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Galaxy
2004.12.22 13:57

M106

(*.249.97.69) 조회 수 1225 추천 수 80 댓글 27




NGC2282 를 찍고 난후 찍은 M106 입니다. 생각보다 큰 대상이었습니다. M106 을 찍기전에 초점을 다시 맞추어서 성상이 조금 작아졌습니다.

오리온250(F4.8)+R200콤마코렉터

L:3minx24, R,G,B:3minx6(2x2)
  • 이건호 2004.12.22 14:02 (*.101.107.100)
    후와~ 정말 대단한 사진입니다. 베스트중의 베스트입니다.
  • 조창우 2004.12.22 14:06 (*.241.147.16)
    정말 최고 입니다... 어디 내 놓아도 부족함이 없는 사진 입니다....
  • 최승용 2004.12.22 14:12 (*.255.216.142)
    결국은 할말을 잊게 만드시는군요.
    세계적인 이교수님표 사진이 되겠습니다.
  • 이윤 2004.12.22 14:19 (*.249.48.108)
    대단~합니다.
  • 박정용 2004.12.22 14:47 (*.181.18.130)
    할말을 잊게 만드는 사진입니다.
    부드러움과 디테일, 색감이 아주 조화롭습니다.
    정말 멋진 사진이군요.
  • 선숙래 2004.12.22 14:51 (*.120.131.143)
    드디어 월척을 낚으셨네요.
    조금씩 손보신 오리온 경통이 제몫을 한 것 같습니다.
  • 황인준 2004.12.22 15:06 (*.85.89.247)
    1박 2일 정도만 보지 않아도 리플 달기가 힘드네요..
    기가 막힙니다.
    별에 원근감도 느껴 지는 것 같고 엄청납니다.
  • 김상욱 2004.12.22 15:24 (*.229.240.128)
    대단한 사진입니다.
    왼쪽 나선팔은 두 겹이군요. 거참 특이하게 생겼네요.
  • 이준화 2004.12.22 15:28 (*.249.97.69)
    감사합니다. ~ 사진은 초점이 가장 중요한것 같습니다. 이 사진은 제가 찍은 사진중 초점이 잘맞은 사진중의 하나인것 같습니다.
  • 박현권 2004.12.22 15:44 (*.126.9.12)
    입을 다물수가 없네요.
  • 김영재 2004.12.22 16:13 (*.251.197.105)
    역시 기대를 저버리지 않으시는 교수님!
    아니 교주님!..ㅎㅎ
  • 김일순 2004.12.22 16:24 (*.104.39.80)
    우와~! 이건 할말 없음.
  • 최승용 2004.12.22 16:49 (*.255.216.142)
    이교수님!
    사경 고정과 주경 고정은 어떤 방식을 쓰시나요.
    별상의 스파이크가 저는 8개로 보이는데 신경쓸 정도는 아니지만 혹시나 해서 물어 봅니다.^^
    제 망원경의 경우 사경은 사경 전체를 잡고 있는 둥그런 통 같은 것을 사경 홀더에 둥근 머리 볼트로 고정 하고 있습니다.
    이것이 스파이크를 보면 스파이더 4개의 회절상 말고 또 다른 한 쌍이 생기지요.
    이것은 광축을 잘맞추면 없어지고 대충 맞추면 생기곤 합니다.
    안시에서는 신경이 쓰이는데 행성 촬영에는 신경 쓰지 않고 있습니다.
    혹시 이런 경우가 아닐까 해서요.^^
    괜한 딴지는 아닙니다. 오해 없으시길 바랍니다.
  • 이준화 2004.12.22 17:12 (*.249.97.69)
    딴지라뇨 전혀 아닙니다. 역시 예리하시군요. 저도 스파이크에 대해서 이유를 생각하고 있습니다. 사경은 실리콘으로 홀더에 붙여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주경은 발톱3개로 고정해서 사용합니다. 일전에 황인준님이 주경의 테두리를 동그랗게 감싸면 별상이 깨끗해진다고 해서 테두리를 만들러 사용했는데, 깨끗해지기는 하는데, 그래도 뭔가 남더군요. 위사진은 테두리를 제거하고 찍은 사진입니다. 제 짧은 생각에는 주경을 고정하는 발톱에 의한 것이나, 그밖의 기구물에 의한 것일 것 같은데, 좀더 신경써서 봐야 할 것 같습니다. 좋은 지적 감사합니다. ^^
  • 박진홍 2004.12.22 17:58 (*.104.85.102)
    허걱.... M31 아니던가요 ?
    사진 정말 끝내줍니다!!
  • 최승용 2004.12.22 18:43 (*.255.216.142)
    이교수님!
    너그러이 이해해 주시니 고맙습니다.
    스파이더 4개의 vain과 완벽히 대칭인 점을 본다면 아마도 경통 앞쪽 endring을 고정하는 볼트가 길어서(왜냐하면 경통이 충분히 크지 않아서 경통 자체에 의한 비네팅으로 인한) 생기는 것일 수도 있겠군요.
    그냥 추측일 뿐 입니다.
    기회가 된다면 한번 보고 싶군요.^^
  • 김시태 2004.12.22 18:56 (*.51.33.48)
    일을 내고야 마셨군요.
    햐~~ 대단한 사진입니다.
  • 박병우 2004.12.22 18:58 (*.79.196.199)
    와~ 별상 좋고, 은하 구름 좋고, 색상 좋고 더 할 말이 없습니다.
  • 박영식 2004.12.23 09:37 (*.219.33.111)
    정말 멋지네요... ^^
  • 정민경 2004.12.23 12:25 (*.204.60.219)
    같은 글이 두개나 올라가 있네요.
    지우고 다시씁니다. 제 경통의경우는 사경도 크기를 키웠기 때문에 광량을 줄이지 않기위해서 미러를 실리콘으로 고정시켜서 사용하고 접안부는 촛점이 맞았을때 경통안으로 들어가지 않게 고정을 했습니다. 안시할때는 연장통이 필요하지만 이방법이 효과적으로 회절상을 깨끗하게 해주는것 같이 생각이 됩니다.
  • 문병화 2004.12.23 14:50 (*.98.30.149)
    음 점점 엄청난 일들이 벌어지는군요. .......
  • 이준화 2004.12.23 15:44 (*.249.97.69)
    접안부는 MT-200 용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경통 안쪽으로 들어가는 경우는 없습니다. 사경은 실리콘으로 3.1 인치 프로토스타 사경을 붙여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접안부를 MT-200으로 교체하면서 경통접안부 원을 크게 다시 뚫었는데 집에서 드릴과 줄로 가공을 했기때문에 정확한 원형으로 가공이 되지 않고 우둘두둘합니다. 이것도 회절상을 나쁘게 하는 한가지 원인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정민경님 좋은 조언 감사합니다.^^
  • 정민경 2004.12.23 16:24 (*.152.195.179)
    제경우 사경과 주경을 실리콘으로 고정시켰고 그냥 그렇게 사용하는데 완벽하게 사라지지는 않더군요.
    밝은별에 어두운 줄이 가던 문제는 해결하신건가요?
  • 이준화 2004.12.23 16:37 (*.249.97.69)
    밝은별에 줄이 가던문제는 전기적인 문제였습니다. 이문제는 해결이 되었습니다. 주경도 실리콘으로 고정을 시키셨군요. 발톱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니, 회절상이 좋아질것 같습니다. 혹시나 떨어질 위험은 없을까요?
  • 정민경 2004.12.24 10:55 (*.204.60.219)
    찝차가 진동이 많은 편인데도 떨어진적은 없습니다.
    실리콘을 바를때 혹시라도 팽창계수가 틀려져서 문제를 일으킬 수 도 있을까봐 최소한으로 바르고(측면3점 아래3점) 한 일주일 주경을 세워놓고 따듯한 방안에서 말렸더니 이상이 없었습니다. 벌써 이렇게 해놓은게 1년이 넘었는데.....저도 간혹 10D로 찍을때 밝은별에 줄이가는 현상이 있어서 여쭤 봤습니다.
  • 윤홍선 2004.12.24 18:23 (*.72.198.179)
    제 노트북 배경화면으로 쓰고 싶을 정도로 정말 아름답고 박력적입니다.
  • 남명도 2004.12.25 16:57 (*.211.33.18)
    정말 보기힘든 명작입니다.

  1. m82

    C11, F6.4 ST-10XE, EM200TEMMA PC ,중앙부 크롭 L300*4, RGB300*2 (1*1) 지난토요일 새벽 5시10분에서 6시사이에 찍은 이미지입니다. 아직 광축도 안맞아 있고 dark도 문제가 있어서 제대로 빼내질 못했습니다. 장비가 새로 오고나면 항상 버벅거리는게 제 ...
    Date2004.11.22 CategoryGalaxy By정민경 Views921
    Read More
  2. M82

    지난주 토요일에 천문인마을에서 찍었습니다. 초자녁부터 구름이 오락가락하다가 저녁12시가 되서야 날이 맑아졌습니다. 0시 30분부터 찍기 시작해서 5시간동안 M82만 찍었습니다. 5시간동안이나 찍었는데 기대에 미치지못하는 결과를 얻었습니다. 광축도 이...
    Date2004.11.22 CategoryGalaxy By이준화 Views1055
    Read More
  3. [양평] m101

    분당에서 여러번 시도했다가 실패한 대상이라, 이번 김형석님, 정민경님랑 같이간 양평에서 다시 시도해 보았습니다. 요즘 나다에서 훌륭한 사진들 많이보면서 눈이 높아졌나 봅니다. 예전엔 그냥 처리해서 올리면서도 내가 찍은 사진이란 것에 뿌듯해 했는데...
    Date2004.11.23 CategoryGalaxy By박현권 Views890
    Read More
  4. [양평] m81, 82

    예전에도 여러번 찍어본 적은 있지만, m81의 나선팔을 가진 사진을 못찍어봐서, 다시 도전해 보았습니다. 템마가 노트북이랑 연결이 안되어서, 대부분 시간을 허비하고, 제가 찍은 대상은 이 2장이 전부네요. 저가 헤메고 있는동안, 규영이는 구석에서 본인의...
    Date2004.11.23 CategoryGalaxy By박현권 Views975
    Read More
  5. M101 & M97

    지난 주말에 찍은 사진 입니다... 촬영 매수가 작아 많이 거칠어 졌습니다. ISO1600 N/R 기능 켜서 찍는 거 보다 N/R 기능 없이 감도를 낮추고 약간 노출 시간을 길게 해서 많이 찍어야 될 것 같습니다..이제서야 20D 특성을 좀 알 수 있을 것 같습니다. M101...
    Date2004.11.27 CategoryGalaxy By조창우 Views913
    Read More
  6. M63

    입니다... 역시 노이즈가... 12인치 F4, Coma Corrector, LPSP2, NJP TEMMA PC 20D(ON N/R Function), 1.4X Convertor(1680mm) ISO1600, 5분 11장 원본 30 % resize 입니다.
    Date2004.11.28 CategoryGalaxy By조창우 Views1037
    Read More
  7. NGC672 / IC1727

    잊고 있다가 보니 아직 올리지 않은 사진이 있군요. 모양은 화려하지 않지만 이웃하고 있는 모습이 정겨워 보입니다. 두놈다 시직경은 작지는 않지만 아주 어둡습니다. 다음에 다시한번 도전 해 볼 예정입니다. 왼쪽의 NGC는 막대나선 처럼 생겼으나 나선은하...
    Date2004.11.30 CategoryGalaxy By황인준 Views1105
    Read More
  8. m31

    오늘 컬러필터휠 테스트차 양평엘 갔습니다. 아직 보완해야할점이 너무도 많이 있습니다. sxv-h9 + 펜탁스100sduf2 대략18매합성 포토샵 7 맥심에서 평균합성 200초 7매식 (RGB)
    Date2004.12.04 CategoryGalaxy By남명도 Views1280
    Read More
  9. M81

    RGB 2x2 5minx3, 2 Mosaic GSO12", EQ1200GTO, ST10XME 2004년 11월 20일 덕초현천문인마을 L 합성전에 컬러 먼저 처리해 보았습니다.
    Date2004.12.05 CategoryGalaxy By이건호 Views1120
    Read More
  10. ngc2403

    어제 저녁 오랜만에 날이 좋았습니다. 멀리갈 수는 없었고, 집에서 ngc2403 의 칼라데이터를 촬영하여 10일9일 올렸던 흑백사진에 칼라정보를 입혀보았습니다. 청학리에서는 어두운 부분의 촬영에 한계가 있는 것 같습니다. 덕초현에서 다시한번 찍어보고 싶...
    Date2004.12.06 CategoryGalaxy By이준화 Views1005
    Read More
  11. NGC7319(STEPHAN)

    Object: NGC7319(STEPHAN) Exposure: L3, RGB1, 900sec Processing: Enhanced in Stellar image 4 Telescope system: 6inch Tak. Refractor, f=1200mm and 2000XM cooled CCD camera Mount: Tak. NJP Guiding: Auto guide Location: KOREA Date: 10/10/2004 KST
    Date2004.12.09 CategoryGalaxy By박병우 Views837
    Read More
  12. ngc2403

    천문인 마을에 다녀왔습니다. 출발할때 부터 구름이 보이기 시작하더니, 천문인 마을에 도착해서 준비를 하는 동안 구름이 하늘을 덮어버리더군요. 조금 자다가 10시30분쯤 일어나보니 하늘이 맑아져서 촬영준비를 마저하고 찍기 시작한때가 11시45분. 7장쯤 ...
    Date2004.12.09 CategoryGalaxy By이준화 Views977
    Read More
  13. M82

    Imaging Date: December 11th, 2004 Imaging Site: Astrovillage,Korea Telescope: C11 F10(2800mm) Mount: NJP Temma2 Guiding: Selfguide Imaging Camera: SBIG ST-2000XM w/CFW-8A (-30) Exposure: L 300sec X 12 (1X1), RGB 300sec X 4 (2X2) Processing ...
    Date2004.12.11 CategoryGalaxy By선숙래 Views1092
    Read More
  14. m31

    날씨가 박무가 깔린상태이고 스키장의 불빛대단합니다. 앞으로 눈이 오고 스키장이 정상가동한다면 문제 많게 생겼습니다. 2004.12.11. brc250,5min x 17매 20d,asa400
    Date2004.12.13 CategoryGalaxy By김시태 Views1026
    Read More
  15. M63(sunflower galaxy)

    12월10일 저녁 천문인 마을에서 찍은 사진입니다. 가이드도 잘 안되었고, 콤마수차 때문에 변두리별이 길쭉합니다. 오리온250+MT160리듀서+LPS-P1 L: 3min x 30 R: 3min x 6, G:3min x 3, B:3min x 4
    Date2004.12.13 CategoryGalaxy By이준화 Views954
    Read More
  16. NGC7331

    12월10일 천문인 마을에서찍은 3개의 대상중 하나 입니다. ngc7331 을 찍기에는 시기적으로 늦었지만, 예전부터 다시 찍고 싶은 대상이라서 초저녁부터 찍기 시작했습니다. 찍다보니 초점조절이 잘못되었음을 알았지만, 고칠만한 여유가 없어서 그대로 찍었습...
    Date2004.12.13 CategoryGalaxy By이준화 Views866
    Read More
  17. M51

    Imaging Date: December 11th, 2004 Imaging Site: Astrovillage,Korea Telescope: C11 F10(2800mm) w/ AP telecompressor (.67) Mount: NJP Temma2 Guiding: Selfguide Imaging Camera: SBIG ST-2000XM w/CFW-8A (-30) Exposure: L 300sec X 12 (1X1), R 300...
    Date2004.12.13 CategoryGalaxy By선숙래 Views1114
    Read More
  18. NGC 3718 & 3729

    큰곰자리. M108과 109사이에 있는 비교적 큰 은하입니다. 모양이 특이하면 꼭한번 찍어보고 싶죠.. 그런데.. 디카로는 어림도 없네요.. 역시 은하는 CCD인가봅니다. SCT 9.25 F 10 300D No filter 4분 7장
    Date2004.12.17 CategoryGalaxy By신병석 Views823
    Read More
  19. NGC 253 (2nd )

    달이 저물기를 기다리면서 남쪽에 있는 NGC 253을 찍어보았습니다. 일전에 F 3.3으로 찍어보았던 것인데요.. 그때보다 좀 나아져야 할텐데.. 비슷하군요.. SCT 9.25 F6.3 300D ISO 3200 4min x 7
    Date2004.12.18 CategoryGalaxy By신병석 Views913
    Read More
  20. M51

    M51도 찍어보았습니다. 9.25 SCT F 10 / 300D / ISO 3200 4min x 5
    Date2004.12.19 CategoryGalaxy By신병석 Views1041
    Read More
  21. m51(2004.12.19)

    BRC250, 20D, ISO800, 5min*10매 합성.
    Date2004.12.20 CategoryGalaxy By김시태 Views821
    Read More
  22. M81_양평

    무척 오랫만에 사진을 올립니다. 학년말이라 보통때 일주일치 일을 하루에 하고 있네요... 날이 좋아서 양평으로 갔는데 습기때문에 이미지 정보가 무척 부족합니다. 보정판 서리를 막을 대책이 없어서 보정판이 뿌옇게 된채로 찍었습니다. 칼라 이미지는 정...
    Date2004.12.20 CategoryGalaxy By김형석 Views1179
    Read More
  23. M51

    지난주, 토요일 말머리와 같이 찍은 M51입니다. 51주변에 가이드 성이 없어서 가이드 시간을 상당히 오래 준것 같은데(5~7초) 가이드가 너무 많이 흘러서, 디테일이 하나도 없어졌습니다. 첨에 대충 처리했을때 너무 실망스러웠는데, 윤홍선님께서 보내주신 ...
    Date2004.12.21 CategoryGalaxy By박현권 Views1048
    Read More
  24. M33

    삼각좌의 M33입니다. 입실론은 역시 뛰어난 망원경입니다. M33은 밝기는 하지만 이미지 처리가 아주 힘이 듭니다. 그만큼 이미지 처리에 따라 사진이 틀려진다는 것인데... . Takahashi e-160 F 3.3 ST-10XE w/ CFW-8a(-30) L(1X1) = 50min RGB(2X2) = 15:15:...
    Date2004.12.21 CategoryGalaxy By황인준 Views1030
    Read More
  25. NGC7331

    GSO 12", EQ1200GTO, ST10XME L 5min x 5, RGB 5min x 3 2004년 12월 7일 덕초현 천문인마을 맥심합성후 포샵에서처리
    Date2004.12.22 CategoryGalaxy By이건호 Views803
    Read More
  26. M106

    NGC2282 를 찍고 난후 찍은 M106 입니다. 생각보다 큰 대상이었습니다. M106 을 찍기전에 초점을 다시 맞추어서 성상이 조금 작아졌습니다. 오리온250(F4.8)+R200콤마코렉터 L:3minx24, R,G,B:3minx6(2x2)
    Date2004.12.22 CategoryGalaxy By이준화 Views1225
    Read More
  27. M65, M66, NGC3628

    사자좌의 3형제입니다. 노출을 많이 주어서 그런지 실 사이즈에서도 디테일이 어느정도 살아 있네요. . 그리고 오른쪽 하단에 소행성이 하나 찍혔습니다. 괭장히 밝은 놈인데.. 건호씨 확인 좀 해 줘 볼래요.. . 사진은 처음으로 실사이즈로 올립니다. 건호씨...
    Date2004.12.22 CategoryGalaxy By황인준 Views1321
    Read More
  28. M108

    아산 관측소에서 찍은 사진입니다. 영 재미 없고 못 생긴 못난이 은하입니다. 근처에 있는 돼지코도 손이 잘 안가는데 지나쳐야 될 것 같아 찍어 보았습니다. 배경이 지저분 한것은 아마도 광해 영향일듯 싶습니다. TSC225 w/ Meade F.6.3 Re. FL 1800 EM200 ...
    Date2004.12.23 CategoryGalaxy By황인준 Views1017
    Read More
  29. NGC2403

    Object: NGC2403 Exposure: L3, RGB1, 1200sec Processing: Enhanced in Stellar image 4 Telescope system: Tak. FS152 Refractor, f=1200mm and 2000XM cooled CCD camera Mount: Tak. NJP Guiding: Auto guide Location: KOREA Date: 12/16/2004 KST . 플...
    Date2004.12.25 CategoryGalaxy By박병우 Views833
    Read More
  30. M82

    M82 큰곰자리 나선은하 이전 사진 http://astrophoto.co.kr/zeroboard/view.php?id=pic_galaxy&no=55 에 Ha 필터를 이용한 (20분3장)사진을 더 촬영한 후 합성하였습니다. 은하 중앙에서 뿜어 나오는 붉은 기운을 잘 나태내 보려는 의도였지만 Ha 3장은 좀 부...
    Date2004.12.25 CategoryGalaxy By이건호 Views888
    Read More
  31. M101

    역시 덕초현에서 찍은 사진입니다. 빠른 망원경의 진가를 알 수 있는 경험이었습니다. 이로서 거의 완성된 12인치 망원경의 성능에 기대를 갖게 됩니다. 12인치 입실론이나 마찬가지이니...^^ Takahashi e-160 F 3.3 ST-10XE w/ CFW-8a(-38) L(1X1) = 50 RGB(...
    Date2004.12.26 CategoryGalaxy By황인준 Views1045
    Read More
  32. M65, M66, NGC3628 _20041211

    예전에 찍은 사진들을 크리스마스 연휴를 맞아 이제서야 이미지 처리 해봅니다. 앞의 황인준님의 냉각 CCD 사진에 비해 세부 묘사 및 색감은 떨어 지지만 그런 데로 잘 나오는 것 같습니다... 별상은 엉망이지만.... 전체 24장을 찍었으나 13장을 잃어 버렸습...
    Date2004.12.26 CategoryGalaxy By조창우 Views1135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 44 Next
/ 44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