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Nebula
2003.10.20 09:48

M1 게성운

(*.101.108.100) 조회 수 2147 추천 수 230 댓글 15


http://astrophoto.co.kr/zeroboard/view.php?id=pic_nebula&no=9
혹시 게맛을 아십니까? ^^;
메시에 목록1번으로 잘알려진 게성운입니다.

장초점 망원경을 이용해서 게성운을 크게 찍어 보았더니, 게의 속살까지 훤히 보입니다.
시상이  나쁘지 않았음에도.. 3600미리의 장초점 촬영인 까닭에 가이드가 완벽하질 못하더군요. 그러나 중요한 건 불가능할 정도는 되지 않았다는 것이구요... 저에겐 새로운 길을 보여준 의미있는 사진이 되었습니다.

뮤론300 F12 직초점
ST10xme, internal ccd autoguide
Eq1200GTO
2003 10 19 덕초현 천문인마을

L 5min 6장
RGB 5min 2장씩
1/2 리사이즈 (아래 이미지를 클릭해서 보세요)



  • 김일순 2003.10.20 09:52 (*.114.170.173)
    게의 속살이 시원스럽게 보입니다. 이제 게 맛을 알겠습니다. 혹시 같은 장비로 치마속살(?)까지 훤하게 볼수는 없을까요? ^^ 제게로 돌이 날아오는군요. 후다닥 =3=3=3
  • 이윤 2003.10.20 10:21 (*.176.147.209)
    정말로 다 보이네요. 색감이 너무 좋습니다.
  • 최승용 2003.10.20 10:34 (*.187.167.204)
    할말이 없습니다.^^
  • 이준화 2003.10.20 10:36 (*.249.97.68)
    정말 ~ 정말 멋집니다. 콤마 코렉터가 기다려지는군요.
  • 지승용 2003.10.20 10:50 (*.169.14.235)
    한계를 넘는 사진 같습니다... 거의 천문대 수준이군요.
  • 황인준 2003.10.20 10:56 (*.215.120.132)
    여기도 역쉬~~!!
    CCD에서도 고정도 + 구경은 무시 못하는 요소이군요..
    디테일이 너무 잘 살아 있습니다..
  • 황형태 2003.10.20 11:07 (*.237.229.226)
    허걱!!...
  • 이경화 2003.10.20 13:04 (*.105.75.5)
    너~무 멋지다. 환상적이예요.
  • 육호준 2003.10.20 15:46 (*.44.208.169)
    계속 놀라고만 있습니다.
  • 이준화 2003.10.21 11:15 (*.249.97.68)
    옥의티를 제거하셔서 어제 달았던 리플은 삭제했습니다.^^
  • 이건호 2003.10.21 16:49 (*.101.108.100)
    합성을 미디언으로 했으면 자연적으로 없어졌을텐데.. F12라 광량이 딸려 평균으로 해서 우주선 자국이 남았습니다. 미디언과 평균을 조합해서 합성하는 방법도 있을거 같은데... 그런 알고리즘이나 소프트웨어는 혹시 없는지요?
  • 이준화 2003.10.21 17:01 (*.249.97.68)
    미디언으로 몇장씩 합성해서 저장한후 다시 불러들인후 평균하면 됩니다.^^
  • 이건호 2003.10.21 17:43 (*.101.108.100)
    주로 3~5장 사이로 찍는데... 미디언으로 몇장씩 할 수가 없습니다. 3장이라고 가정하고 픽셀단위로 합성할때.. 값이 평균적이면(미리지정한 범위이내) 평균하고... 이상하게 높은 것이 있으면 그것만 제외하고 2개 픽셀만 평균하고... 이러 식이라면 좋을 거 같은데 말이죠.
  • 이준화 2003.10.21 17:49 (*.249.97.68)
    5장의 번호를 1,2,3,4,5 라면 (1,2,3) (2,3,4) (3,4,5) (4,5,1) (5,1,2) 이렇게 5 세트의 이미지에 미디안 필터를 사용해서 이미지를 얻고, 얻은 5장의 이미지를 평균합니다. (한번 해보시고 5장을 미디언 한것, 5장을 평균한것과 비교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이건호 2003.10.22 10:40 (*.101.108.100)
    시간나는 대로 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이름 아이디 글쓴이
158 Planetary Nebula M1 Crab nebula 3 file 2017.03.03 96 정병준 xuranus 정병준
157 Nebula NGC1283 Region 2 file 2016.10.26 96 황인준 sanfran 황인준
156 Nebula IC4685 Region 10 file 2016.09.27 96 황인준 sanfran 황인준
155 Planetary Nebula M76 Little Dumbbell Nebula file 2015.10.17 96 박성준 einpark 박성준
154 Nebula IC1871 Narrowband 4 file 2016.11.03 95 정병준 xuranus 정병준
153 Galaxy NGC300 1 file 2016.10.12 95 황인준 sanfran 황인준
152 Star Cluster M7(NGC6745) 2 file 2016.09.12 95 황인준 sanfran 황인준
151 Nebula IC 5070 Pelican Nebula (Ha only) 2 file 2016.08.09 95 박성준 einpark 박성준
150 Nebula IC410 1 file 2022.12.27 94 김삼진 jinalji 김삼진
149 Nebula ic5067 file 2023.06.12 93 이광호 lfo2910 이광호
148 Star Cluster M15 file 2022.09.15 93 김삼진 jinalji 김삼진
147 Galaxy M77 4 file 2015.09.17 93 김태환 omnibus 김태환
Board Pagination Prev 1 ... 393 394 395 396 397 398 399 400 401 402 ... 411 Next
/ 411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