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Star Cluster
2003.04.09 10:28

M3 - cp995

(*.98.182.197) 조회 수 2394 추천 수 366 댓글 15


030406  00:50:40
분당 강남 300 주차장
C11
EM200 TEMMA
XL21
CP995
FL : 14.3mm
f : 3.3
ex : 60sec
ISO : 400
WB : fluorescent
13 Images stacked
photoshop 5.5
Registax

밑의 M13 보다  먼저 도전 했던 대상인데 초점확인하고 시양중앙에 넣으려고 많은 시행착오를 거쳤던 대상입니다. 그리고 결과도 물론 좋지 않구요. 장초점의 망원경으로 그것도 콜리메이트 방식으로 찍는다는 것이 힘들어 보이는군요^^.
하지만 EM200 TEMMA를 이용한 자동도입으로 황인준씨보다는 훨씬 쉬웠습니다. 그냥 M3 누르면 대충 중앙에 오더군요.
  • 황인준 2003.04.09 10:40 (*.215.123.120)
    좋지 않다니요 T_T 누구 기 죽일일 있는규? 별도 똘똘하게 나오고 암튼 좋은 사진입니다. 앞으로 더 좋아질 수 있다는게 우리를 즐겁게 하지요.. 일단 한국에서 995로 확대촬영해서
  • 이건호 2003.04.09 10:46 (*.101.108.100)
    실제화소수가 적어서 1분이상노출이 별 의미가 없다는 말씀의 의미는 무엇인가요? ^^;
  • 황인준 2003.04.09 12:42 (*.215.123.120)
    ㄲㄲ.. 역시 #@대왕 아니랄까봐.. 실제 나란히 놓고 SLR, (D100), CP4500, CP995를 놓고 찍어 결과를 비교해 보면 다 같이 노이즈가 발생은 하는데 문제는 노이즈의 크기가 클 경우(CP4500이나CP995)찍혀야 될 성운기가 아예 노이즈 픽셀에 가려져 버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 경우 다크 프레임이나 플렛 필드 로 뻬 주어도 있어야 될 성운기나 어두운 별이 노이즈 때문에 빼 버리면 검게 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어 극복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결국 발생하는 노이즈도 고와야지만 그나마 찍혀야 될 것들이 덜 손실을 입을테고 나중에 합성을 할때도 덜 수고 할 수가 있는 것이죠. CCD의 특성도 있을 수 있으나 한계를 극복하기란 쉽지 않아 보입니다. 방법으로는 짧은 노출로 많은 장수를 합성하는 방법인데 이 또한 이미지 처리 과정에서 이미지에 왜곡이 생길수 있습니다. 실례로 D100이나 S2Pro의경우 ISO1600에서 5분을 줘서 찍는 것이 CP4500에서 800을 주고 찍는 것 보다 노이즈가 덜 해 보입니다. 그러나 실제 덜한 것은 아닐테고 같은 액정(사이즈)에서 볼때 노이즈의 입자가 작아 눈에 덜 띠는 것이죠.. 이는 후처리 작업에서 많은 유리함을 갖게 딥니다. 실제995와 4500도 불과 100만화소 차이인데도 비교를 해보니 노이즈 차이가 많이 나더군요.. 나중에 기회가 다면 참고 그림을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말 하고 싶은 것은 많은데 표현이 잘 안되네요... 맞는가도 잘 모르겠고. ..




  • 이건호 2003.04.09 13:24 (*.101.108.100)
    어떤 말씀을 하시는지 이해가 되네요. 하지만 몇가지 다시 생각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우선 어떤 CCD도 노이즈는 가지고 있습니다. 수천만원짜리 CCD도 찍어보면 노이즈에 얼룩에 차마 놀랄지경이죠. 말씀하신대로 다크프레임을 빼면 성운에 암흑 점이 뽕뽕찍히구요. 하지만, 겹치기 2장부터는 현격하게 줄어들기 시작합니다. 3~4장되면 그런 노이즈로 발생된 것들은 거의 사라집니다. 짧은노출+여러장이 이미지처리과정에서의 왜곡이 생긴다고 하셨는데... 왜곡보다는 보정이란 말이 어울릴 듯합니다. 사실대로 표현하기 위한 노력요. 그리고 995,4500의 CCD는 원래 SLR에 들어가는 CCD에 비해 자체 노이즈가 실제로 훨씬 큽니다. 제가 보기엔 995와 4500의 CCD센서 종류도 틀려보입니다. 995 우세... 인거 같습니다. (헉, 4500으로 바꾼지 얼마안되었는데....)
  • 황인준 2003.04.09 17:03 (*.117.17.253)
    995나 4500의 노이즈가 D-SLR보다 훨씬 크다는 것은 어떤면에서 그런가요? 실제 테스트? 그리고 어떤 면에서 995가 우세하죠? 제가 보기에는 995가 더 노이즈가 많은 것 같던데요.. 연구해 볼만한 가치가... 예를 들어D-100에서 4500과 같은 화소수로 찍어 보면 어떨까요? D-100역시 비슷하게 많을(?클)거라 봅니다. 995와 4500만 비교 할 경우 노이즈는 같은 조건에서 995가 더 눈에 띄입니다....그리고 이미지 처리상에 겹치기에 의한 노이즈 보정 효과는 확실히 인정할 만한 부분이나 고감도에서 M57을 찍어 다크 프레임을 빼 주면 도저히 봐줄나한 사진이 아니게 됩니다. 그리고 검은 점이 뽕뽕이 아니고 검은 면적이 유사한 부분에 생기기 때문에 꽤 많은 장수를 합하지 않으면 안될것으로 봅니다. 고다의 냉각 CCD와 비교한다는 것 자체가 조금 우수은 생각이 들기도 하지만.. 암튼 다음에 건호님 서브 시스템으로 4500이용해서 함 찍어보세요..제 사진의 경우 다크프레임을 빼 주는 선처리를 했다가 포기하고 그냥 겹치기를 했습니다. 최 승룡님의 사진은 빼주기를 한 사진 같아요.. 예기가 길어졌네..그나저나 이따가 뵈요..
  • 최승용 2003.04.09 17:35 (*.98.182.197)
    논쟁이 심하군요. 이런것이 우리가 바라던 것이겠지요.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으니까요. 아! 이 사진은 원본에서 빼주기를 했습니다. 그리고 이미지 합성했구요.... 그래서 아마도 황인준씨의 M3보다 나아 보인것 같습니다. 그리고 야밤도주할 생각인가 봅니다.^^ 즐거우세요....
  • 이건호 2003.04.10 09:55 (*.101.108.100)
    즐거웠습니다. TOA130도 볼 기회가 있어서 더욱... 어제 논쟁을 이어가도록하죠. ^^ 노이즈의 문제는 전부터 비교를 해 보고 싶었던 부분입니다. 그래서 제안을 하나하죠. 상온 (요즘 실내에서) 디카 뚜껑을 닫고 ASA100에 맞추고 5분간 암회면을 찍어서 홈에 올려보기로요. D100, S2Pro, 4500, 995 회원분중에 다른 기종이 있다면 대 환영이구요. 이렇게 올린 사진은 보면 각CCD마다의 특성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거 같습니다.
  • 황인준 2003.04.10 10:34 (*.117.17.125)
    어제는 갑자기 하늘이 좋아졌다가 또 갑자기 않좋아져서 TOA의 실력을 알기에는 역 부족이었던 것이 아쉽습니다. 그러나 늘 반가운 얼굴들 만나서 즐거웠지요.. 각 CCD의 노이즈 특성을 확인하는 것도 많은 공부가 되겠군요. 문제는 CP995는 1분까지 밖에는 노출이 안되기 때문에 테스트에 동참하기가 어려울 듯 한데 995는 4500괴 iso800으로 1분간 뚜껑 닫고 노출 해 비교해보는 것도 재미있을 것 같습니다.
  • 황인준 2003.04.10 10:47 (*.117.17.125)
    유용한 정보에 올려놓도록 하겠습니다. 보시고는 같은 조건으로 답글 형태로 찍어 올려 주시면 되겠습니다.
    그나저나 CP4500의 한계를 확실히 확인하게 되면 어쩌지요? ^_^
  • 이건호 2003.04.10 11:34 (*.101.108.100)
    이왕하는거 정확한 데이터를 위해 1분간 노출 준것도 같이 올리죠!
  • 최승용 2003.04.10 11:39 (*.98.182.197)
    cp995로 일분 노출을 화이트 발라스 오토로 그리고 ISO800으로 찍어서 올리겠습니다.^^ 재미있겠네요. 그리고 한가지... 사진기를 오래 켜두면 노이즈가 많이 발생하므로 꺼진 냉각이 충분히 된 상태에서 찍어야 할 것 같습니다. 그럼 자료 올리지요^^.
  • 황형태 2003.04.10 11:46 (*.241.110.120)
    어제 번개관측들 했다고??..음...-.-
  • 최승용 2003.04.10 11:48 (*.98.182.197)
    TOA 130을 보았다구요? 음!!! 보고 싶었는데... 근데 누가 가지고 왔나요?
  • 황인준 2003.04.10 12:25 (*.117.17.125)
    홈피는 다운되어서 쓸수가 없었구요.. 하늘도 확신이 안가고.. 또 황교수님 수요일에는 야간강의 때문에 안된다고 들었기에.. 죄송합니다.
  • 황형태 2003.04.10 12:35 (*.241.110.120)
    음...내가 수요일 야간강의 있는것까지 기억하고 있을줄이야...^^ 근데 TOA130이 궁금하니까 진짜 죄송하면 번개후기 좀 올려주세요, 자세히...

  1. M45 Pleiades

    이날은 새벽에 미러와 사경에 이슬이 내렸답니다. 많은 매수를 찍었으나 그 덕분에 반정도를 버린 이유로 컬러 정보와 S/N비가 떨어집니다. 연일 맑은 날로 피곤했지만 오랜만에 별빛아래 행복감을 느꼈습니다. 사진에 대한 질은 하늘과 어느정도 비례하는 걸...
    Date2011.10.01 CategoryStar Cluster By황인준 Views138335
    Read More
  2. 031015 M15

    -FS152 -EM200 Tm2 Jr. - ST2000XM + CFW8 - L=20초 X 30장(1X1) - R=20초X 12장, G=20초X 14장, B=20초X 16장 (2X2) - 노터치 가이드 - CCDSoft, Stella Image4, Photoshop - 천문인 마을 - 2003년 10월 15일 새벽 2시경
    Date2003.10.17 CategoryStar Cluster By황인준 Views4282
    Read More
  3. M13 - 030605

    덕초현 번개에서 찍은 사진입니다. 하늘의 투명도가 너무 많은 습기와 부유물질로 않좋은 상태라서 처음 은하에 한번 도전하겠다던 생각은 접고 TSC225의 성능 테스트겸 M13을 넓은 시야로 찍어 보고자 테스트를 했습니다. 나름대로 맛이 다른 사진이 나왔고 ...
    Date2003.06.06 CategoryStar Cluster By황인준 Views3863
    Read More
  4. M10 030531

    땅꾼 몽통의 방광 근처에 있는 M10입니다. 노목에서 찍은 사진입니다. 하늘이 좋아 보여서 그리고 처음으로 자동도입을 했기에 초 저녁에는 안시를 좀 했습니다. 그리고는 처음으로 TSC225를 이용해서 사진 촬영을 했지요.. TSC225 EM200Temma2 PC Jr. XL40 S...
    Date2003.06.02 CategoryStar Cluster By황인준 Views3801
    Read More
  5. M92, 030706

    어제의 날씨는 그래도 기대 이상 이었습니다. 급격히 시상이 변화하고 또 빠르게 구름이 생기고는 없어지고 분당 하늘에서 사진이 어떠한가 또 노이즈는 어떤가 테스를 해 보았습니다. 대상은 꽤 밝은 구상성단인 헤라크레스의 M92였는데 기대 보다는 그럭저...
    Date2003.07.06 CategoryStar Cluster By황인준 Views3197
    Read More
  6. M13-030606

    천문인 마을에서 찍은 M13 입니다. C11 / EM200 TEMMA / CP995 / LV50 60s / F3.3 / iso400 / fl 14.5 8 images stacked 포토샾에서 수동으로 합성하고 칼라를 흑백에 가깝게 손 보았습니다. 4500과 비교를 하고 싶어서요. 당연 4500이 우세하지만 실질...
    Date2003.06.09 CategoryStar Cluster By최승용 Views3119
    Read More
  7. M13입니다.(030706)

    요즘 구름하고 늘 숨박꼭질하고 있답니다. 그래도 그런데로 M13쪽은 괜찮은 것 같아 CCD로 찍어보았습니다. 40s씩 5장 찍었습니다. 즐컴되세요. Takahashi 152FS Temma SBIG ST-8E, CFW8a, Self guide. L : 40s x 5 (1x1binning) RGB: 40s x 5 (1x1binning)
    Date2003.07.06 CategoryStar Cluster By김영혜 Views2970
    Read More
  8. m13-cp995

    030406 01:35:29 분당 강남 300 주차장 C11 EM200 TEMMA XL21 CP995 FL : 11mm f : 2.9 ex : 60sec ISO : 400 WB : fluorescent 20 Images stacked photoshop 5.5 강남 300 주차장에서 관측 하다가 처음으로 deepsky를 도전해 보았습니다.^^. 결과는 우습지만...
    Date2003.04.07 CategoryStar Cluster By최승용 Views2823
    Read More
  9. M3 구상성단

    Object: M3(NGC5252) Globular cluster in Canes Venatici Exposure: 246 seconds Processing: Enhanced in Adobe Photoshop 7.0 Telescope system: Tak. TSC225 Schmidt-Cassegrain 225mm F/12 and Fujifilm FinePixS2Pro digital camera Mount: Tak. NJP Gu...
    Date2003.04.07 CategoryStar Cluster By박병우 Views2713
    Read More
  10. M4, M13

    촬영일시 : 2003년 4월 5일 24시 촬영장소 : 덕초현 중앙천문대 주경 : XQ200s 가이드경 : 미자르 80 적도의 : Takahashi EM200USD2 카메라 : Nikon D100 노출 : RAW 모드, 3분 Comment : D100을 구입 한 뒤, 처음으로 찍어본 천체 사진 입니다. 캬캬캬
    Date2003.04.06 CategoryStar Cluster Bystarlit Views2701
    Read More
  11. 초점 맞추기

    초점 맞추기 요 아래에서 이준화님이 사진이 잘 나왔다고 하셨지만 별 것아니고 초점을 신경쓰서 맞춘것밖에 없습니다. 그러나 초점이 과연 잘 맞았는지 안맞았는지 저도 확실히 모릅니다만 초점이 안맞을 경우의 구상성단 모습을 올려드립니다. 초점을 맞추...
    Date2003.04.07 CategoryStar Cluster By박병우 Views2525
    Read More
  12. M3

    M3 C8ex, EM10, ST-10XME L : 100sec x 7장 (1x1 binning) 2003년 3월 22일 경기도 분당 부근
    Date2003.04.07 CategoryStar Cluster By이건호 Views2499
    Read More
  13. 백조자리의 두 산개성단 (M29 & M39)

    백조자리 가슴의 sadr 옆에 있는 산개성단 M29와 네데브 윗쪽에 자리잡은 M39입니다. 여름은하수의 화려한 성운틈에서 소박하게 자리를 지키고 있어 주목하기 어려운데 가끔 구름이 지나는 날씨여서 구름이 없는 짧은 시간을 이용하여 찍어 보았습니다. 짧은 ...
    Date2007.07.01 CategoryStar Cluster By신범영 Views2428
    Read More
  14. M3 - cp995

    030406 00:50:40 분당 강남 300 주차장 C11 EM200 TEMMA XL21 CP995 FL : 14.3mm f : 3.3 ex : 60sec ISO : 400 WB : fluorescent 13 Images stacked photoshop 5.5 Registax 밑의 M13 보다 먼저 도전 했던 대상인데 초점확인하고 시양중앙에 넣으려고 많은 ...
    Date2003.04.09 CategoryStar Cluster By최승용 Views2394
    Read More
  15. M13, 2003년 3월, 설매재

    2003년 3월, 설매재 SCT 9 1/4 EX (D 235mm, f 2350mm, F 10, Reducer F 6.3) EM200, Nikon D100 ISO 3200 에서 250 초 1/2로 resize 후 1/2 crop 한 것입니다.(길이) 참조: http://astrogallery.pe.kr
    Date2003.04.08 CategoryStar Cluster By김영렬 Views2379
    Read More
  16. M15 구상성단

    2003/07/05 분당근처 C8ex, EM10usd, ST10xme L: 30sec x 17 (흑백) 이미지를 클릭해서 보세요. 트래킹도 잘 안되고 바람불고 가끔 구름때문에 SN비가 썩 좋지 않습니다만, 분당하늘이라 그려녀니.... 하고 봐주십시요. 이건호
    Date2003.07.08 CategoryStar Cluster By이건호 Views2356
    Read More
  17. M45, 2002년 11월, 청태산

    2002년 11월, 청태산 FS102 (D102mm, f820mm, F6 Reducer) EM200, Nikon D100, ISO 1600, 5min 참조: http://astrogallery.pe.kr
    Date2003.04.08 CategoryStar Cluster By김영렬 Views2348
    Read More
  18. 030601 M13

    TEC 6, XL14, EM-200 T2PC Jr. CP5000 ISO 800에서 2분간 노출 준 사진 4장을 Registax에서 합성하여 포토샾에서 레벨만 조정하였습니다. 처음 해보는데 상당히 힘이 드는군요. 본격적인 사진 작업을 하려면 장난이 아닐 것 같다는 느낌이 팍팍 듭니다....
    Date2003.06.01 CategoryStar Cluster By김상욱 Views2333
    Read More
  19. M3-2번째 사진

    Object: Globular cluster M3(NGC5252) in Canes Venatici Exposure: 320 seconds, ISO1600 Processing: Enhanced in Adobe Photoshop 7.0 Telescope system: Tak. FS152 152mm F/8 APO refractor and Fujifilm FinePixS2Pro digital camera Mount: Tak. NJP ...
    Date2003.04.07 CategoryStar Cluster By박병우 Views2301
    Read More
  20. [re] M15 구상성단

    이건호님의 원본을 가지고 재처리를 해보았습니다. 재처리과정 : 포토샵에서 곡선및 레벨조정, 더스트&스크래치->맥심에서 DDP 및 언샵마스트, 핫픽셀제거 하면서 궁금했던점 : 8시방향 밝은별을 어떻게 처리하면 이건호님처럼 동그랗고 작은 별이 되나요?
    Date2003.07.14 CategoryStar Cluster By이준화 Views2285
    Read More
  21. M13

    -NADA 제1천문대 -292FN w/R200SS 코마코렉터 -NJP Temma2 -ST-10XME w/CFW-8A(-40) -L : 100초X12장(1X1) -RGB : 각 200초X3장씩(1X1) -2007. 02. 23 크기는 엄청 크네요.. 밝기도 그렇고.. 구상성단은 짧은 시간에 찍을 수 있어 좋습니다.
    Date2007.03.03 CategoryStar Cluster By김일순 Views2281
    Read More
  22. M13 revision

    중앙부분이 분해 되면서... 주변부의 별까지 나오도록 처리를 해보았습니다. 방법은 "사이트링크"에 올린 방법대로 했습니다. 130edf, st-10xme -15c 5min1장
    Date2003.05.12 CategoryStar Cluster By이건호 Views2251
    Read More
  23. M3, 2003년 3월, 설매재

    2003년 3월, 양평 설매재 SCT 9 1/4 EX (D 235mm, f 2350mm, F 10, Reducer F 6.3) EM200, Nikon D100 ISO 1600 에서 310 초 1/2로 resize 후 1/2 crop 한 것입니다.(길이) 참조: http://astrogallery.pe.kr
    Date2003.04.08 CategoryStar Cluster By김영렬 Views2242
    Read More
  24. 뱀주인자리의 구상성단 시리즈1 (M9,M10,M12)

    뱀주인자리에는 여러 개의 구상성단 중 M9, M10, M12입니다. 두번째 M9사진에서 구상성단 옆에 있는 암흑성운은 B64입니다. M10과 M12는 크기와 모양이 비슷해서 쌍동이 처럼 보입니다. M12는 바람때문에 별상이 좀 않좋네요. 망원경: ADT Kastron 320DS(12.5...
    Date2008.06.15 CategoryStar Cluster By신범영 Views2227
    Read More
  25. M13_030508

    어버이날 분당 번개에서 촬영한 M13인데요... 극축이 정밀하지 않아서 좀 흘렀습니다. 그리고 중앙부분 crop입니다. 030509 00:08:06 XL21 995 60s, F:5.9, iSO:800, fl:14.3 image size : 2048X1536 image mode : fine 7장 수동합성 및 이미지 처리, 크롭 및...
    Date2003.05.10 CategoryStar Cluster By최승용 Views2149
    Read More
  26. 플레이아데스,M45

    꿍~ 이런저런 이유로 별상이 말이 아닙니다. 오랫동안 굴절만 올려놓고 쓰다가 모처럼 반사망원경을 대했더니 너무 어색하네요. 게다가 날씨도 오락가락.... 테스트할 건 많은데 진득하게 날씨가 도와주질 않으니 뭐 제대로 한 게 없는 날이 되어 버렸습니다....
    Date2007.09.21 CategoryStar Cluster By고창균 Views2100
    Read More
  27. m24

    ||1- 촬영일시 : 2008년 06월12일 - 촬영장소 : 경남 지리산 청학동 - 마 운 트 : EQ6 SynScan - 망 원 경 : Pentax 100 SDUF - 카 메 라 : QHY 8 - 가 이 드 : 이쁜이 62mm + QHY 5 - 노출정보 : 600s X 3ea - 소프트웨어 : ImagesPlus 합성 , 포토샵보정 장...
    Date2008.06.13 CategoryStar Cluster By이상희 Views2052
    Read More
  28. NGC6520과 B86 - 2003년 5월 5일

    궁수자리에 위치한 산개성단 NGC6520과 암흑성운 B86 입니다. 은하수의 중심부근이라 별이 참 많습니다. 2번째 사진을 클릭하시면, 많은 별들을 볼 수 있습니다. 몇개인지 세어서 맞추시면... 푸짐한 상품을 하나 드리겠습니다.^^ (캘리브레이션이 제대로 안...
    Date2003.05.09 CategoryStar Cluster By이건호 Views2047
    Read More
  29. 페르세우스 이중성단 ngc884 ngc869

    하늘에 떠 있는 산개성단에서 가장 걸작 중에 하나인 페르세우스자리의 이중성단입니다 망원경에 아이피스 끼우면 항상들이대는 명작. 명작은 언제 보아도 명작입니다. 2007년 12월 5일 덕초현 천문인마을 원격천문대 A-RO KASTRON 320DS, EQ1200GTO, STL11K ...
    Date2008.04.13 CategoryStar Cluster By이건호 Views2037
    Read More
  30. 071017-M45

    촬영일: 2007년 10월 18일 새벽 촬영지: 대부도 대남초교 망원경: FSQ-106 kai 적도의: EQ 1200 GTO 카메라:SBIG 2000XM(-20도) R : 20m (1x1) G : 20m(1x1) B : 30m(1X1) L : 50m(1x1) 찍고나니 구도가 잘못잡혔더군요. 한쪽으로 치우쳐져 있어 크롭하였습니...
    Date2007.10.31 CategoryStar Cluster By박정용 Views2025
    Read More
  31. M13, 2002년 4월 19일

    이것은 2002년 4월 19일 찍은 M13의 모습입니다. 인준님과 비슷한 구경 조건입니다. 9인치 슈미트카세에 아이피스는 LV25mm입니다. 노출은 300초, ISO100이고 카메라는 쿨픽스5000이었습니다. 메타데이터가 살아있으니 아주 편리하군요. 그 때는 ISO는 항상 1...
    Date2003.05.04 CategoryStar Cluster By박병우 Views2023
    Read More
  32. M44+Mars

    아직 달이 밝지만 그래도 주말이라 몸도 근질거리고 뭐라도 찍지않으면 안될것같아 일단 광덕산 별만세 관측소를 갔습니다. 오리온 반사경통 촬영때 사용하려고 바람막이를 설치했지만 얼마전 강풍에 쓰러져버린 잔해를 보면서 고창균샘께 미안하기도하고 해...
    Date2008.05.25 CategoryStar Cluster By김호섭 Views2022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0 Next
/ 20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