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Galaxy
2004.03.13 16:15

M106

(*.99.83.55) 조회 수 1424 추천 수 108 댓글 4


M106
.
구경 310mm(초점 3900mm) 카세그레인으로 찍은 M106입니다. 드디어 대망의 카세그레인 데뷰 그림을 올립니다.
.
이번에는 카세그레인 광축은 나름대로 맞추었다 생각합니다. 황교수님을 아이디어를 근거로 문병화님 체사이어로 다시 보았고, 지상 경치를 봐도 화질이 괜찮았고, 별상도 아이피스 중앙에서는 동심원이 되도록 했습니다. 제가 보기에는 만족할 수준입니다. 황교수님처럼 딱 맞출 능력은 없고, 그냥 성질 죽이고 대충 보이는 수준입니다.
.
허나 이 날 시상이 좋지 않았습니다. 날은 맑았지만 황사 기운이 있어, M106 근처의 북두칠성의 국자 손잡이 안쪽 어두운 별은 맨눈으로 잘 보이지가 않을 정도였습니다. 또 LED 조명 불빛에도 하늘에서 먼지가 내리는 것이 보였습니다. 새벽에 뜨는 하현달도 영 희미해서 달을 보지도 않고 바로 집에 왔습니다.
.
위 그림은 그냥 흑백 이미지만 5분x9장입니다. 지난번 서울시립대학 이준화교수님 연구실에 가서 세계 여러 천문인들의 사진을 보고 펌핑되어서, 앞으로는 하루에 여러 개 안찍고 하나만 얼반 직이삐리기로 했습죠. 그래서 이번에는 카세그레인은 장초점 망원경이지만 5분으로 콱 눌러 부렀습니다. 이 날 밤에는 봄바람도 제법 불었습니다만 이 무겁고 큰 망원경을 NJP가대는 용하게도 안 흔들리고 지루한 5분, 5분을 가이드해 주었습니다. NJP가대가 아주 잘만들어진 물건이라고 다시 한번 생각했습니다. 아시다싶이 제 가대는 옥상에서 거의 방치 상태로 비가오나 눈이오나 두고 있는데 언제나 말썽없이 잘 돌아갑니다.
.
그러나......아~ 슬프다~~ 칼러 이미지 가이드가 되지 않게 되고 말았던 것이니...양산하려다 보니 별 희한한 일이 다 있었습니다. 흑백 이미지에서는 잘 보이는 가이드별이 RGB이미지에서는 없어져 버리는 것이었습니다. 즉 RGB 필터가 씌워졌다하면 별이 없어져 버리는 현상입니다. 이게 웬일인가 싶어서 무려 3시간을 옥상에서 실험을 했습니다. 밝은 별을 잡아서 가이드 실험을 해보니, 밝은 별도 RGB에서는 희미해졌습니다. 이 날 날이 좋지 않아서 그런지는 모르겠습니다.
.
결론 이렇게 해서 또 양산 체제 구축은 실패하고, 흑백이미지만 합성해서 올립니다.
.
촬영 기법은 이제까지 준비한 최첨단 기법과 기기는 다 동원되었습니다. 그런데 사진은 엉망이군요.  
.
1. 광축 맞춤
HTH 방식의 하이패션 앤드 하이 테크놀로지 기법
.
2. 리듀서
켄코가 자랑하는 최첨단 카메라용 클로즈엎 필터 f:250mm 이용.
.
합성초점거리: 약 3046mm(장초점이 얼마나 촬영이 힘든지를 알겠더군요.). 리듀서 필름면 거리를 대략 70mm 띠움. 축소율: 250/(250+70) = 0.78, 3900 X  0.78 = 3046mm
.
3. 접안 어댑터
낙동강이 진성정밀과 공동 개발한 2중 튜브식 삐리리~ 어댑터(겉으론 삐리리~하게 보이지만 가만히 보면 첨단 기술이 숨어 있음). 허나 이 날 예상 치수대로 나와서 초점길이는 안맞는 경우가 없었고, 전 아이피스의 안시 관망시나 천정 미러 끼움시, 리듀스 끼움시 전 영역에서 가뿐하게 커브가 되었습니다.
.
4. 초점 맞추개
JMI의 하이 퍼포먼스 마찰 미끄럼식 전동 초점맞추개

  • 정민경 2004.03.14 16:48 (*.204.60.190)
    좋습니다.^^
    그정도 장초점에 하나도 흐르지 않은 사진을 건지셨네요. 대단한 실력입니다. 부럽습니다.
  • 최승용 2004.03.15 09:51 (*.187.167.129)
    어제 잠시 잠깐 전화 통화한 토대로 이 이미지를 보니 역시 광축도 약간 덜 수정된 것 같습니다.
    그리고 그정도에서 광축 수정을 했다면 앞으로 더 높은 배율에서 다시 수정을 하셔야 합니다.
    참고로 저는 최소한 1,000배에서 광축 수정을 합니다.
    그리고 그것이 그리 어렵지 않은 일이더군요.
    5mm에 2배 바로우를 쓰면 간다히 1,200배가 됩니다.^^
    이미지는 좋습니다.
    전 항상 딥스카이가 부럽습니다.^^
  • 이준화 2004.03.15 10:13 (*.249.97.68)
    사진 좋습니다. 초점은 조금더 잘 맞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어쨋든 장초점 첫사진 축하드립니다.
  • 황인준 2004.03.16 11:35 (*.85.131.20)
    드디어 장촛점 사진을 찍기 시작하셨군요.
    106은 시직경이 커서 넘쳐 보이네요..
    광축도 광축이지만 한쪽이 번져 보이는 것은 미러 스트레스도 문제 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이름 아이디 글쓴이
182 Galaxy SCT로 M51 촬영 해봅니다.. 4 file 2016.12.31 116 김도익 kimdoik 김도익
181 Galaxy SLR의 m104 1 file 2005.01.11 748 김시태 star7197 김시태
180 Galaxy Small Magellanic Cloud 2 file 2016.10.04 66 황인준 sanfran 황인준
179 Galaxy sony A5000 으로 촬영한 M81+M82 22 file 2015.03.27 877 이준화 joonhwa 이준화
178 Galaxy sony A5000 으로 촬영한 M101 19 file 2015.04.01 669 이준화 joonhwa 이준화
177 Galaxy Stephan's Quintet 13 file 2007.10.19 1729 황인준 sanfran 황인준
176 Galaxy Stephan's Quintet & NGC7331 10 file 2010.08.10 1674 황인준 sanfran 황인준
175 Galaxy Super Nova in M82 6 file 2014.02.03 1014 황인준 sanfran 황인준
174 Galaxy SuperNova in M95 Galaxy! file 2012.03.22 971 공준호 lightclad 공준호
173 Galaxy The Antennae, 6 file 2010.03.20 1856 신병석 starzan 신병석
172 Galaxy The Markarian's chain 3 file 2006.04.19 1171 신범영 shintong 신범영
171 Galaxy Two M51 3 file 2016.10.28 233 박성준 einpark 박성준
170 Galaxy Virgo Cluster Galaxies 1 file 2014.05.07 714 박성준 einpark 박성준
169 Galaxy Whale and Hockey Stick Galaxies 4 file 2019.01.23 230 이준화 joonhwa 이준화
168 Galaxy XQ-10 (300D) - M51... 7 file 2005.01.11 1178 박진홍 aqr4 박진홍
167 Galaxy XQ10-300D : M51 - 18분 노출... 2 file 2005.01.12 1177 박진홍 aqr4 박진홍
166 Galaxy [350D] M101 때늦은... 12 file 2006.02.26 933 유종선 swent 유종선
165 Galaxy [350D] M51 12 file 2006.03.05 1028 유종선 swent 유종선
164 Galaxy [350D] Markarian Chain 10 file 2006.03.05 757 유종선 swent 유종선
163 Galaxy [Astro350] 안드로메다 7 file 2006.10.28 1350 박현권 alexken 박현권
162 Galaxy [re] Hickson 44-color 3 file 2006.01.27 871 이건호 skymate 이건호
161 Galaxy [re] M31 몸집 부풀리기 6 file 2004.08.02 1256 김상욱 quark 김상욱
160 Galaxy [re] M31_컬러이미지합성(화악산+덕초현) 3 file 2005.09.14 1016 신범영 shintong 신범영
159 Galaxy [re] M51 2 file 2004.04.24 1287 박현권 alexken 박현권
158 Galaxy [re] M51 - 흑백 file 2005.01.15 926 황인준 sanfran 황인준
157 Galaxy [re] M51.....핫픽셀 제거 이미지 3 file 2003.04.22 2116 이윤 liyun 이윤
156 Galaxy [re] m81 13장합성 색상조정 5 file 2003.11.28 1268 이준화 joonhwa 이준화
155 Galaxy [re] Reo Triplet_060224_홍천 탄상현_1:1원본 4 file 2006.03.03 765 신범영 shintong 신범영
154 Galaxy [re] 질문 6 file 2006.02.28 859 박영식 astrohunter 박영식
153 Galaxy [ST-2000XM] hickson 44 4 file 2005.03.30 865 김승남 byulter 김승남
152 Galaxy [ST-2000XM] Leo 1 8 file 2005.03.04 1282 김승남 byulter 김승남
151 Galaxy [ST-2000XM] Leo Trio 3 file 2005.04.01 1744 김승남 byulter 김승남
Board Pagination Prev 1 ...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Next
/ 44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