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Galaxy
2016.01.20 11:57

M106

(*.125.184.85) 조회 수 314 추천 수 0 댓글 5

- 촬영 일시 : 2016.1.18
- 촬영 장소 : 강원도 횡성
- 망원경(경통) : Orion optics 250mm F/4.8 + 빅센 콤마코렉터
- 가대(삼각대) : NJP Temma
- 카메라(CCD) : 소니 A5000 (IR cut 필터 제거) + Hoya UV/IR cut filter
- 촬영 노출 : ISO 1250 4분 x 6장 = 총 24분
- 이미지처리 : 포토샵+라이트룸


작년 봄에 같은 장비로 찍었던 M106 을 다시 찍어보았습니다. 작년과 다른 점은 Hoya 필터를 사용한 점과

가이드 및 광축을 정비한 것입니다. 총 노출시간이 작고 시상이 나빠서 작년에 촬영한 사진보다 세부묘사가 떨어집니다.

Hoya 필터를 사용하니 색상 균형이 좋게 촬영이 됩니다. 


광축 및 가이드 문제로 고민이 많았는데 대부분 해결되었습니다. 

빅센 콤마 코렉터 사용해서 촬영했는데 가장자리까지 대부분의 별들이 똥글똥글하게 찍힙니다.


그 동안의 문제는 미러셀의 미러 지지방법때문에 발생한 것이었습니다.

작년 여름에 강력한 양면 테이프를 사용하여 미러를 미러셀에 고정시켰습니다. 이렇게 하면 미러 시프트가 없어질 것으로 예상 했습니다. 

그런데 이 양면테이프가 워낙 강력해서 미러를 잡아 땡기니 별상의 한쪽끝이 뽀족하게 찍히거나 삼각형으로 찍혔습니다. 

또 테이프의 신축성때문에 생각과는 다르게 미러의 움직임이 많아서 광축을 맞추어도 망원경이 움직이면서 광축이 엉망이 되었고 

가이드도 제대로 되지 않았던 것입니다.


양면테이프를 모두 제거하고 예전 방식으로 미러셀에 미러를 고정하니  광축 및 가이드 문제가 모두 사라졌습니다. 

미러 시프트가 조금 남아 있기는 한데 조금만 손을 보면 해결 될 것 같습니다. 


요즘 NX500 과 A5000 으로 비교 촬영을 하고 있습니다. NX500 이 감도가 좋고 화소 크기도 작고 14-bit 라는 장점이 있지만 장노출은 8분이 최대이고

Dark Frame 을 촬영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Dithering을 사용하여 Dark Frame 촬영없이도 깨끗한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면 NX500 을 계속 사용하고 

그렇지 않다면 소니 A5000 만 사용할 예정입니다. 신기하게도 A5000 은 Dark Frame 촬영하지 않아도 언제나 깨끗한 이미지를 얻을 수 있습니다. 


천체사진 촬영시 Dark Frame 촬영이 필요없다는 것은 엄청난 장점인 것 같습니다. 




M106_6FlattedSUM2_LR_LR_PS_LR.jpg







  • 선숙래 2016.01.20 13:00 (*.164.64.119)
    별상이 아주 좋습니다.촬영후에 별상이 좋으면 기분이 아주 즐겁습니다.광축과 가이드 해결되고 미러 스트레스까지 해결하셨으니 앞으로 즐겁게 촬영하는 일만 남았습니다.축하드립니다.
  • 김상욱 2016.01.20 15:51 (*.70.145.130)
    고생 끝 행복 시작인가요? 사진 좋네요.^^
  • 김영렬 2016.01.20 16:39 (*.66.58.81)

    집에 놀고 있는 A5000 이 있는데(필터 제거는 하지 않은), 이걸로 딥을 시도해 봐야 겠네요.(방금  T 링 주문)
    요즘 태양은 영 아니라서...

  • 장승혁 2016.01.21 09:22 (*.218.207.4)
    큰 구경인데도 별상이 참 좋네요. 세부 묘사도 훌륭합니다.
  • 조용현 2016.01.21 17:17 (*.140.192.196)
    대구경 뉴튼이 좀 다루기 어렵지요.. 은하가 멋 집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이름 아이디 글쓴이
1398 Galaxy M95/M96/M105 1 file 2024.03.18 8 김삼진 jinalji 김삼진
1397 Galaxy M106 file 2024.02.29 13 김삼진 jinalji 김삼진
1396 Galaxy M74 2 file 2023.10.24 20 김삼진 jinalji 김삼진
1395 Galaxy M94 2 file 2024.03.19 20 김삼진 jinalji 김삼진
1394 Galaxy NGC4216 1 file 2024.01.28 21 김삼진 jinalji 김삼진
1393 Galaxy M81/82 1 file 2023.12.11 22 김삼진 jinalji 김삼진
1392 Galaxy M96/M105 1 file 2023.12.15 22 김삼진 jinalji 김삼진
1391 Galaxy M87 1 file 2024.03.24 22 김삼진 jinalji 김삼진
1390 Galaxy 마카리안 체인 file 2024.02.13 23 김삼진 jinalji 김삼진
1389 Galaxy M63 2 file 2023.12.24 24 김삼진 jinalji 김삼진
1388 Galaxy M31 Andromeda 1 file 2023.12.15 26 선숙래 sukraeseon 선숙래
1387 Galaxy M51 1 file 2024.03.04 28 공양식 rima2000 공양식
1386 Galaxy M101 file 2024.04.16 31 김삼진 jinalji 김삼진
1385 Galaxy M33 4 file 2024.01.09 32 김삼진 jinalji 김삼진
1384 Galaxy Regulus & Leo I (dwarf galaxy) 1 file 2024.01.20 32 이광호 lfo2910 이광호
1383 Galaxy M51 부자은하 4 file 2024.03.11 33 김영대 n4584 김영대.
1382 Galaxy NGC891 2 file 2023.10.22 37 김영대 n4584 김영대.
1381 Galaxy M 101, Messier 101 1 file 2024.04.09 38 박영식 astrohunter 박영식
1380 Galaxy M51 2 file 2024.01.23 42 김삼진 jinalji 김삼진
1379 Galaxy NGC3628 햄버거 은하 1 file 2024.04.21 44 김영대 n4584 김영대.
1378 Galaxy 초신성 SN 2024gy / NGC4216 3 file 2024.01.15 46 김영대 n4584 김영대.
1377 Galaxy NGC253 2 file 2024.03.25 49 황인준 sanfran 황인준
1376 Galaxy M106 1 file 2023.02.23 50 김삼진 jinalji 김삼진
1375 Galaxy Leo Trio (M65, M66m and NGC3628) 1 file 2023.02.20 56 김삼진 jinalji 김삼진
1374 Galaxy M63 1 file 2023.03.01 56 김삼진 jinalji 김삼진
1373 Galaxy M33 4 file 2023.08.01 59 김영대 n4584 김영대.
1372 Galaxy M51 1 file 2023.02.13 62 이광호 lfo2910 이광호
1371 Galaxy M77/NGC1055 1 file 2023.02.14 64 김삼진 jinalji 김삼진
1370 Galaxy Small Magellanic Cloud 2 file 2016.10.04 66 황인준 sanfran 황인준
1369 Galaxy M58, Siamese Twins file 2016.03.02 70 황인준 sanfran 황인준
1368 Galaxy NGC1097 인근 2 file 2016.09.20 70 황인준 sanfran 황인준
1367 Galaxy M104 1 file 2023.06.05 70 김삼진 jinalji 김삼진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44 Next
/ 44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