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Nebula
2011.01.13 00:46

장미성운

(*.116.75.78) 조회 수 1914 추천 수 195 댓글 9










겨울철은 바람 때문에 FSQ106을 올리다보니 약 3x4도인 화각때문에 대상이 다양하지 않습니다.
화각에 적당한 대표적인 대상인 장미를 11월부터 12월에 걸쳐 몇번 찍었습니다.
달이 없는 월령에는 R,G,B를 찍고 달이 있는 월령에는 Ha, S2,O3 등 내로밴드 채널을 찍었습니다.
채널별 이미지 특성을 보여주기 위하여 다양한 합성을 해보았습니다.
[촬영정보]
Optics: Takahashi FSQ106(106mm, F5,refractor)
Mount: Astro-Physics 1200GTO(German Equatorial)
Camera: SBIG STL-11000M
Guide : Takahashi FC60 with SBIG ST-402
Filters: SBIG Standard LRGB,
          Baader Ha(7nm) ,S2(8nm), O3(8.5nm)
Dates: 2010.11.18(Ha,S2,O3) /12.12 (Ha, R,G,B)/12.15(L,R,G,B)      
Location: Byulmanse Observatory (R.O.)
Exposure Data: HaRGB =200:75:75:75 minutes. (-40°C)
                HaS2O3= 200 : 90 : 60 minutes. (-40°C)  
Image Processing : Maxim DL / Photoshop
[이미지설명]
[1,2번 이미지] HaRGB 합성
Ha필터에의한 성운기와 RGB의 자연스런 색상을 모두 이용할 수 있도록 Ha를 L로 사용한 이미지인데 별상을 상대적으로 작고 붉은 계열의 성운은 강조되므로 성운을 이미지처리할 때 흔이 이용합니다.
첫사진은 중심부 크롭, 두번째 사진은 여러날 찍으면서 어긋난 주변주를 약간 잘라낸 거의 풀프레임입니다.
[3번이미지] (L+Ha)RGB 합성
Ha와 L를 합성하여 L로 사용한 이미지로 Ha만의 합성에서 억제되었던 별빛을 좀더 살릴수 있고 전반전인 색상도 자연스런 느낌입니다.
[4번이미지] LRGB합성
Ha를 사용하지 않고 LRGB만으로 합성한 것으로 자연스럽 색상을 얻을 수 있지만 별상은 강하게 반영되고 상대적으로 성운의 표현력이 떨어해서 성운보다는 성단을 찍을때 자주이용합니다.
[5번이미지] HaS2O3합성
내로밴드 필터들이 달빛의 영향을 덜 받으므로  달이 있는 밤하늘을 이용하는 수단으로 이용하다보니 아무래도 이미지의 예리한 맛이 떨어지는 것 같습니다. 특히 S2의 정보량이 상대적으로 부족하기 때문에 채널별로 합성하는것에 연구를 더 해봐야 할것 같습니다.

7시방향의 녹색 선과 11방향의 붉은 선은 12월15일 새벽 쌍동이자리 유성우때 지나간 유성의 흔적으로 각각 G,R채널 노출때 지나간 것입니다. 이날 새벽 상당이 많은 유성이 떨어졌는데 CCD사진을 노출하면서 유성이지나가는 것이 찍힌 것은 처음인가 봅니다.
  • 김호섭 2011.01.13 02:21 (*.179.242.238)
    가히 장미성운의 마스터피스라 할만합니다.
    합성방법에 따른 다양한 이미지를 보니 채널별 합성의 레퍼런스로 삼아도 되겠습니다.
  • 전영준 2011.01.13 09:18 (*.138.203.2)
    다양한 합성법의 교과서입니다.
    여러 이미지들이 하나하나 다 좋은데요..^^
  • 이광호 2011.01.13 13:34 (*.122.137.205)
    다섯장 다 개성있습니다
    특히 1번. 5번사진이 섬세함과 부드러움의 한계를 보여주는군요

  • 김정식 2011.01.13 16:12 (*.204.135.156)
    멋지고 다양한 시도를 보여주시는군요.
    전영준님 말씀처럼 교과서적인 이미지들입니다.
    항상 배우고 있습니다.
  • 장승혁 2011.01.14 09:26 (*.244.221.3)
    다양한 모습의 장미성운이 모두 아름답습니다. 언젠가 CCD를 사용하게 된다면 좋은 본보기가 될 것 같습니다. 많이 배우고 갑니다.
  • 고창균 2011.01.14 09:41 (*.150.50.166)
    작은 별상, 예쁜 별상, 색감있는 별상, 디테일한 성운... 참좋은 이미지입니다.
  • 황인준 2011.01.14 22:25 (*.68.112.122)
    장미의 끝을 보여주시는 군요.. 휴~~
    재고정리 빨리 하세요. 그러다 하드 먹통되면..
  • 김삼진 2011.01.15 08:02 (*.193.26.166)
    이런 작품을보면 의욕이 생깁니다.^^끝네주네요.^^
  • 최승용 2011.01.15 13:07 (*.117.76.123)
    교과서 입니다...
    이렇게도 해보고 저렇게도 해보고....
    결과는 여기서 확인하면 되겠네요.^^

  1. 삼태성과 말머리

    촬영지:수피령20110113 마운트:eq6-pro 광학계:ef300f4 카메라:astro40d 가이드:borg50ed dsi 노출:iso800 10분11장 기온: -22 산넘어 달리는 말머리를 노출20장만 달라고 애원하며 잡아봤지만 저와 별상 스파이더까지 질질 끌고 곧 수피령 산넘어로 사라졌습...
    Date2011.01.14 CategoryNebula By이광호 Views1664
    Read More
  2. M81과 M82

    망원경 : PENTAX 125SDP 800mm F6.4 적도의 : EM-200B 카메라 : SBIG ST-10XE 가이드 : Self Guide in main CCD (-25'c) 촬영정보 : Ha1800*3/ L900*4 / RG300*3 B300*2 / Dark 처리정보: MaXimDL(Digital Developement), PhotoShop CS3 촬영장소 : 한우산 OK...
    Date2011.01.14 CategoryGalaxy By김정식 Views1620
    Read More
  3. 장미성운

    겨울철은 바람 때문에 FSQ106을 올리다보니 약 3x4도인 화각때문에 대상이 다양하지 않습니다. 화각에 적당한 대표적인 대상인 장미를 11월부터 12월에 걸쳐 몇번 찍었습니다. 달이 없는 월령에는 R,G,B를 찍고 달이 있는 월령에는 Ha, S2,O3 등 내로밴드 채...
    Date2011.01.13 CategoryNebula By신범영 Views1914
    Read More
  4. 코마성단

    촬영지:수피령20110111-12 마운트:eq6-pro 광학계ef300f4 카메라:astro40d 가이드:borg50ed dsi 노출:iso800 8분25장 머리털자리 코마성단입니다 좌측하단 노란별이 머리털자리 감마성이고 그왼쪽 하단은하는 ngc4448입니다
    Date2011.01.12 CategoryStar Cluster By이광호 Views1916
    Read More
  5. 장미성운부근 찍기.

    ||1푸른색 색수차 때문에 좌절했던 펜탁스67렌즈들을 뒤로 하고 이번에는 니콘 계열 렌즈로 해서 CCD용 wide 필드 촬영을 준비했는데, 대략 95%정도 완료된 듯 합니다. 이곳저곳 검색하다가, 가장 화질이 좋다는 렌즈 + 튼튼한 렌즈마운트가 있는 녀석으로 골...
    Date2011.01.11 CategoryNebula By김광욱 Views1756
    Read More
  6. M106

    망원경 : PENTAX 125SDP 800mm F6.4 적도의 : EM-200B 카메라 : SBIG ST-10XE 가이드 : Self Guide in main CCD (-20'c) 촬영정보 : 900*5 / RGB 300*3 / Dark 처리정보: MaXimDL(Digital Developement), PhotoShop CS3 촬영장소 : 한우산 활공장 촬영일자 : ...
    Date2011.01.11 CategoryGalaxy By김정식 Views1438
    Read More
  7. NGC1555 주변

    히아데스성단 윗쪽에 있는 변광성운 NGC1555 부근입니다. 우측상단에 보이는 작은 성운이 NGC1555이고 왼쪽의 밝은 별은 히아데스성단에 속한 황소자리 엡실론성 입니다. 촬영 일시 : 2011. 1. 9, 20시 3분 ~ 익일 1시 4분 촬영 장소 : 수피령 기온: -16~-18...
    Date2011.01.10 CategoryNebula By장승혁 Views1458
    Read More
  8. 말머리&불꽃성운

    Object: 말머리&불꽃성운 Date: 2011/1/7 Telescope: TMB92SS(WO 리듀서4형) Mount: EM200 Temma2 Camera: QSI583WS Exposure:Ha(600s*9장) RGB(400s*4장) Guiding: FS60C/QHY5(main relay) Location: 강원도 홍천군 겨울이면 꼭 촬영대상 1호가 되는 말머리...
    Date2011.01.09 CategoryNebula By전영준 Views1912
    Read More
  9. 2011년 첫 출사 NGC2244 & NGC2237

    모든 분들에게 올한해 좋은 일만 있기를 기원합니다. 2011년 서천동 첫 정기관측에서 저렴한 경통으로 얻은 이미지입니다.. 관측지 펜션에서 관측 후 기본적인 처리를 하고 집에 와서 색을 입혔습니다. 날씨는 춥과 차들이 미끌어지고 했지만 많은 별지기 분...
    Date2011.01.09 CategoryNebula By조용현 Views1614
    Read More
  10. Merak & M108 M97

    촬영지:수피령20110107 마운트:eq6-pro 광학계:ef300f4 카메라:astro40d 가이드:borg50ed . dsi 노출:iso800 10분23장 기온: -20 살면서 교훈을 얻는 출사 였습니다 관측지에 늦게 도착해 서둘렀더니 뭐든 엉킵니다 요즘 추워 차안에서 컴퓨터로 적도의를 다...
    Date2011.01.09 CategoryGalaxy By이광호 Views1492
    Read More
  11. Hyades 성단

    가이드 시스템에 문제가 생겨서 노터치로 돌렸습니다. 디더링이 되지 않아 우측에 패턴노이즈가 좀 보이네요. 촬영 일시 : 2011.01.01. 23시 05분 ~ 익일 2시 05분 촬영 장소 : 수피령 기온 : -17도 렌즈 : Sigma APO MACRO 150mm F2.8 EX DG HSM (F3.2) 카메...
    Date2011.01.09 CategoryStar Cluster By장승혁 Views1416
    Read More
  12. M81,82 주변 galactic cirrus

    M81,82 주변에 있는 우리은하의 galactic cirrus입니다. 촬영 일시 : 2011.01.02. 2시 31분 ~ 6시 26분 촬영 장소 : 수피령 기온 : -17도 렌즈 : Sigma APO MACRO 150mm F2.8 EX DG HSM (F3.2) 카메라 :Canon 50D (적외선필터 개조) 마운트 : 다카하시 EM-10B...
    Date2011.01.09 CategoryGalaxy By장승혁 Views1475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 411 Next
/ 411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