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Galaxy
2004.03.13 16:15

M106

(*.99.83.55) 조회 수 1424 추천 수 108 댓글 4


M106
.
구경 310mm(초점 3900mm) 카세그레인으로 찍은 M106입니다. 드디어 대망의 카세그레인 데뷰 그림을 올립니다.
.
이번에는 카세그레인 광축은 나름대로 맞추었다 생각합니다. 황교수님을 아이디어를 근거로 문병화님 체사이어로 다시 보았고, 지상 경치를 봐도 화질이 괜찮았고, 별상도 아이피스 중앙에서는 동심원이 되도록 했습니다. 제가 보기에는 만족할 수준입니다. 황교수님처럼 딱 맞출 능력은 없고, 그냥 성질 죽이고 대충 보이는 수준입니다.
.
허나 이 날 시상이 좋지 않았습니다. 날은 맑았지만 황사 기운이 있어, M106 근처의 북두칠성의 국자 손잡이 안쪽 어두운 별은 맨눈으로 잘 보이지가 않을 정도였습니다. 또 LED 조명 불빛에도 하늘에서 먼지가 내리는 것이 보였습니다. 새벽에 뜨는 하현달도 영 희미해서 달을 보지도 않고 바로 집에 왔습니다.
.
위 그림은 그냥 흑백 이미지만 5분x9장입니다. 지난번 서울시립대학 이준화교수님 연구실에 가서 세계 여러 천문인들의 사진을 보고 펌핑되어서, 앞으로는 하루에 여러 개 안찍고 하나만 얼반 직이삐리기로 했습죠. 그래서 이번에는 카세그레인은 장초점 망원경이지만 5분으로 콱 눌러 부렀습니다. 이 날 밤에는 봄바람도 제법 불었습니다만 이 무겁고 큰 망원경을 NJP가대는 용하게도 안 흔들리고 지루한 5분, 5분을 가이드해 주었습니다. NJP가대가 아주 잘만들어진 물건이라고 다시 한번 생각했습니다. 아시다싶이 제 가대는 옥상에서 거의 방치 상태로 비가오나 눈이오나 두고 있는데 언제나 말썽없이 잘 돌아갑니다.
.
그러나......아~ 슬프다~~ 칼러 이미지 가이드가 되지 않게 되고 말았던 것이니...양산하려다 보니 별 희한한 일이 다 있었습니다. 흑백 이미지에서는 잘 보이는 가이드별이 RGB이미지에서는 없어져 버리는 것이었습니다. 즉 RGB 필터가 씌워졌다하면 별이 없어져 버리는 현상입니다. 이게 웬일인가 싶어서 무려 3시간을 옥상에서 실험을 했습니다. 밝은 별을 잡아서 가이드 실험을 해보니, 밝은 별도 RGB에서는 희미해졌습니다. 이 날 날이 좋지 않아서 그런지는 모르겠습니다.
.
결론 이렇게 해서 또 양산 체제 구축은 실패하고, 흑백이미지만 합성해서 올립니다.
.
촬영 기법은 이제까지 준비한 최첨단 기법과 기기는 다 동원되었습니다. 그런데 사진은 엉망이군요.  
.
1. 광축 맞춤
HTH 방식의 하이패션 앤드 하이 테크놀로지 기법
.
2. 리듀서
켄코가 자랑하는 최첨단 카메라용 클로즈엎 필터 f:250mm 이용.
.
합성초점거리: 약 3046mm(장초점이 얼마나 촬영이 힘든지를 알겠더군요.). 리듀서 필름면 거리를 대략 70mm 띠움. 축소율: 250/(250+70) = 0.78, 3900 X  0.78 = 3046mm
.
3. 접안 어댑터
낙동강이 진성정밀과 공동 개발한 2중 튜브식 삐리리~ 어댑터(겉으론 삐리리~하게 보이지만 가만히 보면 첨단 기술이 숨어 있음). 허나 이 날 예상 치수대로 나와서 초점길이는 안맞는 경우가 없었고, 전 아이피스의 안시 관망시나 천정 미러 끼움시, 리듀스 끼움시 전 영역에서 가뿐하게 커브가 되었습니다.
.
4. 초점 맞추개
JMI의 하이 퍼포먼스 마찰 미끄럼식 전동 초점맞추개

  • 정민경 2004.03.14 16:48 (*.204.60.190)
    좋습니다.^^
    그정도 장초점에 하나도 흐르지 않은 사진을 건지셨네요. 대단한 실력입니다. 부럽습니다.
  • 최승용 2004.03.15 09:51 (*.187.167.129)
    어제 잠시 잠깐 전화 통화한 토대로 이 이미지를 보니 역시 광축도 약간 덜 수정된 것 같습니다.
    그리고 그정도에서 광축 수정을 했다면 앞으로 더 높은 배율에서 다시 수정을 하셔야 합니다.
    참고로 저는 최소한 1,000배에서 광축 수정을 합니다.
    그리고 그것이 그리 어렵지 않은 일이더군요.
    5mm에 2배 바로우를 쓰면 간다히 1,200배가 됩니다.^^
    이미지는 좋습니다.
    전 항상 딥스카이가 부럽습니다.^^
  • 이준화 2004.03.15 10:13 (*.249.97.68)
    사진 좋습니다. 초점은 조금더 잘 맞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어쨋든 장초점 첫사진 축하드립니다.
  • 황인준 2004.03.16 11:35 (*.85.131.20)
    드디어 장촛점 사진을 찍기 시작하셨군요.
    106은 시직경이 커서 넘쳐 보이네요..
    광축도 광축이지만 한쪽이 번져 보이는 것은 미러 스트레스도 문제 일 수 있습니다.

  1. NGC 891

    역시 덕초현에서 찍은 사진입니다.. 오토가이더가 기다려 지는 사진입니다. - FS152 +Em200Tm2Jr. - SBIG ST-2000XM + CFW8 - L=90초 X 30장(1X1) R=90초X 10장, G=90초X 10장, B=90초X 10장 (2X2) 노터치 가이드 - CCDSoft, Stella Image4, Photoshop - 천문...
    Date2003.10.21 CategoryGalaxy By황인준 Views1447
    Read More
  2. NGC 55

    http://astrophoto.co.kr/zeroboard/view.php?id=pic_galaxy&no=13 데이터를 빼먹었군요. 남쪽40도 부근에 있는 큰 시직경의 은하입니다. 조각실자리 Magnitude: 8.3 RA: 00h 15m 20.9s Dec: -39°12'02" Size:32.3' x 5.6' . AP130EDF, ST10XME, EQ1200 L 5MI...
    Date2003.10.28 CategoryGalaxy By이건호 Views1445
    Read More
  3. 060923-M31

    촬영일: 2006년 09월 23일 촬영지: 천문인마을 망원경: FSQ-106 적도의: EQ 1200 GTO 카메라:케논 20D 노출: 4min x 10(ISO 800) 천문인 마을 스타파티때 참가하여 모처럼 보고싶던 분들도 만나고 하늘도 좋아서 즐겁고 그저 행복하였습니다. FSQ106을 300미...
    Date2006.09.25 CategoryGalaxy By박정용 Views1445
    Read More
  4. m64 (NGC 4826) in Coma Berenices (Black Eye)

    머리털자리에 있는 8분X4분 크기의 나선은하로 생긴 모양대로 검은눈 은하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습니다. 2007년 2월16일에 이어서 두 번째 찍어보았는데 당시 비축가이드 때문에 광축을 손보고 있는 상태여서 별상이 좀 찌그러졌습니다. [촬영정보] 망원경: A...
    Date2010.01.15 CategoryGalaxy By신범영 Views1445
    Read More
  5. M81 & 82

    모처럼 은하를 찍어 처리해보니 색감도 그렇고 잘안됩니다. R.O로 찍을때는 카메라를 돌려서 구도를 잡지 못해, 이미지처리시 자르고 돌리고 .... 인공위성이 가로 세로로 완전 자르고 갑니다.^^ 별마실관측소 R.O EQ1200 GTO + KASTRON 320DS F4.5 (W/3" Com...
    Date2010.11.13 CategoryGalaxy By김삼진 Views1444
    Read More
  6. 070112-M106

    촬영일: 2007년 01월 13일, 새벽 촬영지: 대부도 대남초교 망원경: SMC 12"(300mm Newtonian, f4) 적도의: EQ 1200 GTO 카메라:SBIG 2000XM(-30도) RGB : 각30m(2x2) L : 120m(1x1) 역시 촛점 제대로 잡기를 게을리 했습니다. 잘 기억 나지는 않지만, 어쩌다 ...
    Date2007.01.27 CategoryGalaxy By박정용 Views1442
    Read More
  7. 안드로메다은하

    과학관 오픈하고 나서 그렇게 좋아하는 별을 촬영할새도 없이 너무 바쁘군요. 너무 오래동안 안 나타나다보니 언제가부터 손님이된 둣한 느낌입니다. 가끔은 내가 올릴 권한이 있었나 하는 생각도 드는군요. 그래도 또 염치 불구하고 올려봅니다. 어제 밤에 ...
    Date2004.09.22 CategoryGalaxy By김영혜 Views1440
    Read More
  8. M31

    안드로메다 풍년인 듯합니다. 스타파티 때 촬영한 것입니다. 어떤분이 가대 건드리셨는지 17장부터39장까지는 버리고....앞 16장만 합성했습니다.^^;; 설상가상으로 초점까지 다 나갔습니다. 분명 제대로 맞춘다고 낑낑대며 맞추었는데... 즐거운 한 주 보내...
    Date2007.10.15 CategoryGalaxy By임재식 Views1440
    Read More
  9. Leo Triplet

    2007.02.23 장소: 양평 천문수련원 카메라:350D(LPF제거 후 UV/IR블로킹 필터) 망원경:PENTAX SDUF II(fl=400mm) 노출:600s*1장(ISO800) 필터:LPS-P2 가대:다카하시EM200 Temma2 오토가이드:meade DSI 날이 갑자기 좋아 박대영선배님과 양평에서 만났습니다. ...
    Date2007.02.25 CategoryGalaxy By전영준 Views1439
    Read More
  10. M106 주변

    촬영지:수피령20130331 마운트:Takahashi em200Temma2 경통:Orion uk vx8 카메라:QSI583WS 노출:L100 R20 G20 B20 가이드:Borg50ed + dsi 모처럼  맑은 하늘을 보여줘서 지인과  즐거운 시간 보내다 왔습니다  처리를 차분히 해야하는데 오래 만질 시간이 없네...
    Date2014.04.04 CategoryGalaxy By이광호 Views1439
    Read More
  11. M106

    망원경 : PENTAX 125SDP 800mm F6.4 적도의 : EM-200B 카메라 : SBIG ST-10XE 가이드 : Self Guide in main CCD (-20'c) 촬영정보 : 900*5 / RGB 300*3 / Dark 처리정보: MaXimDL(Digital Developement), PhotoShop CS3 촬영장소 : 한우산 활공장 촬영일자 : ...
    Date2011.01.11 CategoryGalaxy By김정식 Views1438
    Read More
  12. Black eye ~~ M64

    21~22일 워크샵을 마치고 돌아와 전날 찍은 것 중 하나를 처리해 보았습니다.. 아침(9:30)에 나오느라 몇 분에게만 인사를 드리고 왔습니다. 처음 참여했지만 얻어가는 것이 많은 자리였고 오래간만에 뵌 분들과 이름은 익숙하지만 만남이 처음인 분들과의 대...
    Date2009.02.23 CategoryGalaxy By조용현 Views1437
    Read More
  13. M61(NGC 4303) in Virgo

    처녀자리에 있는 시직경 6분의 나선은하입니다. 3월1일 새벽 남중 후 촬영했는데 시간이 부족해서 은하의 디테일을 살리기가 어렵네요. 1시방향과 10시방향의 작은 나선은하는 각각 시직경 1.5분 정도의 나선은하인 NGC4202, NGC4301입니다. [촬영정보] 망원...
    Date2010.01.13 CategoryGalaxy By신범영 Views1437
    Read More
  14. IC2574

    M81,82근처에있는 불규칙 은하입니다. 너무 어둡고 별특징이없어서 망원경을 들이대지않는 대상인것 같습니다. 이상하게 비넷팅이 많이 발생해서 처리가 어렵고 바탕색 마져도 균일 하지못해 많이 잘라버리고 중심부만 살려 처리해봅니다. 저도 기록차원입니...
    Date2010.12.05 CategoryGalaxy By김삼진 Views1436
    Read More
  15. M82

    Imaging Date: April 16th, 2010 Imaging Site: Astrovillage,Korea Telescope: ADT Starship RCA400C Mount: Paramount ME Guiding: Selfguide Imaging Camera: SBIG STL11000M/C2 ( -25C ) Imaging Software: MaxIm4 Exposure: L 600sec X 12 (1X1), R 600s...
    Date2010.04.19 CategoryGalaxy By선숙래 Views1435
    Read More
  16. m51

    지난 주말 덕초현에 직접 가서 찍은 사진입니다. 투명도와 시상이 초반엔 좋았습니다. 항상찍고나면 노출 부족을 느낍니다. 이번에 가서 관측소 공사를 마무리하여 이제부터는 원격으로 슬라이딩루프까지 개폐하도록 완료했습니다. 완전무인화가 대략 마무리 ...
    Date2005.06.08 CategoryGalaxy By이건호 Views1434
    Read More
  17. M81 82 입니다

    ||1간밤에 날이 좋았습니다 춥지도 않고.. 별상이야 아직 점점 고쳐가느 중이지만 가이드쪽 손을 조금 보았구요... 8인치의 어떤 한계를 느낄수있는 대상이지만 그래도 몇안되는 찍을만한 은하이기에 ㅎㅎ R200 EM200 EOS350D ISO 1600 7min x 10 2008.2.14(...
    Date2008.02.14 CategoryGalaxy By최훈옥 Views1434
    Read More
  18. M106 / Test Shot

    ST-10XE test shot의 일환으로 M106을 찍어보려한 시도인데, 지난 토요일~일요일 밤 기후는 상당히 열악해서 밤 12시가 다되어 구름이 걷히고 세팅을 시작했습니다만, 구름이 오락 가락한 사진들을 빼고 상태가 그리 좋지도 못한 LRGB 3세트로 처리하는라 고...
    Date2009.03.30 CategoryGalaxy By공준호 Views1434
    Read More
  19. M51 (XQ12+EQ6)

    장소 : 덕초현 중앙천문대 일자 : 2007.01.12 장비 : XQ12/파라코어 + EQ6pro + ST10XME (-40c) 합성 : LRGB - 300'*9(L1x1), 300'*3(R2x2), 300'*2(G2x2), 300'*3(B2x2) M65 촬영 끝내고... 달빛도 너무 밝고... 해서 안시를 하려 했습니다만 CCD카메라를 본...
    Date2007.01.15 CategoryGalaxy By박진홍 Views1433
    Read More
  20. M33

    망원경 : PENTAX 125SDP 800mm F6.4 적도의 : EM-200 Temma2 카메라 : SBIG ST-10XE 가이드 : Self Guide in main CCD (영하 0'c) 영정보 : L600*6 (1:1) RGB300*3 (2:2) / Dark처리/no flat 처리정보:MaXimDL(Digital Developement), PhotoShop CS3 촬영장소...
    Date2010.08.20 CategoryGalaxy By김정식 Views1433
    Read More
  21. M101

    M101을 여러번 찍었습니다 만 이번이 그중 제일 마음에 듭니다.^^ 요즈음 하늘은 좋은데 바람이 심술을 많이 부려서 가이드가 어렵습니다. 3월7일,8일 이틀에 걸쳐서 찍어서 올려봅니다.^^ 2011-03-7일, 8일 별마실 R.O EQ1200 GTO + KASTRON 320DS F4.5 (W/3...
    Date2011.03.11 CategoryGalaxy By김삼진 Views1432
    Read More
  22. M51

    2005년 3월 7일, 충북 제천, C 9.25EX (F/6.3), FS-78 & ST-4 오랫만에 놀고 있던 카세그레인을 꺼내 보았습니다. 사진찍는 중에 미러가 처질까봐 미러락 걸고 다카접안부를 끼웠더니 리듀서를 끼운 상태에서는 초점이 안나오더군요. 하는 수 없이 다카 접안...
    Date2005.03.09 CategoryGalaxy By김일순 Views1431
    Read More
  23. 안드로메다 은하 (M31)

    수요일 오전에 일 볼 것이 있어서 화요일 저녁 늦게 덕초현에서 이 준화교수님과 만나기로 했습니다. 일기예보나 날씨는 별로였지만 최대한 간단히 장비를 챙겨 놓은 상태에서 8시 반경 아산에서 출발을 했습니다. 물론 월령도 좋지 않은 상태였지요.. 하지만...
    Date2004.07.30 CategoryGalaxy By황인준 Views1430
    Read More
  24. ngc4631

    * Telescope : Pentax 125SDP (fl=800mm / f6.4) * Mount : Takahashi EM-200 Temma2 Jr. * Camera : SBIG ST-2000XM / CFW9 + Astrodon Filter set * Exposure : L = 600s * 18 (1*1), RGB = each 300s * 4 (2*2) * Date : 2011. 4. 9 ~ * Location : 경남 ...
    Date2011.04.20 CategoryGalaxy By전승표 Views1430
    Read More
  25. M51

    Object: M51 윗사진 Exposure: L: 5분 x 9, RGB: 5분 x 1 each 총 노출시간: 60분 아래 사진 Exposure: L: 30분 x 3, RGB: 10분 x 2 each 총노출시간: 150분 어제 또 문병화님의 차 도움을 받아서 또 천문인마을에 갔습니다. . 전날과 마찬가지로 날은 좋지 ...
    Date2004.04.25 CategoryGalaxy By박병우 Views1429
    Read More
  26. 070223_m108

    지난 2007년 2월 23일 대부도에서 촬영한 m108 입니다. 동북쪽 하늘에 있어서 광해영향과 날씨 때문에 L노출을 조금밖에 주지 못했었습니다. 그냥 테스트 샷이라 생각 합니다. 색감 연습이며 디테일을 살려 보려고 했는데 그것이 쉽지 않군요. 오히려 색감은 ...
    Date2007.03.09 CategoryGalaxy By최승용 Views1429
    Read More
  27. 110101_m31

    새해에 복 많이 받으시기 바랍니다.^^ 2011년 1월 1일 밤에 호빔에서 촬영을 시도한 안드로메다 대성운의 일부분 입니다. 신년 새해 첫날 오후를 호빔으로 출발해서 천문대에 쌓여 있는 눈을 재식씨와 함께 치우고.....휴~~~ 온 천지가 하얀 눈으로 덮여 있어...
    Date2011.01.05 CategoryGalaxy By최승용 Views1429
    Read More
  28. M66

    이 역시 예전 사진입니다. 계조가 풍부한 것은 확실한데 이전 12인치 사진이 워낙 시상이 좋을때여서 그런지 별 차이가 없군요. 15인치의 미러셀을 약간 변경했는데 어떨지 모르겠습니다. ADT Kastron 380DS w/ R200s용 코마커렉터 AP EQ1200 GTO ST-10XE w/ ...
    Date2006.08.07 CategoryGalaxy By황인준 Views1428
    Read More
  29. M95+96+105

    [촬영정보] - Pentax 125SDP (+reduser F4.9) - NJP Temma pc - STL11000M/C2 (+ Astrodon Tru-Balance H-a, LRGB Filters) - STV autoguider - 2007-2-15(목요일) / 강원도 수피령 - L:R:G:B = 60(min):15:15:15 (-40도) L 10min*6(1*1), RGB 각각 5min*3장...
    Date2007.03.10 CategoryGalaxy By고창균 Views1428
    Read More
  30. Leo Trio M65, 66, NGC3628

    어제 홀로 출사하면서 가장 심혈을 기울였으나 이도 컬러쪽 다크 프레임의 문제로 컬러 영상은 나중에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TSC시스템으로 하나 하나 도전 해 볼까 합니다.. 실사이즈에서 중앙 부분 크롭 했습니다. fs60c em200tm2jr. ST2000XM (-20) L : 7...
    Date2003.12.05 CategoryGalaxy By황인준 Views1426
    Read More
  31. M31

    2004년 6월 12일, 경기도 중원산 중원계곡 다카하시 FS102 (D=102mm, f=820mm, F:8) 다카하시 EM200, SBIG ST-2000 XCM, 600 sec x 3 1/2 resize http://astrogallery.pe.kr
    Date2004.06.13 CategoryGalaxy By김영렬 Views1425
    Read More
  32. M106

    M106 . 구경 310mm(초점 3900mm) 카세그레인으로 찍은 M106입니다. 드디어 대망의 카세그레인 데뷰 그림을 올립니다. . 이번에는 카세그레인 광축은 나름대로 맞추었다 생각합니다. 황교수님을 아이디어를 근거로 문병화님 체사이어로 다시 보았고, 지상 경치...
    Date2004.03.13 CategoryGalaxy By박병우 Views1424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44 Next
/ 44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