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Deep Sky
2005.03.07 10:49

M42 오리온 처음도전...

(*.121.236.175) 조회 수 1049 추천 수 63 댓글 1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m2, 1번화일은 fs60c, 2번화일은 보그100아크로메틱, 300d, 약 3분노출, iso400

안녕하셔요. 이제 막 별보기를 시작한 초보입니다.
이곳 저곳에서 얻은 정보와 장비로 추운겨울 천체사진을 시작했습니다.

이곳 회원중 이윤님과, 박성래님에게 메일로 조언을 받아...
em2가대로 극축을 최대한 정밀히 맞추고(이윤님이 조언하신 표류이탈법은 아닙니다.  아직 초보인 저에게는 어려워서...)
해보니 노터치 가이드로 약 3~4분은 사진이 가능하더군요.

보그는 구경에 비해 사진이 별로이지만 아크로메틱이라는점을 감안하면 오리온 중심부가 타버리지 않고  나타난 것에 만족 해야겠습니다.

오리온을 찍으면서 옆에 말머리성운도 도전 했는데...300d의 한계인지 경통의 한계인지...붉은성운기가 거의 나타나지 않아서 포기 했습니다.

여기서 질문 한가지...인간이 우주로 나가 별을보면 과연 여기 회원님들 사진처럼 붉은 성운기를 볼수 있을까요?

아직 후보정을 전혀 못해서 올라오는 사진들이 모두 후보정으로 이루어진 것이라면 리얼월드는 오히려 제사진이 아닐까하는 착각에서 ...^^

그럼 많은 조언 부탁 드립니다.
  • 남기현 2005.03.07 11:06 (*.103.12.126)
    멋지게 잘 나왔네요. 이쁩니다. ^^
  • 김경호 2005.03.07 11:44 (*.144.143.87)
    멋짐! すばらし!!!!!
  • 권한조 2005.03.07 16:54 (*.36.157.34)
    보그100의 ISO400 3분이 Pentax75의 ISO800 3분과 비슷하군요. 멋집니다. 8인치 스타파인더로 본 M42의 색깔은 매우 이쁜 청록색이었는데, 우리눈은 적외영역을 감지 못하니, 사진에서의 붉은 성운기보다는 녹색으로 보이지 않을까요?
  • 권기식 2005.03.07 18:27 (*.187.167.19)
    별 주변 색이 보라빛을 띄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보정하는 과정에서 광해에 의한 효과일 것으로 생각되는데, 도대체 무엇일까요? 저는 제 카메라에서만 나타나는 현상인줄 알았습니다.
  • 유종선 2005.03.07 18:38 (*.155.236.80)
    입문은 축하드립니다. 첫사진 멋집니다. ^^
  • 김승남 2005.03.07 19:03 (*.199.231.60)
    14인치쯤 되면... 오리온은 왠만해선 그냥 붉게 보이더군요^^;;;;;
  • 감금화 2005.03.07 20:41 (*.243.125.186)
    처음...이라는 말... 참 설렙니다...
    멋진 사진이네요...
  • 도영재 2005.03.08 09:16 (*.78.62.62)
    2번째 사진 별 주변색이 보라빛나는 이유는 보그경통 렌즈가 아크로메틱이여서 색수차가...사진은 모두 보정없이 올린것입니다. 합성조차 안했습니다. 오랫만에 포토샾을 써보려닌 도무지...
  • 권기식 2005.03.08 12:32 (*.187.167.19)
    제 경통은 75SDHF입니다. 검색해보시면 제가 올린 사진이 있습니다. 아크로매틱이라서 생기는 현상만은 아닌 것 같아 보입니다.
    보그 125ED와 저와 동일한 카메라로 찍은 사진들에서도 저런 현상이 보이더군요.
  • 박영식 2005.03.08 16:31 (*.219.33.111)
    포토샵에서 채널별로 image를 분리해서 보면 답이 나올 듯 합니다.
    두분이 가지고 계신 카메라들은 blue 쪽에서 sensitivity 가 더 강합니다. 대부분의 DSLR이 비슷하죠...
    이문제 plus 단초점 망원경들은 f/수가 작기때문에 어쩔수 없이 색수차가 어느정도 나타납니다.
    f/8 정도만 돼도 이현상이 사라지기 시작합니다.
    .
    20D로 Pentax SDUF 100mm(f/4)와 Takahashi FS128(f/8)에 물려서 촬영을 해봤는데 SDUF에선 똑같은 현상이 나타나고, FS128에선 보이지 않습니다.
    SD와 Flourite의 차이일 수도 있겠지만...
    아무튼 광학계와, 디텍터의 복합적인 문제로 보입니다. ^^
  • 권기식 2005.03.08 20:50 (*.187.167.19)
    아, 결국 센서의 특성과 렌즈의 광학적 특성이 만들어낸 결과였군요...
    명확한 답변 감사합니다. ^^

준회원 사진 갤러리

준회원분들이 촬영한 천체사진만 올려주세요.

  1. by 이병국

    천안 호반에서의 첫 달사진 5 file

  2. by 김종호

    알비레오 5 file

  3. by 김형근

    M57 7 file

  4. by 임수현

    이번엔 달 사진입니다..^^;; 2 file

  5. by 강문기

    M27 3 file

  6. by 강문기

    M82 4 file

  7. by 강문기

    M42 6 file

  8. by 권한조

    상현달 6 file

  9. by 도영재

    실패한 말머리성운& 플레아이데스 5 file

  10. by 김희철

    허접한 장미성운 3 file

  11. by 김희철

    [re] 밑에사진 원본... 2 file

  12. by 이은호

    밑에사진 원본... 0 file

  13. by 이은호

    달...... 5 file

  14. by 김형근

    M65와 M66 8 file

  15. by 박교영

    달이에요... 1 file

  16. by 변수근

    3 file

  17. by 김종호

    오래전에 2 file

  18. by 신범영

    STL-11000 TEST SHOT 12 file

  19. by 김경호

    맑은 하늘의 달. 3 file

  20. by 김경호

    구름속의 달. 2 file

  21. by 성대환

    International Star party 4 file

  22. by 성대환

    초승달과 수성의 근접사진 0 file

  23. by 김희철

    M42 이미지 처리 2 file

  24. by 김경호

    Jupiter재시도 5 file

  25. by 도영재

    M42 오리온 처음도전... 11 file

  26. by 신승훈

    어머나 폰으로 찍은 달사진이에요 1 file

  27. by 김영재

    달착륙선에서 찍은 달의 크레이터 4 file

  28. by 김경호

    옛날 달사진 자료 리터치 6 file

  29. by 김경호

    처음으로 합성해 본 달. 0 file

  30. by 김희철

    [re] 주기오차 2 file

  31. by 김희철

    허접한 오리온성운(M42) 2 file

  32. by 황준엽

    ToUCam으로 처음 작업해본 결과입니다.. 0 file

Board Pagination Prev 1 ...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 54 Next
/ 54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