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Nebula
2012.08.13 10:00

120805_m27

(*.117.76.123) 조회 수 1395 추천 수 62 댓글 9




120805_m27

올해 휴가는 날씨가 아주 좋았씁니다.
대천, 여수 엑스포, 다시 대천의 일정으로 가족과 함께 했지요.
토요일 밤 10시에 집에 도착해서 샤워만 하고 바로 아산으로 달립니다.
하늘이 좋았기 때문이지요.
정말 투명한 하늘에 밝은 달이 있기는 했지만 지금이 기회가 될 것 같았씁니다.
전 역시나 테스트였기에...
광축도 잡아야 하고....
투명도는 아주 좋았지만 시상이 아주 엉망이었습니다.
안시에서 초점이 잡히질 않을 정도로....
시상의 변화도 너무 심해서 초점 조절에 실패....
광축은 아직도 역시나 조금 문제....
그런데....
모니터를 바꾸기로 했습니다.
원래는 1600x1200을 지원하는 모니터인데 갑자기 해상도가 풀려서 이상한 사이즈로 잡히는 바람에
모니터에 보이는 별상이 중심에서 주변부로 코마를 형성 합니다.
지금까지 광축이라고 생각했던 것이 모니터 잘못이었다니......
정말 이럴줄은 몰랐습니다.
결국 예전에 쓰던 모니터로 바꾸었더니 그나마 그동안 고생했던 것이 한방에 해결 되네요.
물론 세밀한 광축 조정은 조금더 필요했지만 이런 정도면 저에게는 눈감아 줄 수 있는 정도는 됩니다.
어차피 완벽한 광축을 잡을 수 없는 경통의 구조적인 문제가 있으니까요.
4일 밤은 시상이 나뻤던 관계로 이미지가 없고 5일 밤에 찍은 사진으로 이미지 처리를 해 보았습니다.
Ha 이미지를 2장을 넣었더니 배경이 많이 안좋아 지네요.
또한 RGB 이미지가 부족한 지 색감이 제대로 살지 못하네요.
물론 이미지 처리 실력도 문제겠지요...
또 날이 좋아지면 다른 대상도 한번 겨누어 봐야겠습니다.
건강들 조심하시고 (올 여름은 너무 더웠다는....)
그럼...

추가:
리듀서로는 ADT에서 개발한 HD58RC를 사용 했습니다.
이 리듀서는 촬상면과 리듀서 간격을 조절하면 F:6(0.75)까지 줄일 수 있는 구조 입니다.
그러나 이것은 8300CCD까지만 그렇고 11K용은 F:6.4(0.8)까지 입니다.
별상은 보시는데로 구석까지 좋은 이미지를 보여 줍니다.
광축만 조금 더 수정하면 완벽한 별상을 보여 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이것 저것 테스트 할 것이 많은데 광축이 항상 발목을 잡았습니다만 현재까지의 결과로는
HD58RC를 대신할 리듀서를 찾을 수는 없을 것 같습니다.(가격대비)
그동안 많은 고생을 하기는 했지만 현재는 아주 만족스런 결과를 보여 줍니다.
경통도 철경통에서 카본 경통으로 교환하면서 하루 밤 초점 변화도 거의 없네요.
또한 경통 자체에서 생기는 플레어 현상이 있습니다. RC 사용하시는 분들 참고 하세요.
베이플 내부에서 생기는 현상이 더군요. 저는 분해해서 내부에 무광 도색을 다시 했습니다.
그리고 베이플이 조금 짧다는 생각이 들어서 조금 길게 하는 어뎁터도 만들었지만 이번에는 사용하지 않았습니다.
플랫을 잘 찍으면 이런 모든 것이 해결 됩니다.
망원경 자체로써는 정말 가격대비 최고 입니다.
아무튼 다음번 관측이 또 기대 됩니다.
그럼....


.............................................................................................................................................

촬영시간 : 2012년 8월 5일
촬영장소 : 충남 아산시 송악면 마곡리 호빔천문대
망원경 :  GSO 10RCF(카본경통)
적도의 : Skymax V + Anygoto
카메라 : QHY9 + Korecton HD58RC
가이드 : OAG + QHY5
L     : 600s x 8ea (1x1) (-15C)
Ha   : 900s x 2ea (1x1)
R     : 600s x 10ea (1x1)
RGB : 300s x 4ea(2x2)

  • 박영식 2012.08.13 10:50 (*.253.237.162)
    빨간 사과가 됐습니다. ^^
    구석구석 별상 좋아요...
    광축에 만족하셨다니 다행입니다. ^^
  • 이광호 2012.08.13 14:25 (*.144.255.38)
    광축 촛점 좋습니다
    완벽한 사진이네요
  • 황인준 2012.08.13 16:56 (*.27.253.206)
    알흠다운... 말이 필요없는... 대한민국 최고의 열정가... 아마 세계 최고 일지도..^^
  • 임재식 2012.08.13 20:07 (*.206.51.155)
    오랜만에 올리신 테스트 사진이 멋집니다^^
  • 김호섭 2012.08.13 21:55 (*.93.163.125)
    아래사진은 크롭하지 않은 원본 사이즈인가요?..구석의 별상이 저정도면 ADT의 리듀서는 한마디로 [물건]입니다.
  • 박대영 2012.08.14 19:50 (*.252.203.13)
    열정이 넘치는 사진입니다. 시상이 좋은 날을 만나야 할텐데요..^^
  • 최승용 2012.08.16 16:51 (*.117.76.123)
    김호섭님!
    주변부 아주 약간은 이미지 얼라인먼트 하면서 어쩔 수 없이 짤릴 수 밖에 없는 상황이구요.
    제가 의도적으로 주변부를 자르지는 않았습니다.
    그러니까 8300의 풀프레임에 가깝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미지 사이즈만 줄였습니다.^^
  • 이건호 2012.08.20 11:14 (*.101.107.100)
    우와~~~ 사진 참 곱네요~ 원추!
  • 서길원 2012.08.21 17:53 (*.78.73.204)
    참 부드러우면서도 자연스런 사진이네요...형님 잘 지내시죠??...^^;;;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이름 아이디 글쓴이
» Nebula 120805_m27 9 file 2012.08.13 1395 최승용 starbox60 최승용
1965 Nebula M8, M20 부근...은하수... 1 file 2012.08.01 1028 박영식 astrohunter 박영식
1964 Nebula ngc6992(베일) 2 file 2012.07.28 1021 전영준 nostra89 전영준
1963 Nebula 면사포 성운 2 file 2012.07.27 1122 김광욱 applewo 김광욱
1962 Nebula M16,M17 1 file 2012.05.27 1032 장승혁 offaxis 장승혁
1961 Nebula M17 2 file 2012.05.26 970 김상욱 quark 김상욱
1960 Nebula M27 1 file 2012.05.26 1026 선숙래 sukraeseon 선숙래
1959 Nebula 북아메리카...감마 시그니... 2 file 2012.05.24 998 박영식 astrohunter 박영식
1958 Nebula Pelican Nebula [ic5067] 4 file 2012.05.23 1749 이광호 lfo2910 이광호
1957 Nebula M16(Eagle nebula) 2 file 2012.05.21 1088 조용현 zztop 조용현
1956 Nebula M20 삼열성운 1 file 2012.05.19 974 김상욱 quark 김상욱
1955 Nebula Antares and Rho Ophiuchi area 1 file 2012.05.12 1204 황인준 sanfran 황인준
1954 Nebula M27 3 file 2012.05.01 1469 이광호 lfo2910 이광호
1953 Nebula NGC 6888 초승달 성운 7 file 2012.04.30 928 김상욱 quark 김상욱
1952 Nebula M8 & M20 영역 6 file 2012.04.29 1130 김광욱 applewo 김광욱
1951 Nebula Rho Ophiuchi Nebula and Antares [안타레스 주변] 5 file 2012.04.29 1112 이광호 lfo2910 이광호
1950 Nebula M16 3 file 2012.04.25 1103 김정식 kjsfund 김정식
1949 Nebula m17 2 file 2012.04.24 785 조영현 hyuncat 조영현
1948 Nebula 백조자리 꼬리부근. file 2012.04.01 1264 김광욱 applewo 김광욱
1947 Nebula m8 & m20 4 file 2012.03.27 877 조영현 hyuncat 조영현
1946 Nebula NGC2239 1 file 2012.03.13 901 조진원 titan7 조진원
1945 Nebula NGC 1514 (수정구슬성운, Crystal Ball Nebula) 1 file 2012.02.26 1399 김상욱 quark 김상욱
1944 Nebula 120219_m1 6 file 2012.02.21 1204 최승용 starbox60 최승용
1943 Nebula 국민성운 M42 3 file 2012.02.20 1206 김상욱 quark 김상욱
1942 Nebula 말머리와 오리온 대성운 3 file 2012.02.19 1289 전영준 nostra89 전영준
1941 Nebula IC443 2 file 2012.02.18 992 조영현 hyuncat 조영현
1940 Nebula IC405 & IC410 ~~ file 2012.02.16 966 조용현 zztop 조용현
1939 Nebula The Seagull nebula 2 file 2012.02.12 1225 김광욱 applewo 김광욱
1938 Nebula IC410 - Tadpole Nebula 14 file 2012.01.31 1676 김일순 arame 김일순
1937 Nebula The Jellyfish nebula 4 file 2012.01.31 1068 김광욱 applewo 김광욱
1936 Nebula Rosette Nebula 10 file 2012.01.29 1402 전영준 nostra89 전영준
1935 Nebula 오리온의 칼 부분 6 file 2012.01.25 1332 김광욱 applewo 김광욱
Board Pagination Prev 1 ...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 84 Next
/ 84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