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Galaxy
2006.03.11 17:05

M83

(*.167.67.111) 조회 수 1450 추천 수 101 댓글 9


10인치 반사와 ST-10 의 연결에서 발생했던 문제점들이 이제는 어느정도 해결되었습니다. 가장 큰 문제점은 반사망원경의 광축이었습니다. 그동안은 작은 CCD 센서를 사용해왔었기 때문에, 망원경의 광축이 어느정도 틀어져 있어도 큰 문제가 없었는데, 센서가 조금 커지다 보니, 광축이 제대로 맞지 않으면 가장자리의 별들이 길쭉길쭉 엉망으로 찍혔습니다. 여러번의 시행착오 끝에  사진을 찍을 정도로 광축을 맞출 수 있게 되었습니다. 낮에 눈으로 맞춘후에, 밤에 CCD의 4군데 가장자리의 별상을 보며 최종 조정을 하면 어느정도 찍을만하게 됩니다.
어제는 M83  을 찍어보았습니다. 블루밍처리가 미숙하여 이상한 부분이 여러군에 있습니다.
Flat Field 처리도 아직 제대로 되지 않고 있습니다.

2006.3.10
오리온 250+R200SS 콤마 커렉터
L : 125분(ST-10)(2006.3.10)
RGB: 각 15분(2006.3.11)
중앙부분만 100%
  • 유종선 2006.03.11 20:50 (*.75.192.216)
    와우... 은하 암흑대의 디테일이 장관입니다. 이제부터 10인치 본격가동이군요.
  • 이건호 2006.03.12 01:14 (*.112.119.18)
    와. 역시 대단하군요.
    한국은 항상 남쪽 낮게 떠있어 만만치 않은 대상인데 말이죠.
  • 이준화 2006.03.12 09:42 (*.167.73.185)
    한국에서 보이지 않는 대상이나, 한국에서 찍기 어려운 대상을 찍으려고 합니다. 호주에서는 M83 이 머리위에 떠있어서 찍기가 수월합니다. M83의 왼쪽아래 두개의 별이 붙어있는 경우 블루밍 처리를 하면 사진처럼 이상하게 되는데, 어떻게 하면 제대로 처리를 할 수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 김일순 2006.03.12 18:03 (*.160.109.75)
    여기서는 고도가 낮아 찍을 엄두도 좀처럼 못내는 대상인데 이것을 보고 있으니 속이 후련합니다. 이제 10인치가 본 궤도에 오른듯합니다. 다음 사진도 기대됩니다. ^^
  • 윤홍선 2006.03.12 19:02 (*.109.120.155)
    저 안에서 또다른 생명체가 망원경으로 이쪽을 째려보고 있을 걸 생각하니 오싹합니다.
  • 박정용 2006.03.13 08:52 (*.117.115.182)
    와우~~! 대단하네요.
    정말 멋진 은하군요.
    디테일이나 색감이 너무 아름답습니다.
  • 최승용 2006.03.13 09:33 (*.255.146.12)
    색감이 찐하네요.
    이제 카메라에 대한 적응기간이 끝나면 어떤 이미지들이 탄생할 지 기대 됩니다.
    아무튼 남천 하늘을 모조리 싹 쓸어 오세요.^^
  • 이경화 2006.03.13 13:10 (*.147.235.45)
    M51만큼 화려하네요. 장비를 골고루 가져가셨군요. 앞으로 기대 됩니다.
  • 황인준 2006.03.14 16:20 (*.81.30.107)
    천정에 있어 그런지..
    디테일 표현이 이쪽 15인치보다 더 하군요..
    M33같은 디테일입니다.

  1. 등록된 글이 없습니다.
Board Pagination Prev 1 ...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Next
/ 44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