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Nebula
2015.12.26 01:16

오리온 + 런닝맨~

(*.32.115.153) 조회 수 284 추천 수 0 댓글 4
별사진 찍는 사람으로서 매년 한번은 찍어줘야지 하고 생각하는 대상 입니다.
크고 화려한 색상과 밝은 모습은 대충 찍어도 멋지게 잡을 수 있는 녀석이긴 합니다만....

더 잘찍어보고자 하면 정말 어려운 대상 입니다.   매번 찍고 이미지 처리를 해봐도 모자름을 느끼게 하는 대상.
   - 3색 성운의 조화로운 처리 (푸른 성운기와 붉은 성운,  그리고 배경 성운까지)
   - 인공위성의 공습!
   - 명부와 암부의 계조차이 극복
   - 복잡한 성운 구조의 표현   

뭐....올해도 찍어봤습니다만,  10인치 반사망원경 스파이더 개조건의 문제로 인해....매우 아쉽네요.  
예전에 최승용님이 스피아더 텐션 조절 가능하게 하라고 조언주셨는데 1.5T 스뎅은 문제 없건만 역시 0.5T 카본은 좀 처집니다.
관련 개조를 추가로 해야죠.

명부/암부 계조차이를 극복하기 위해 HDR Composite 프로세스를 적용했는데,  (2분, 10초)
트라페지움을 살리기 위해서는 10초도 과다노출이라 다음에 할때는 2초 짜리 샷도 넣어줄까 생각중 입니다.

근데 원샷으로 찍으니 너무 편하네요....아 이거 귀차니즘에 빠지면 안되는데...

# Date : 2015/12/19
# Location : 강원도 홍천군
# Equipment
   - Mount : Mesu-200
   - Telescope : 10inch Astrograph F3.6  (Zambuto main mirror with ADT 3inch coma corrector)
   - Camera :  Fuji X-E1 mirrorless
# Processing : Pixinsight(Stack, 노이즈처리, HDR Composite 등)
# Exposure  : 120 Sec X 32,  10 Sec X 32  (ISO1600)   

m42_gwkim_20151219_hdr_s.jpg





  • 이기원 2015.12.26 02:20 (*.145.181.3)
    와 시원해보이는 오리온대성운이네요~ 멋집니다.
    궁금한게 있는데요.. 노이즈처리는 ACDNR로 하신거에요??
  • 김광욱 2015.12.26 17:24 (*.32.115.153)
    http://www.nightsky.kr/xe/4856 참조하세요. ACDNR 이 상당히 강력해서....당분간은 주력 노이즈 저감툴로....^^;;
  • 신병석 2015.12.28 15:23 (*.208.80.112)
    칼라 CCD로 찍으셨나 했는데.. Fuji X-E1 이군요..
    정말 노이즈가 않보이네요.
  • 이건호 2015.12.30 08:15 (*.101.107.100)
    원샷컬러에 빠지면 ... 헤어나오기 힘들어요.. ^^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이름 아이디 글쓴이
497 Nebula M38 / IC417 / NGC1907 Region 9 file 2005.10.18 1302 황인준 sanfran 황인준
496 Nebula NGC2237 Rosette Nebula 16 file 2005.10.17 1503 황인준 sanfran 황인준
495 Nebula M8 & M20 (2005년 5월) 7 file 2005.10.17 777 박성준 einpark 박성준
494 Nebula IC1805 and IC1795 11 file 2005.10.15 1476 황인준 sanfran 황인준
493 Nebula 오리온자리의 버나드루프 4 file 2005.10.15 1030 박대영 youngst 박대영
492 Nebula 허전한 장미 8 file 2005.10.14 1115 전영준 nostra89 전영준
491 Nebula 051008_ngc281 13 file 2005.10.14 1103 최승용 starbox60 최승용
490 Nebula NGC 7000 North America Nebula 12 file 2005.10.13 1275 황인준 sanfran 황인준
489 Nebula ngc281 12 file 2005.10.13 938 전영준 nostra89 전영준
488 Nebula 하트성운 5 file 2005.10.13 1075 전영준 nostra89 전영준
487 Nebula m42 12 file 2005.10.13 1060 박정용 dipblue 박정용
486 Nebula IC1396 2118 7 file 2005.10.12 884 신병석 starzan 신병석
485 Nebula IC 405 410 7 file 2005.10.12 852 신병석 starzan 신병석
484 Nebula [st-2000xm] 말머리 성운 12 file 2005.10.12 1082 김승남 byulter 김승남
483 Nebula NGC2237 장미 한송이 8 file 2005.10.11 983 신병석 starzan 신병석
482 Nebula [st-2000xm] 오리온 대성운 2nd edition. 3 file 2005.10.11 885 김승남 byulter 김승남
481 Nebula 오리온대성운 7 file 2005.10.11 1041 전영준 nostra89 전영준
480 Nebula [st-2000xm] 오리온 대성운 8 file 2005.10.11 926 김승남 byulter 김승남
479 Nebula IC 1805 1795 1848 ( revision ) 5 file 2005.10.11 977 신병석 starzan 신병석
478 Nebula 오리온불새 14 file 2005.10.09 1227 박성준 einpark 박성준
477 Nebula Good bye North America 2 file 2005.10.08 884 신범영 shintong 신범영
476 Nebula IC1805 2 file 2005.10.07 1023 신병석 starzan 신병석
475 Nebula NGC7293 helix N 4 file 2005.10.06 1117 신병석 starzan 신병석
474 Nebula 오라이언 6 file 2005.10.06 1190 신병석 starzan 신병석
473 Nebula [st-2000xm] 오리온 대성운 3rd ed. 11 file 2005.10.06 954 김승남 byulter 김승남
472 Nebula IC5146 코쿤성운 3 file 2005.09.30 1115 이건호 skymate 이건호
471 Nebula veil성운(ngc6960+ngc6992) 2 file 2005.09.30 950 신범영 shintong 신범영
470 Nebula NGC1499 Califonia 5 file 2005.09.27 1035 조창우 nunki92 조창우
469 Nebula 오래전 말머리 14 file 2005.09.25 1474 박현권 alexken 박현권
468 Nebula NGC7635 Bubble Nebula 8 file 2005.09.24 1399 황인준 sanfran 황인준
467 Nebula NGC6992 12 file 2005.09.20 1370 황인준 sanfran 황인준
466 Nebula NGC 1499 California Nebula 9 file 2005.09.17 1498 황인준 sanfran 황인준
Board Pagination Prev 1 ...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 84 Next
/ 84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