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Moon
2006.08.11 15:22

Petavius

(*.109.120.147) 조회 수 2174 추천 수 193 댓글 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일전에 first light 기념한답시고 이 크레이터의 아주 허접한 이미지를 올렸던 적이 있었습니다만,
http://astronet.co.kr/cgi-bin/zboard.php?id=gallery_solar&no=1453

그때와 비교해 보면 어제의 Petavius 는 보이는 각도가 많이 얕아진 것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왜 이 대상은 조금만 손대도 오버 프로세싱한 것처럼 보이는지 모르겠습니다. 크레이터 주변이 원래 곤죽처럼 생긴 이유도 있겠지만 찍을 때 잘 못 찍고 프로세싱도 잘못되었을 것입니다. 결국 이번에도 어색한 이미지가 되어 버렸습니다.

2006년 8월 11일 새벽 1시 53분 21초~54분 00초
충남 아산
ALPO Seeing Scale: 7/10, Transparency: 4/10
Takahashi μ-300 (12-inch Dall-Kirkham, F11.9) at F23.8 using TeleVue Powermate x2
Lumenera LU075

다음은 Petavius 에 대한 간단한 설명입니다 (제 홈페이지 발췌 --;)

Furnerius, Vendelinus, Langrenus 와 함께 월면의 서방에서 거대 크레이터의 연결 고리 - Great Western Chain of Craters - 를 형성하고 있는 매우 인상적인 크레이터입니다. 직경은 대략 177 km에 달하고 벽의 내측 테라스가 특히 넓어서 어떤 부분은 두 겹처럼 보이기도 합니다. 크레이터의 정중앙에 솟아있는 봉우리들의 높이는 대략 0.5~1.7 km 로 되어있습니다.

Petavius 의 특징은 바닥면이 전반적으로 볼록하게 솟아 있다는 것입니다 - 위 사진에서는 그리 명확히 나타나 보이지 않습니다만. 이처럼 사방에서 한 가운데를 향해 누르는 힘 때문에 크레이터의 바닥이 볼록해 지면서 결국 일부분이 찢어지면서 사진 상에서 1시 방향으로 난 깊은 협곡이 생겨난 것으로 추측되어지고 있습니다. 이를 페타비우스의 거대 균열 - Great Cleft (혹은 Rille) of Petavius - 이라 부릅니다. 이 균열은 태양광이 비스듬히 비출 때는 소구경의 망원경으로도 잘 보이지만 정방향일 경우 쉽게 식별이 가지 않을 때도 있습니다. 이렇게 Petavius 를 감싸 조이는 힘의 원천은 무엇이었을까요? 여전한 수수께끼로 남아 있습니다.
  • 유종선 2006.08.11 15:31 (*.78.29.195)
    그래도 멋진걸요... 계속 멋진 사진 기대합니다.
  • 박정용 2006.08.11 18:17 (*.181.18.130)
    디테일한것이 아주 좋습니다.^^
  • 김삼진 2006.08.11 23:20 (*.8.174.8)
    시계 바늘 처럼 보입니다.세밀한 달 즐감입니다.
  • 최훈옥 2006.08.12 03:10 (*.179.205.235)
    와...이렇게 자세하게 볼수있다니...신기합니다!
  • 박성준 2006.08.12 09:09 (*.136.156.253)
    예전 이미지도 좋고, 지금 이미지는 더 좋습니다..^^ 자세한 설명은 강의로군요....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글쓴이
316 Moon 051022_moon_50 9 file 2005.10.31 1404 최승용
315 Moon Moon Occults k Cap (4.7 mag.) 4 file 2005.11.10 1394 염범석
314 Moon 051211_tycho 4 file 2005.12.13 1394 최승용
313 Moon 슈뢰터 계곡 부근 3 file 2005.10.18 1392 지승용
312 Moon Moonage 7.4 10 file 2005.03.21 1388 황인준
311 Moon 2006년 1월 07일 달 열구 Rimae Triesnecker / Rima Hyginus 2 file 2006.01.07 1386 남기현
310 Moon 050119_moon_com_11 7 file 2005.01.20 1383 최승용
309 Moon Mars, Pleiades Cluster, and Moon's Halo 4 file 2005.12.14 1380 염범석
308 Moon 5월 17일의 달... 1 file 2003.06.13 1378 문병화
307 Moon 050101-moon 2 file 2005.01.02 1373 박정용
306 Moon 개기월식(110616) 4 file 2011.06.17 1366 김호섭
305 Moon 페타비우스 Petavius 3 file 2005.02.26 1362 남기현
304 Moon Full moon(moon age 15.2) 2 file 2003.08.14 1361 박병우
303 Moon 감로주의 바다 부근 3 file 2003.12.18 1354 김일순
302 Moon 051211_ pitatus_hesiodus 1 file 2005.12.12 1346 최승용
301 Moon 개기월식... 2 file 2010.12.22 1343 염범석
300 Moon 050823_moon 6 file 2005.08.25 1340 최승용
299 Moon 월령 1.1 9 file 2006.03.30 1340 김승남
298 Moon 하현달 (TMB4") file 2004.08.16 1335 박진홍
297 Moon 달 2011_0326 2 file 2011.03.26 1330 김영렬
296 Moon 도심의 월출 9 file 2005.11.01 1326 임상균
295 Moon 050414_moon 5 file 2005.04.15 1324 최승용
294 Moon 9월16~17일 분당번개 5 file 2003.09.19 1322 이경화
293 Moon 달 열구 - Rimae Triesnecker, Rima Hyginus 1 file 2005.11.10 1319 남기현
292 Moon Aristoteles, Eudoxus / Maurolycus 5 file 2003.09.18 1314 황인준
291 Moon 달_2011_0424 3 file 2011.04.24 1314 김영렬
290 Moon 개기월식 4 file 2010.12.21 1312 임재식
289 Moon 2012년 12월 10일 개기월식 3 file 2011.12.11 1305 김형석
288 Moon 한가위 보름달 (계남공원) 1 file 2005.09.19 1304 추현석
287 Moon 슈퍼문(Super Moon) 2 file 2014.08.11 1296 염범석
286 Moon 개기월식02 3 file 2011.12.13 1295 김호섭
285 Moon 추석 다음날 달... 3 file 2010.09.24 1294 박영식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 18 Next
/ 18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