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Nebula
2011.01.13 00:46

장미성운

(*.116.75.78) 조회 수 1914 추천 수 195 댓글 9










겨울철은 바람 때문에 FSQ106을 올리다보니 약 3x4도인 화각때문에 대상이 다양하지 않습니다.
화각에 적당한 대표적인 대상인 장미를 11월부터 12월에 걸쳐 몇번 찍었습니다.
달이 없는 월령에는 R,G,B를 찍고 달이 있는 월령에는 Ha, S2,O3 등 내로밴드 채널을 찍었습니다.
채널별 이미지 특성을 보여주기 위하여 다양한 합성을 해보았습니다.
[촬영정보]
Optics: Takahashi FSQ106(106mm, F5,refractor)
Mount: Astro-Physics 1200GTO(German Equatorial)
Camera: SBIG STL-11000M
Guide : Takahashi FC60 with SBIG ST-402
Filters: SBIG Standard LRGB,
          Baader Ha(7nm) ,S2(8nm), O3(8.5nm)
Dates: 2010.11.18(Ha,S2,O3) /12.12 (Ha, R,G,B)/12.15(L,R,G,B)      
Location: Byulmanse Observatory (R.O.)
Exposure Data: HaRGB =200:75:75:75 minutes. (-40°C)
                HaS2O3= 200 : 90 : 60 minutes. (-40°C)  
Image Processing : Maxim DL / Photoshop
[이미지설명]
[1,2번 이미지] HaRGB 합성
Ha필터에의한 성운기와 RGB의 자연스런 색상을 모두 이용할 수 있도록 Ha를 L로 사용한 이미지인데 별상을 상대적으로 작고 붉은 계열의 성운은 강조되므로 성운을 이미지처리할 때 흔이 이용합니다.
첫사진은 중심부 크롭, 두번째 사진은 여러날 찍으면서 어긋난 주변주를 약간 잘라낸 거의 풀프레임입니다.
[3번이미지] (L+Ha)RGB 합성
Ha와 L를 합성하여 L로 사용한 이미지로 Ha만의 합성에서 억제되었던 별빛을 좀더 살릴수 있고 전반전인 색상도 자연스런 느낌입니다.
[4번이미지] LRGB합성
Ha를 사용하지 않고 LRGB만으로 합성한 것으로 자연스럽 색상을 얻을 수 있지만 별상은 강하게 반영되고 상대적으로 성운의 표현력이 떨어해서 성운보다는 성단을 찍을때 자주이용합니다.
[5번이미지] HaS2O3합성
내로밴드 필터들이 달빛의 영향을 덜 받으므로  달이 있는 밤하늘을 이용하는 수단으로 이용하다보니 아무래도 이미지의 예리한 맛이 떨어지는 것 같습니다. 특히 S2의 정보량이 상대적으로 부족하기 때문에 채널별로 합성하는것에 연구를 더 해봐야 할것 같습니다.

7시방향의 녹색 선과 11방향의 붉은 선은 12월15일 새벽 쌍동이자리 유성우때 지나간 유성의 흔적으로 각각 G,R채널 노출때 지나간 것입니다. 이날 새벽 상당이 많은 유성이 떨어졌는데 CCD사진을 노출하면서 유성이지나가는 것이 찍힌 것은 처음인가 봅니다.
  • 김호섭 2011.01.13 02:21 (*.179.242.238)
    가히 장미성운의 마스터피스라 할만합니다.
    합성방법에 따른 다양한 이미지를 보니 채널별 합성의 레퍼런스로 삼아도 되겠습니다.
  • 전영준 2011.01.13 09:18 (*.138.203.2)
    다양한 합성법의 교과서입니다.
    여러 이미지들이 하나하나 다 좋은데요..^^
  • 이광호 2011.01.13 13:34 (*.122.137.205)
    다섯장 다 개성있습니다
    특히 1번. 5번사진이 섬세함과 부드러움의 한계를 보여주는군요

  • 김정식 2011.01.13 16:12 (*.204.135.156)
    멋지고 다양한 시도를 보여주시는군요.
    전영준님 말씀처럼 교과서적인 이미지들입니다.
    항상 배우고 있습니다.
  • 장승혁 2011.01.14 09:26 (*.244.221.3)
    다양한 모습의 장미성운이 모두 아름답습니다. 언젠가 CCD를 사용하게 된다면 좋은 본보기가 될 것 같습니다. 많이 배우고 갑니다.
  • 고창균 2011.01.14 09:41 (*.150.50.166)
    작은 별상, 예쁜 별상, 색감있는 별상, 디테일한 성운... 참좋은 이미지입니다.
  • 황인준 2011.01.14 22:25 (*.68.112.122)
    장미의 끝을 보여주시는 군요.. 휴~~
    재고정리 빨리 하세요. 그러다 하드 먹통되면..
  • 김삼진 2011.01.15 08:02 (*.193.26.166)
    이런 작품을보면 의욕이 생깁니다.^^끝네주네요.^^
  • 최승용 2011.01.15 13:07 (*.117.76.123)
    교과서 입니다...
    이렇게도 해보고 저렇게도 해보고....
    결과는 여기서 확인하면 되겠네요.^^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이름 아이디 글쓴이
1839 Nebula 장미성운 NGC2237~2239, 2244 16 file 2007.10.22 1505 유종선 swent 유종선
1838 Nebula 장미성운 4 file 2003.12.29 1504 지승용 syji2000 지승용
1837 Nebula 북아메리카성운 3 file 2010.08.23 1504 이윤 liyun 이윤
1836 Nebula NGC2237 Rosette Nebula 16 file 2005.10.17 1503 황인준 sanfran 황인준
1835 Nebula IC1805 10 file 2007.12.11 1503 박대영 youngst 박대영
1834 Nebula M78 6 file 2009.10.20 1503 전승표 josdak 전승표
1833 Nebula The Rosette Nebular 2 file 2010.10.17 1503 김광욱 applewo 김광욱
1832 Nebula m42 7 file 2010.12.08 1503 이광호 lfo2910 이광호
1831 Nebula 장~~미 7 file 2004.02.01 1502 김영혜 qzero1 김영혜
1830 Nebula M20(10D+LPS P2)_no dark frame 3 file 2004.04.22 1501 조창우 nunki92 조창우
1829 Nebula Veil Nebulae_080511 8 file 2008.05.12 1501 박대영 youngst 박대영
1828 Nebula 090909_ngc6888 10 file 2009.09.14 1501 최승용 starbox60 최승용
1827 Nebula 말머리성운 8 file 2004.02.05 1499 김영혜 qzero1 김영혜
1826 Nebula VDB142 in IC1396 (컬러) 2 file 2010.10.09 1499 김광욱 applewo 김광욱
1825 Nebula M27(050514) 10 file 2005.05.16 1498 김시태 star7197 김시태
1824 Nebula NGC 1499 California Nebula 9 file 2005.09.17 1498 황인준 sanfran 황인준
1823 Nebula [FD300 test] IC1318 & NGC6888 10 file 2008.11.27 1497 고창균 byulcozi 고창균
1822 Nebula 081226_ngc2264 14 file 2008.12.28 1497 최승용 starbox60 최승용
1821 Nebula IC405 & 410, NGC2264 4 file 2010.11.07 1496 박대영 youngst 박대영
1820 Nebula 사탕성운.. 10 file 2007.12.09 1495 신병석 starzan 신병석
1819 Nebula M78 (생각 전환해보기) 2 file 2004.02.02 1494 정민경 c6782 정민경
1818 Nebula ic2169 7 file 2010.11.14 1494 이광호 lfo2910 이광호
1817 Nebula M78과 그 주변부 2 file 2011.03.05 1494 박대영 youngst 박대영
1816 Nebula M78 4 file 2004.01.05 1493 이건호 skymate 이건호
1815 Nebula 110531_ngc7000_Mongol_2 7 file 2011.06.27 1493 최승용 starbox60 최승용
1814 Nebula 아주 오랜만에 출사 9 file 2007.03.14 1492 김영혜 qzero1 김영혜
1813 Nebula IC1805 - Center of the Heart Nebula (Melotte15) 13 file 2008.01.03 1492 김일순 arame 김일순
1812 Nebula Ced214 & ngc7822 7 file 2008.11.10 1492 고창균 byulcozi 고창균
1811 Nebula NGC2264(Christmas Tree Cluster) in Monoceros 9 file 2008.12.09 1492 신범영 shintong 신범영
1810 Nebula m20 5 file 2009.04.30 1492 전영준 nostra89 전영준
1809 Nebula 장미성운_051108 14 file 2005.11.10 1491 박대영 youngst 박대영
1808 Nebula NGC2237(Rosette Nebula) in Monoceros 10 file 2008.12.08 1491 신범영 shintong 신범영
Board Pagination Prev 1 ...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 84 Next
/ 84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