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225.54.92) 조회 수 2202 추천 수 214 댓글 11




얼마전 하늘기획의 김상구 사장의 제안으로 입실론 250과 ADT 알파 250을 맞교환을 했습니다. 우선 저는 일본의 다카하시 본사에 연락을 하여 디지탈용 보정렌즈를 200여만원을 들여 구입을 하였습니다.
그리고 한편 알파 250CA의 3세대 버젼을 완성하여 최종적인 테스트를 하고 있었습니다.

그리고는 5월 1일 새벽에 맞 대결을 벌이게 되었습니다.
입실론은 QSI 583이 알파는 FLI PL9000을 장착 동시에 촬영을 하며 성상이 어떻게 맺히고 보정능력은 어떤 것이 좋으며 결국 성능이 어떤 것이 좋은 가 비교 테스트를 했습니다.

제품스팩은 입실론이 45미리 이미지 서클에 쌍곡면 주경과 2매의 보정렌즈를 썼습니다. 스팟 다이아그램에서도 주변부가 약 20마이크론 정도의 보정능력입니다. F3.4

이에 반해 알파 250은 50미리 이미지 서클에 주변부에서 약 10마이크론 내외의 보정능력입니다. 미국 잠부토의 고정도 포물면미러에 ED포함 3군3매의 3인치 보정렌즈를 직접 오리지널로 장승혁 박사의 설계하에 제작하여 장착하였습니다. F3.6

실제 테스트에서는 입실론이 20~24마이크론 정도의 능력을 알파는 15~18마이크론의 상상을 보여주었습니다.
감격적인 순간이 아닐 수 없습니다. 순 국산 코랙터의 능력으로 경제적인 이미징 머신의 탄생을 알리는 순간이었습니다.

첨부의 사진은 5월 2일 새벽에 찍은 사진으로 별만세 김 철중 선생께 납품될 3세대 알파로 최종 품질관리차원에서 촬영한 사진입니다.

국산 보정렌즈 Korecton을 이용하여 찍은 첫 사진입니다.

사진은 50%로 리사이징 했습니다.
40분 노출의 정보량이라고는 믿기 힘든 정보량입니다.
빠른 F의 사진용 망원경의 위력이라 할 수 있습니다.
달은 거의 보름달 수준이었고 고도는 높지 않았으며 아산의 광해 또한 있는 지역입니다.

ADT Kastron Alpha-250CA  F3.6 D250
ADT Morning Calm 700GE
FLI PL 9000 36.5mm X 36.5mm 정방형 CCD (-40도)
Ha= 20min X 2
No Dark, No Flat Image
Pocessed by Maxim DL + Nescafe
2010년 5월 2일 02~
충남 아산시 송악면 마곡리 호빔천문대
  • 전승표 2010.05.03 11:59 (*.103.83.29)
    제 적도의만 허락해 준다면 욕심내보고 싶은 물건입니다. ^^
    별상이 무척 작고 동그랗네요. 게다가 극강의 디테일까지. . . 휴 ~
  • 김호섭 2010.05.03 15:10 (*.53.169.82)
    와..저런별상을 보여주는 망경이가 춘천으로 시집오는거군요.
    정말 설레고 기대됩니다.
  • 박영식 2010.05.03 18:51 (*.42.23.44)
    Made in Korea...
    제가 제일 좋아하는 brand 입니다. ^^
  • 최승용 2010.05.04 08:48 (*.117.76.123)
    정말 꿈의 망원경이 되어 가는군요.
    그 넓은 CCD의 구석구석까지 모두 별상이 좋으니 참....
    옆에서 비교하고자 하던 제가 더 민망 했었습니다.^^
  • 권기식 2010.05.04 12:34 (*.99.90.61)
    이제 세계로 뻗어나갈 일만 남으셨네요~
    앞으로도 무궁한 발전을 기원합니다. ^^
  • 이건호 2010.05.04 16:07 (*.101.107.100)
    닭까를 누르다니 대단합니다.
    저도 지지난주말 덕초현RO에 2번째 버전 알파250을 설치하고 왔어요.^^
  • 전영준 2010.05.04 16:42 (*.165.9.220)
    참 기쁜 소식입니다..
    성능뿐만아니라 가격경쟁에서도 한치 물러남이 없네요..
  • 김삼진 2010.05.06 15:04 (*.131.162.193)
    A.D.T 화이팅입니다.^^
  • 김광욱 2010.05.08 20:32 (*.56.118.31)
    서천동 HJ 형님의 모닝캄 5백이의 현장테스트를 봤는데 정말 튼튼하고 좋더군요. 300(?) 버젼 나오면 바로 예약 준비 합니다..ㅎㅎ
  • 황인준 2010.05.12 09:26 (*.68.112.216)
    이번 월령에 한번 제대로 찍어 보아야 겠습니다. 그리고 응원 늘 감사합니다..
  • 공준호 2010.05.22 08:07 (*.12.230.54)
    좋은 가대에 고정밀 경통이 보여주는 위력이 실감나는 작품입니다. ^^

  1. IC434 - HorseHead Nebula

    -NADA 제1천문대 -ADT Kastron 380DS w/ Astrooptics 3" Wynne Corrector -AP EQ1200 GTO -ST-10XME w/CFW-8A(-30, -40) -two frame mosaic [각 프레임] -Hα : 1200초X5장(1X1) -L : 300초X4장(1X1) -RGB : 각 400초X4장씩(1X1) -2007. 10. 17, 2007. 12. 15 ...
    Date2007.12.23 CategoryNebula By김일순 Views2249
    Read More
  2. M42, 50초 사진 - QHY8의 진실은?

    위 사진 어때 보이나요? 어제 아산 황인준님의 HOBYM 천문대를 방문하였습니다. 몇몇 별지기님들과 함께 였었지요. 전 장비가 전부 양평에 있는지라 카메라만 가지고 갔었는데 황인준님이 마운트와 FD300 2.8L렌즈를 빌려주셔서 잠깐 찍어보았습니다. 마운트...
    Date2008.01.31 CategoryNebula By박대영 Views2242
    Read More
  3. 장미성운

    니콘300 ED f4, ST10XME, EM200 CS 4.5nm Ha filter L: Ha 20min x 6 RGB: 3min x 3 2003년 12월 3일 분당번개에서 오리온자리 왼쪽으로.... 있는 장미성운입니다. ^^ 심용택님께서 잠시 빌려주신 니콘 300미리 ED렌즈로 장미를 찍어 보았습니다. 아직도 Ha ...
    Date2003.12.08 CategoryNebula By이건호 Views2240
    Read More
  4. M20

    지난 5일 덕초현에서 쵤영한 M20입니다. 별통 6" NJP S2PR0 4분입니다 레벨만 조정해본 상태 입니다(1장만!!). 이번에 300M(F4)로 테스트 해보았는데 카메라가 아직 차에 있습니다~
    Date2003.06.02 CategoryNebula By심용택 Views2235
    Read More
  5. 크리스마스 장미

    이번 23일 천문인 마을에서 찍어본 장미입니다. 크리스마스트리와는 다르게 원본 부터 성운기가 꽤 찍혀있어서, 이미지 처리하기가 상대적으로 용이 했습니다. 이전 CCD 사진하고 차이점이 궁금해서 찍어보았습니다. 24분 노출 생각하면 퍽 괜찮게 나온거 같...
    Date2006.12.25 CategoryNebula By박현권 Views2222
    Read More
  6. NGC281 - Packman Nebula

    -NADA 제1천문대 -ADT Kastron 380DS w/ Astrooptics 3" Wynne Corrector -AP EQ1200 GTO -ST-10XME w/CFW-10(-25, -30) -SII : 1800초X7장(1X1) -Hα : 900초X4장, 1200초X12장(1X1) -OIII : 1200초X9장, 1800초X8장(1X1) -2010. 10/06, 10/07, 10/09, 11/02,...
    Date2010.11.22 CategoryNebula By김일순 Views2215
    Read More
  7. VDB142 in IC1396

    어제는 오랜만에 만나는, 몇 안되는 '장마철 속 맑은 날'이었습니다. 이런 날은 현장에서 은하수를 만끽하며, 차곡차곡 쌓이는 사진들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재미도 가져야 하는데 오늘이 월요일이라 여느날처럼 집에서 촬영합니다. 사실 무시못하는 기름값이 ...
    Date2008.06.30 CategoryNebula By고창균 Views2207
    Read More
  8. 북아메리카성운

    모델 Canon EOS 10D 날짜시간 2003:06:01 01:18:15 노출 시간 244 s F 넘버 5.6 ISO 속도 등급 800 초점 길이 70 mm(28-70줌) White balance Auto white balance 적도의 EM-1s 노터치가이드 **토요일 밤 적상산에서 NGC번개 관측가서 찍었습니다. 적색감도가 ...
    Date2003.06.02 CategoryNebula By이윤 Views2206
    Read More
  9. NGC7000 - 3rd generation Alpha 250CA w/ Korecton

    얼마전 하늘기획의 김상구 사장의 제안으로 입실론 250과 ADT 알파 250을 맞교환을 했습니다. 우선 저는 일본의 다카하시 본사에 연락을 하여 디지탈용 보정렌즈를 200여만원을 들여 구입을 하였습니다. 그리고 한편 알파 250CA의 3세대 버젼을 완성하여 최종...
    Date2010.05.03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2202
    Read More
  10. [오랜만에 필름 사진] 백조

    오랜만에 필름 사진 올려 봅니다. 원래는 여름철의 은하수를 가득 담은 사진인데. 중심 부만 Crop 해 보았습니다. 전체 사진은 나중에 써먹으려구요. FM2 + 니콜85mm + EM200 USD2 노출시간은 20 분정도구요. 3Stop 증감 했습니다. 스캔은 이마콘 스캐너로 했...
    Date2003.09.05 CategoryNebula By박성래 Views2200
    Read More
  11. 겨울의 추억-M42 오리온대성운

    학기초 바쁜 업무때문에 이미지처리를 미루다 보니 겨울에 찍은 대상을 봄에 올리네요. 아무래도 계절이 맞아야 제맛인데... 오리온 대성운은 해마다 겨울이면 몇 번씩 찍어보는 대상인데 올해는 중심부 밝은 영역의 트라페지움을 나타내려고 30초 안팎의 노...
    Date2008.03.29 CategoryNebula By신범영 Views2191
    Read More
  12. Rosette nebula, NGC2237

    가장 힘들게 처리한 대상입니다. 29일 찍을 당시 RGB필터훨을 나사를 조이지 않고 쓰는 바람에 휠이 돌아가지를 않아서 색 정보를 얻지 못하고 오늘 새벽에 찍어 보았습니다. 이미지 처리도 공들인 만큼 나오는군요,.. B채널은 3장을 찍었는데 1장은 적도의가...
    Date2003.11.04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2190
    Read More
  13. M8 부근

    지난 주말, 간만에 덕초현에 다녀왔습니다. 봄날 치곤 아주 날이 좋았습니다. 유리별천문대의 30인치와 야간비행팀의 돕소니언에 안시관측하러 다니다 보니 정작 사진은 많이 찍지 못했습니다. 망원경이 관측소의 벽에 걸릴때 까지 간신히 찍은 은하수 입니다...
    Date2008.06.04 CategoryNebula By이건호 Views2187
    Read More
  14. 오리온대성운+...삼태성... 이미지처리다시해서 올립니다(2003_10_09)

    오늘 새벽에 장수에서 찍었습니다. eos10d + 200mm F1.8렌즈 감도 400으로 설정하고 3분짜리 6장합성: m42부분은 average합성, 나머지전체는 stack모드로 합성하고 포토샵에서 레벨조정 **유성도 2개 잡혔네요.
    Date2003.10.08 CategoryNebula By이윤 Views2186
    Read More
  15. 100603_ngc6888(with epsilon 160)

    오랜만의 포스팅 입니다. 요즘 날씨가 워낙 별을 볼 기회를 허락하지 않는 날씨의 연속에 가끔씩 호빔에 가서 망원경으로 테스트 사진을 찍어 보면 왜 그런지 마음에 들지 않는 별상으로 계속 고생을 하고 있습니다. 원인이야 차츰 찾아지겠지만 하늘이 테스...
    Date2010.09.01 CategoryNebula By최승용 Views2184
    Read More
  16. 한없이 아쉬운 화각, IC1396

    ||1지난 7월 14일(토)은 별만세의 7월 정기관측회였습니다. 장마 중에 열리는 관측회였고, 날씨가 안 좋을 거라는 일기예보때문에 참가회원수가 극히 적었습니다. 더군다나 태풍이 아직 채 가시지도 않은 날이었고, 가끔 빗발도 나부끼는 날에 열린 관측회라 ...
    Date2007.07.16 CategoryNebula By고창균 Views2173
    Read More
  17. 말머리성운과 오리온대성운

    말머리성운과 오리온대성운을 한 화각에 담아보았습니다. 화각을 맞추기 위해 대물렌즈의 초점거리에 맞지 않는 리듀서를 무리해서 연결하였더니 주변 별상이 늘어지네요. 간이식으로 되어있는 미니보그 경통 초점조절장치의 영향으로 사진 위쪽 부분은 더욱 ...
    Date2011.02.02 CategoryNebula By장승혁 Views2172
    Read More
  18. 소삼태성

    s2pro + 니콘300mm F4 노출 4분 1장 이윤씨가 촬영하시는 방법에 호기심을 느껴 한번 찍어보았습니다. 이참에 탐사관에서도 EF 200mm F1.8 캐논렌즈 살것 같습니다. 이윤씨께서 많이 도와주셨으면 합니다.^^
    Date2003.09.29 CategoryNebula By김영혜 Views2170
    Read More
  19. IC443 해파리성운

    Ha 20m x 6 RGB 5m x 3 KASTRON 12.5"DS F4.5 EQ1200GTO STL-11000M / Astrodon filter 2007년 2월 16일 덕초현 천문인마을 원격천문대
    Date2007.03.25 CategoryNebula By이건호 Views2156
    Read More
  20. m20 삼렬

    ||1오리온 CCD 카메라로 잡아본 삼렬입니다. 카메라에 아직 적응중입니다. 주경 BRC250 가이더 75SDHF + starshoot guider 적도의 1200GTO 카메라 orion starshoot pro V1 5분 19매 다크& 플랫 2009년 6월 27일 유리별 천문대 맥심(필수버전) 초점이 별로 군...
    Date2009.07.05 CategoryNebula By남명도 Views2152
    Read More
  21. NGC281

    카시오페이아에 있는 성운입니다. 구름이 끼는 관계로 컬러 정보는 얻지를 못하고 L 이미지 합성 처리후 스텔라 이미지에서 컬러링하고 포토샵에서 손을 보았습니다. 워낙 붉은 영역 일색이라서 별 차이는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만 별들의 색들이 같은 것이 눈...
    Date2003.09.30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2152
    Read More
  22. M1 게성운

    http://astrophoto.co.kr/zeroboard/view.php?id=pic_nebula&no=9 혹시 게맛을 아십니까? ^^; 메시에 목록1번으로 잘알려진 게성운입니다. 장초점 망원경을 이용해서 게성운을 크게 찍어 보았더니, 게의 속살까지 훤히 보입니다. 시상이 나쁘지 않았음에도.. ...
    Date2003.10.20 CategoryNebula By이건호 Views2147
    Read More
  23. m27 다시 합성했습니다.

    다카하시152mm ST-8E 2003/08/05 새벽3시~4시 LRGB: 40sec x 6 (2x2) 이 밑에 있는 것은 ccd soft를 이용해서 합성했고요 맥심을 이용해서 합성했습니다. 맥심이 좋긴 좋군요.^^
    Date2003.08.06 CategoryNebula By김영혜 Views2147
    Read More
  24. IC 4603

    안타레스 위부분의 산광성운입니다.. 지난 6월 16일날찍은 사진을 이제야 합성하내요. 장소:안흥 덕초현 천문인 마을 장비: 케논FD300MM2.8L 렌즈 350D EM-100적도의 ISO 800 300 초 10장 합성 맥심 포샾CS3사용 크롭 역시 여름엔 잡음이 .....냉각400D...
    Date2007.08.09 CategoryNebula By변성식 Views2145
    Read More
  25. 오리온 컬러

    낚시가 이런건가요? 모두들 낚이셨습니다. 흑백에 비해 상당히 삐리리해서 죄송합니다. 어제 바로 올리려 했지만 호스팅 업체 스토리지 한계에 도달했는지 업로드가 되지 않아 못올렸습니다. 바로 용량 확보해서 500M 정도 확보해놓은 상태지만 아직 불안 불...
    Date2010.01.28 CategoryNebula By박현권 Views2142
    Read More
  26. 장미

    여러날 만져보았지만, 삐리리하게 결론 짓고 말았습니다. h-alpha에 색깔 씌우는게 이렇게 어려운지 몰랐습니다. 가장큰 이유는 h-alpha이미지는 별상이 작은데 반해, 칼라 이미지의 별상은 크기 때문에 그냥 lrgb합성하면, 별 주의에 검은색 반점이 남아서 ...
    Date2005.02.20 CategoryNebula By박현권 Views2133
    Read More
  27. 071118-M42

    촬영일: 2007년 11월 18일 촬영지: 대부도 대남초교 망원경: FSQ-106 ED 적도의: EQ 1200 GTO 카메라:SBIG 2000XM(-35도) R : 10m(1x1) G : 10m(1x1) B : 10m(1X1) L : 55m(1x1) 안산 삼인방과 함께 했던 지난 일요일밤 촬영된 이미지 입니다. 가이드성 때문...
    Date2007.11.23 CategoryNebula By박정용 Views2128
    Read More
  28. 080116_m42_QHY8

    2008년 1월 16일 촬영한 오리온 대성운 입니다. 날씨는 환상적으로 좋았는데 카메라 테스트 한다고 이것저것 하다 보니 몇장 찍질 못했네요. 2000xm 보다 화각이 커져서 좋기는 합니다. 사용상 문제점도 그다지 없고.... 이번에 사용하게된 가이드 켐은 성능...
    Date2008.01.18 CategoryNebula By최승용 Views2127
    Read More
  29. 대 마젤란 성운 (LMC Large Magellanic Cloud)

    ||1안녕하세요. 이번에 이준화님, 황인준님과 함께 호주여행에서 찍었던 첫 번째 CCD 사진을 올립니다. 하늘높이 걸려있는 마젤란 성운은 마치 구름처럼 크고 밝더군요, 처음 방문한 곳은 휴양지로 주위에 가로등이 많았지만, 하늘이 깨끗하여 사진에는 별 영...
    Date2006.11.27 CategoryNebula By이건호 Views2122
    Read More
  30. NGC7635 - 철지난 버블

    ||1-NADA 제1천문대 -ADT Kastron 380DS w/ Astrooptics 3" Wynne Corrector -AP EQ1200 GTO -ST-10XME w/CFW-8A(-30) -Hα : 1200초X3장(1X1) -L : 300초X9장(1X1) -RGB : 각 300초X3장씩(2X2) -2007. 11. 04. 이미지 처리하는 내내 RGB를 비닝 없이 찍을 걸 ...
    Date2008.01.07 CategoryNebula By김일순 Views2121
    Read More
  31. 나도 m17

    과거에 찍었던 것입니다. 120초 한장 이미지입니다.
    Date2003.08.18 CategoryNebula By박병우 Views2120
    Read More
  32. 오리온-QHY8

    받아 놓은지 꽤 오래된 CCD를 테스트하러 주말에 천문인마을에 다녀왔습니다. 중국산의 QHY8, 원샷 냉각 컬러 CCD 카메라인데, 김형석님이 리뷰에서 잘 써 놓았듯이 장점과 단점을 모두 가진 괜찮은? 녀석으로 보입니다. 오리온 대성운 AP130EDF, EQ1200GTO, ...
    Date2007.12.17 CategoryNebula By이건호 Views2119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84 Next
/ 84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