views1844
    Read More
  3. M76 Little Dumbbell

    작은아령성운으로 불리는 행성상성운 입니다. 약 3천광년 떨어져 있다는 군요. M76 (NGC 650) Constellation: Per Dreyer description: Very bright, westward of double nebula; = M76. Magnitude: 12.0 RA: 01h 42m 32.9s Dec: +51°35'11" RA: 01h 42m 18.0...
    Date2003.12.18 CategoryPlanetary Nebula By이건호 Views1619
    Read More
  4. M81 & M82

    사실 너무 좋은 사진들만 보다보니 후발주자 입장에선 사진 올리기가 너무 힘듭니다.저도 난생 처음으로 Deep sky 사진을 찍었습니다.역시 처음이라 난리법석을 떨었는데,C11이 초점이 안나와서 새벽에 FS78로 경통을 바꾸고 얼어서 아이피스도 꽂지 못해서 C...
    Date2003.12.18 CategoryGalaxy By선숙래 Views1258
    Read More
  5. M81 & M82

    박명할려하는데 너무 하늘이 아까워 카메라를 들이밀었습니다. 촬영 노하우가 부족하야 M31은 날려먹고 M42는 이건호씨 따라하다가 Ha를 그냥찍었더니 초점 하나도 안맞고...이그 새벽 5시 30분이 넘어서면서 마음은 분주하더군요. 그래서 부랴부랴 이 대상 ...
    Date2003.12.17 CategoryGalaxy By김영혜 Views1352
    Read More
  6. 저도 장미 한송이 꺽었습니다.^^

    나다에서는 4번째 장미인가요. 다른사진들은 애기엄마가 시큰둥하더니 장미를 볼때는 좋아하더군요. 허접한 장미인데도 폼은 나는것 같습니다. 먼저 하신 선배님들 거 좀 따라하니 많이 도움도 되었구요. 2003년 12월 16 오전 03:00~ FC 60 + ST8XE + CFW-8a ...
    Date2003.12.17 CategoryNebula By김영혜 Views1527
    Read More
  7. M42 -덕초현

    맘에 드는 사진 갖는다는 것이 이렇듯 힘이 듭니다. 초점 맞추기에도 실패하고 앵글도 잘못 잡아 좌상쪽이 별이 핑핑 날라갑니다... 실패한 사진입니다. 그러나 대상의 밝기별로 적정노출에 대한 감이 잡혀가고 있습니다. 노출을 저번 것과 비교해서 30초 더...
    Date2003.12.17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799
    Read More
  8. M53

    달이 거의 보름일때 찍었던 사진이 아직 많군요.. 다시는 별로 들이댈 일이 없을것 같아서 참고로 올립니다.. 원래는 1200mm이상의 촛점거리가 필요한 대상입니다. 삐리리 하지만.. FS60c EM200Tm2Jr. ST2000XM ( -25) L : 1minX 17 (1X1) RGB : 1min X 4 (1X...
    Date2003.12.17 CategoryStar Cluster By황인준 Views1209
    Read More
  9. M74

    물고기자리 M74 (NGC628) Magnitude: 10.0 RA: 01h 36m 42.0s Dec: +15°47'11" (Epoch 2000) Size:10.4' x 9.5' Mewlon300 @F9, ST10XME, EQ1200 L 5MIN X 9 RGB 3MIN X 5 1/2 리사이즈후 일부 크롭 2003.12.13. 덕초현천문인마을 지난 토요일에 달이 밝았지...
    Date2003.12.17 CategoryGalaxy By이건호 Views1278
    Read More
  10. NGC3631,NGC3945,M82,NGC3953

    13,14 일에 걸쳐서 집에서 찍은 은하 사진들입니다.
    Date2003.12.16 CategoryGalaxy By이준화 Views1036
    Read More
  11. M1

    먼저 찍었던 M1 의 칼라데이터가 좋지 않아서 다시 찍어보았습니다. MT-200,EM-100, L(1x1):5minx8, R,G,B (2x2):5min x 2
    Date2003.12.16 CategoryNebula By이준화 Views1355
    Read More
  12. M74

    MT-200,EM-100, L(1x1):5minx17, R,G,B (2x2):5min x 3
    Date2003.12.16 CategoryGalaxy By이준화 Views1103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384 385 386 387 388 389 390 391 392 393 ... 411 Next
/ 411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