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Nebula
2009.01.07 22:22

Fox Fur Nebula

(*.207.103.227) 조회 수 1881 추천 수 163 댓글 17




14인치 뉴튼 망원경은 미러셀 개조하느라 몇번을 뜯어 손을 보았습니다.
덕분에 16인치 RC 제작의 미러셀 노우하우가 더욱더 쌓이게 되었습니다.
이런 저런 이유로 본격적인 사진이라고 하긴 그렇습니다만
일단 차폐 작은 긴 뉴튼의 표현력에 가능성을 열어둡니다.
물론 파라코어의 보정능력 또한 F수가 느려서인지 만족스럽습니다.
오랜만에 찍은 장초점 사진인데 역시 매력이 있습니다.
근 적외영역의 디테일과 풍성한 성운기가 떨어지지만 여우 밑의 푸른 성운기의 풍성함에서 위안을 삼습니다.

사진의 몇가지 아쉬운 점은
1. 콘 성운 까지 가능했는데 테스트 차원에 그냥 찍었습니다.
2. 여우는 Ha가 있어야 디테일과 성운기가 사는데 Ha를 찍지 못했습니다.
3. F6의 느린 망원경에 11K의 10분은 단위노출이 부족합니다.
4. 역시 접안부를 바꾸고 3인치 커랙터를 쓰면 성상은 더 좋아질 것입니다.
5. 회전경통의 조임나사를 조이지 않아 가이드가 잘 되지 않았습니다.
6. 후드를 만들어 달고는 벨런스가 깨진 상태에서 촬영하여 역시 적위쪽 가이드가 튀었습니다.

성상은 위의 문제점들을 다 해결하면 훨씬 더 좋아지리라고 생각합니다.
이런 저런 이유로 다음 월령에 Ha까지 하여 철저 해부를 해 보아야 겠습니다.
왜 다들 11K와 F수 느린 망원경으로 몇십시간씩 찍는지 이해가 갑니다.
이런이유로 16803이 기다려집니다.


Mikage 350N F6 w/ 파라코어 @ FL 2310
Mikage 350 독일식 적도의
SBIG STL -11000M(-40)
L(1X1) = 10min X 13
RGB(2X2) = 10min X 5
충남 아산시 송악면 마곡리 호빔천문대
2009년 1월 1일 21:37분 ~
  • 권기식 2009.01.07 23:58 (*.28.198.246)
    이야~
    설명이 없었으면 어딘지 몰라보겠습니다.
    느린 초점비의 경통으로 사진 찍는 일이 힘들다는 걸 저도 요즘 뼈저리게 느끼고 있습니다... ㅠ.ㅠ
  • 전승표 2009.01.08 10:11 (*.103.83.29)
    대구경이 아니면 구경할 수 없는 이미지... 황홀합니다.
    여우 얼굴이 여권사진 만하게 나왔네요.
    초점길이가 참 후덜덜합니다.^^
  • 신병석 2009.01.08 12:41 (*.208.80.111)
    넘넘 멋집니다. ..
    보자마자. 우와~하는 감탄사가 절로 나오네요..
  • 최승용 2009.01.08 12:51 (*.117.76.123)
    초점거리를 생각 하면 참 대단한 이미지가 아닐 수 없군요.
    열거하신 문제점들을 보완 한다면 정말 디테일한 이미지가 나올 것 같습니다.
    대단 합니다.^^
  • 전영준 2009.01.08 13:31 (*.138.203.2)
    푸른 기운이 여우의 심장까지...^^
    점점 제 눈이 이런 사진으로 고급이되어가니 큰일입니다..
  • 신범영 2009.01.08 15:18 (*.241.50.130)

    대구경 반사, F6의 장초점...다루기 참 어려운 장비일 텐데 잘 길들여 가는군요.
    여우가 북극곰처럼 큼지막하네요.
    늘 붉은색으로 보다가 적갈색 이미지로 보니 오히려 신선한 느낌이 듭니다.^^
  • 박성래 2009.01.08 21:00 (*.155.171.240)
    아주 멋있습니다. ^^
  • 이상희 2009.01.08 21:13 (*.96.18.123)
    털북숭이 야수가 한마리 살고 있었네요
    점점더 고품격으로 쾌속질수 하시는걸 느낌니다
    감상하는 저희들로써는 즐거운일이 아닐수 없습니다
  • 김형석 2009.01.08 22:25 (*.117.30.15)
    성운 내부의 디테일이 장난아닙니다. ^^
  • 김삼진 2009.01.09 09:25 (*.131.71.43)
    기가막힙니다.역시 대단하십니다.^^덕분에 행복합니다.^^
  • 강문기 2009.01.09 12:13 (*.132.58.21)
    드디어 가동하는군요... 기대됩니다.
  • 임재식 2009.01.09 20:44 (*.218.69.125)
    디테일이 장난아니네요^^
  • 김일순 2009.01.10 18:44 (*.204.216.118)
    헉~! 멋집니다.
  • 김호섭 2009.01.11 16:20 (*.53.169.82)
    Ha없이도 이정도면...언젠가 다시 올라올 이미지가 상상이 않됩니다. 대단합니다.
  • 박현권 2009.01.11 22:47 (*.51.83.184)
    척보고, 당근 Ha 로 찍었겠지 하고 있었는데
    Ha 없이 이정도라니 역시 미카게의 위력을 실감하게 됩니다.
  • 박대영 2009.01.13 15:31 (*.252.203.19)
    대단한 사진입니다. Ha 이미지를 첨가하면 어떤 수준일지 않봐도 비디오입니다..^^
  • 공준호 2009.01.30 02:21 (*.176.123.168)
    아 정말 멋진 작품이군요. 말이 필요없습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이름 아이디 글쓴이
207 Nebula 오리온자리-Ha 16 file 2008.12.02 1314 이건호 skymate 이건호
206 Nebula 오리온자리의 버나드루프 4 file 2005.10.15 1030 박대영 youngst 박대영
205 Nebula 오리온자리의 삼태성과 소삼태성 1 file 2016.11.28 411 염범석 cometsky 염범석
204 Nebula 오리온좌의 숨은 보석..NGC 2182,2185,2170 11 file 2009.02.01 1750 신병석 starzan 신병석
203 Nebula 오메가성운(M17) 15 file 2008.06.02 1847 고창균 byulcozi 고창균
202 Nebula 올겨울엔... 7 file 2008.02.12 1677 최훈옥 oioigs 최훈옥
201 Nebula 올릴까 말까? 해파리!(ic443) 14 file 2007.12.07 1567 고창균 byulcozi 고창균
200 Nebula 올해 첫 독수리 한마리 잡아왔어요..ㅎ 6 file 2008.04.04 1762 최훈옥 oioigs 최훈옥
199 Nebula 옵세션 30인치 흉내내기 - 오리온 M42 12 file 2007.12.09 2031 김형석 halpon 김형석
198 Nebula 와인 먹고 찍은 장미 11 file 2008.11.03 1925 박현권 alexken 박현권
197 Nebula 외뿔소자리 IC 447 5 file 2016.01.24 227 김상욱 quark 김상욱
196 Nebula 우주 해파리(IC443) 저렴하게 찍어봅니다 file 2017.11.25 183 김도익 kimdoik 김도익
195 Nebula 우주가오리 낚시... 8 file 2010.04.11 1956 김광욱 applewo 김광욱
194 Nebula 우주가오리 성운 6 file 2010.07.22 1936 김광욱 applewo 김광욱
193 Nebula 웃는 갈매기 IC2177 4 file 2006.12.21 1116 도영재 samdo3 도영재
192 Nebula 원격지관측으로 찍은 m78 6 file 2005.12.30 919 도영재 samdo3 도영재
191 Nebula 원숭이 (MK69+EQ6+ST10xme) 6 file 2006.12.25 1323 박진홍 aqr4 박진홍
190 Nebula 원숭이 머리...(NGC2174) 2 file 2020.03.23 135 박영식 astrohunter 박영식
189 Nebula 원숭이 성운(ngc2174) 10 file 2008.01.10 1863 고창균 byulcozi 고창균
188 Nebula 원추 4 file 2007.11.16 1278 임재식 jaeshiklim 임재식
187 Nebula 유령성운 2 file 2013.10.18 825 김광욱 applewo 김광욱
186 Nebula 은하수 부근 4 file 2015.03.26 325 임재식 jaeshiklim 임재식
185 Nebula 이건 고민을 좀.. 9 file 2008.01.02 1687 최훈옥 oioigs 최훈옥
184 Nebula 이슬 머금은 성운, IC417 11 file 2009.09.26 1566 고창균 byulcozi 고창균
183 Nebula 장~~미 7 file 2004.02.01 1502 김영혜 qzero1 김영혜
182 Nebula 장마철엔 지난사진 꾸미기.. 4 file 2006.07.24 1043 최훈옥 oioigs 최훈옥
181 Nebula 장미 17 file 2005.02.20 2133 박현권 alexken 박현권
180 Nebula 장미 5 file 2007.11.15 1518 임재식 jaeshiklim 임재식
179 Nebula 장미 Rosette 9 file 2008.02.02 1612 김형석 halpon 김형석
178 Nebula 장미 릴레이... 7 file 2006.12.12 1297 최훈옥 oioigs 최훈옥
177 Nebula 장미성운 11 file 2003.11.04 1818 이윤 liyun 이윤
176 Nebula 장미성운 15 file 2003.12.08 2240 이건호 skymate 이건호
Board Pagination Prev 1 ...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 84 Next
/ 84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