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105.124.45) 조회 수 2143 추천 수 154 댓글 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저도 미드는 별로 안좋아하지만..일단 미드제품이랑 퀄리티가 동일한것으로 보입니다 머 이름만 다르게 둘다 같이 생산을 하니..
징후아APO TRIPLET 127ED 별상및 색수차 참고 자료용 이미지 입니다^^ 마치고 급하게 찍느라 초점도 대충 맞추고
참고자료이므로 lrgb 합성과 광해로인해 래밸값만 조절 하였고 다르건 건드리지 않았습니다.
드디어 오토가이드 등등 그동안 고민에 고민을 만들던 문제들은 모두 해결하였습니다 급한김에 멀리가지는 못하고 대구시 회사 마당에서 병준이형과 함께 태스트를 하였습니다 이제 곧 이미지가 쏟아지겠군요..
별상은 리듀서 있을때나 없을때나 비슷하게 좋아 보입니다 .
가운대 뿌연건 콘태이너 빛입니다 바로 옆에 콘태이너가..ㅋ색수차는 고급 아포들도 존재하는걸 가만한다면 정말 우수하다 생각듭니다. 저는 지금 플로오라이트 0.7 리듀서를 쓰고 찍은 이미지 이구요 지금 스팩이 징후아APO TRIPLET 127ED f 5.25 입니다 관심있으신분들이 많은걸로 아는데 참고하시라고 올려 드립니다 행성은 구경이 있으니 어두워서 400 배까지 보았습니다 거의 완벽한 상을 보여 줍니다 크크...안시때 당연히 수차들은 보이지 않더군요~ 강추강추 합니다..
본격적인 이미지는 이제 날씨가 좋아지면 올리도록하겠습니다^^

ps. 문제해결에 도움을 주신 황인준 선생님 추현석 선생님 정병준님 감사합니다.
  • 도영재 2008.03.28 10:48 (*.151.162.45)
    저도 성능이 궁금했는데...가격대비 좋을것 같습니다.^^
    dslr에서는 ccd 싸이즈가 커지니 어차피 리듀서가 있어야 주변상도 볼만하겠지요?
  • 임종필 2008.03.28 10:55 (*.105.124.45)
    내 아마두요^^..참 한가지 팁이라면 리듀서 쓰실려면 스팩에 따라서 안에 배플을 제거 하던지 위치조정을 해야 할겁니다^^
    배플 위치에따라 비네팅이 나올수있어요~
  • 권기식 2008.03.28 14:29 (*.99.86.80)
    배플 때문에 비넷이 생긴다면 그건 잘못 설계된 배플이 아닐까요.
    배플 때문이 아닌 거 같으니 다시 한번 검토해보세요..
    배플은 함부로 건드릴 것이 아닙니다.
    포커서의 드로 튜브가 길어 보이던게 드로튜브가 안으로 들어간 상태라면 배플이 아닌 좁은 드로튜브 때문이 아닐까 합니다. ^^
  • 임종필 2008.03.28 15:59 (*.105.124.45)
    미드에서나 징후아에서나 설계시 초점을 어디에 두고 설계를 하였는지는 모르겠지만 안시에는 괜찮을찌 몰라도 사진용으로 사용시에는 분명이 문제가 있는 배플이였습니다. 드로튜브가 안으로 들어가긴 하나. 드로튜브의 내경보다가 경통안에 배플 지름이 훨씬
    작았습니다 그말인 즉슨 배플의 영향이지요 배플을제거하기전 사진의 비네팅 드로튜브안에배플을 제거후 비네팅 드로튜브및 경통의 마지막 배플을 제거한루 비네팅 > > > 후자로 잘수록 비네팅영역이 적어졌습니다 이말은 즉슨 배플로 인한 비네팅이라고 판명되었고
    이제 해결이된겁니다.
  • 권기식 2008.03.28 19:59 (*.57.73.82)
    아.. 그렇군요.
    그런데 드로튜브 내에도 배플이 있단 말인가요?

    직접 보고 싶은데 영 기회가 안나네요.
    오늘도 보러 가려고 했는데... 갑자기 날씨가 흐려져서... 흑흑
  • 임종필 2008.03.29 02:22 (*.126.62.69)
    내 ㅎㅎ 과히 충격적으로...ㅋ 드로튜브 안에도 두개의 배플이 있떠군요 ㅋㅋㅋㅋ
  • 이상희 2008.03.30 18:44 (*.144.109.90)
    이상한 구조 군요 ㅎㅎ
    시간 나시면 DSLR로 한번 찍어주십시요
    주변부 별상이 궁금하군요
  • 임종필 2008.03.30 20:33 (*.126.62.69)
    어떻게 생각하면 이해가 되긴하지만..이상하긴 하네요~안시용으로 아이피스로 초점을 맞추면 드로우튜브가 뒤로 많이 빠져 나오게 됩니다 그렇게 되면 배플에 영향이 적어지죠.. 하지만 리듀서를 사용하거나 그냥 직초점으로 촬영을 하게 되면 초점이 드로튜브가 조금만 빠져나오니 배플이 대물랜즈쪽으로 가까우니 배플로인한 비네팅이 생기는것 같습니다.. 암튼 배플을 제거하니 이러한 문제가 사라 졌습니다^^

준회원 사진 갤러리

준회원분들이 촬영한 천체사진만 올려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675 Deep Sky Southern Cross & Southern Cross & Eta Carina 2 file Hirohisa Matsumoto 2003.06.09 2302
1674 Deep Sky 3월24일홍염입니다.^^ 5 file 김영혜 2003.04.18 2266
1673 Deep Sky 궁수자리와 은하수(Sagittarius and Milky Way) 7 file 염범석 2005.06.21 2252
1672 Deep Sky 17P-Holmes. 아파트 베란다에서.. 2 file 김민규 2007.10.27 2248
1671 Deep Sky [re] 포토샵에서 붉은색을 빼보았습니다. 8 file 이준화 2003.10.01 2242
1670 Deep Sky 양평군 벗고개 관측지 7 file 박성근 2009.12.20 2230
1669 Deep Sky [re] M57의 비교사진 3 file 이건호 2003.05.13 2198
1668 Deep Sky Mars 3 file Yoshiaki Kawakami 2003.05.16 2189
1667 Deep Sky 삼렬성운 10 file 하준기 2008.06.01 2189
1666 Deep Sky 달의 북단인듯 합니다. 2 file 남명도 2003.05.15 2183
» Deep Sky 징후아APO TRIPLET 127ED 참고용 이미지 입니다^^ 8 file 임종필 2008.03.28 2143
1664 Deep Sky 030824Mars(2pics) file m.morita 2003.08.26 2134
1663 Deep Sky Eta Carina Nebula & Bat Nebula file Hirohisa Matsumoto 2003.06.09 2119
1662 Deep Sky 0820화성. 2 file 김일순 2003.08.21 2113
1661 Deep Sky 2003/08/02 Mars 2 file Toshihiko-Ikemura 2003.08.03 2094
1660 Deep Sky M27 1 file Hirohisa Matsumoto 2003.07.03 2080
1659 Deep Sky jupiter 080709 9 file 정병준 2008.07.10 2070
1658 Deep Sky M64 5 file Hirohisa Matsumoto 2003.05.14 2066
1657 Deep Sky M51 4 file Hirohisa Matsumoto 2003.07.09 2066
1656 Deep Sky 2003-08-03 Mars 2 file Toshihiko-Ikemura 2003.08.04 2061
1655 Deep Sky 은하수 파노라마 입니다 3 file 조진원 2010.10.18 2035
1654 Deep Sky Mare Imbrium 3 file Hirohisa Matsumoto 2003.05.23 2026
1653 Deep Sky NGC6960 LRGB 1500x1500 3 file Akihiko Ito 2003.08.09 2026
1652 Deep Sky 노이즈 가득한 은하수 사진 ㅡ.ㅜ 6 file 이권재 2008.08.14 2022
1651 Deep Sky M81 & M82 ( S2Pro ) 2 file Hirohisa Matsumoto 2003.07.22 2012
1650 Deep Sky 처음 찍어본 화성 4 file 권기식 2003.08.01 2011
1649 Deep Sky Vallis Alpes & Rima Birt file Yoshiaki Kawakami 2003.06.13 2007
1648 Deep Sky 괘석리 M31 6 file 안정철 2010.10.11 2005
1647 Deep Sky 먹다버린 사과 성운 8 file 하준기 2008.06.01 2003
1646 Deep Sky ω Clusters 4 file Hirohisa Matsumoto 2003.06.09 1996
1645 Deep Sky NGC2264"Christmas Tree Nebula" & ICNGC1499 "California Nebula" 2 file Akihiko Ito 2003.06.23 1993
1644 Deep Sky 중국 임안(臨安) 부근 청산호(淸山湖) 주차장에서 개기일식을 관측하였습니다. 7 file 양성우 2009.07.24 1992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54 Next
/ 54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