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Nebula
2008.12.10 19:46

ngc2237 Rosette Nebula

(*.207.103.227) 조회 수 1775 추천 수 163 댓글 13




지난 월령에는 좋은 날이 많이 있었습니다.
날이 맑으면 어김없이 천문대에 가서 사진을 찍고는 하는데
장비의 세트가 많아서인지 늘 머리속이 멍해지곤 합니다.
더우기 별지기와 함께라면 그 즐거움에 귀차니즘이 발동을 하기도 합니다.
예전 나다천문대에서 은하사진을 찍거나 할때는 미리 충분히 예행연습과 시나리오를 준비하고는
하루밤에 4대상 이상씩 찍고는 했는데
오히려 그때 보다는 전략적이지 못합니다.
하지만 그런 조건으로 인해 자연스레 장노출의 사진을 찍게 되고
물론 결과는 그에 정확히 결과물이 비례하지는 않지만 나름 메리트가 많이 있습니다.

아산의 하늘은 북서쪽 광해가 있기는 하지만 찍히는 것을 보면 상당히 어두운 부분까지 찍힙니다.
이는 곳 하늘이 청명하고 공해물질이 없이 깨끗하다는 증거이기도 합니다.
지척에 날이 맑으면 같이 할 별지기와 개인 천문대가 있다는 것은 과히 지나치다 할 만큼 사치스럽습니다.

사진은 약 3일에 걸쳐 촬영한 것입니다.
많은 시간을 이미지 처리에 쓰지 않은 티가 납니다.. 언젠가 천천히 이런 저런 시도를 해 볼 생각입니다.
10XE+300미리 로 찍은 협대혁 컬러정보를 입히는 일도 남아 있습니다..

Takahashi FSQ 106ED
SBIG SL-11000 (-40)
Pentax MS-5 w/ ADT AnyGoto
Ha 1200 X 12
RGB 600 X 6
충남 아산 호빔 천문대
2008년 12월 2일 23:00~

  • 김호섭 2008.12.10 19:56 (*.53.169.82)
    중심부가 터널처럼 깊이감이 느껴지는 명작입니다. 천체사진에서 원근감을 느끼기가 쉽지않은데 말이죠.
  • 이상희 2008.12.10 21:40 (*.96.18.28)
    대량양산의 출발인가요?
    어릴적 소독차 따라서 온동네를 휘젖고 다닐때의 그모습이 생각나게 합니다.
    뭉게뭉게 피어오르는 풍만한 성운끼가 장난아니게 많이 나왔네요
    Ha촬영시간이 매우 후달리는군요. 대단하십니다 .
  • 고창균 2008.12.10 21:51 (*.7.236.250)
    드디어 양산이군요. 축하드립니다.~!
  • 신범영 2008.12.10 22:04 (*.109.29.204)
    데이터를 보니 같은 광학계, 같은 디텍터, 같은 시간에 같은 대상을 비슷한 화각화각으로 비슷한 노출로 찍었는데
    또다른 느낌의 장미입니다. 구석구석 별상이 참 좋습니다.
    아산 호빔천문대의 하늘을 직접보고 싶네요...^^
  • 임재식 2008.12.10 22:10 (*.218.68.61)
    부드러운 장미입니다.^^
  • 박현권 2008.12.11 01:43 (*.51.83.184)
    확실히 굴절 별상이 똥글똥글 이쁩니다.
  • 전승표 2008.12.11 09:55 (*.103.83.29)
    장미 엑스레이 사진이네요 ^^
    보들보들 풍부한 성운끼... 별색깔도 넘 이뻐요.

    하룻밤에 여러대의 장비로 십자포화를.... 부럽습니다.
  • 이준화 2008.12.11 18:39 (*.125.184.66)
    장미 줄기까지 있었군요. ~ 놀라운 사진입니다. ~
  • 박정용 2008.12.11 19:27 (*.134.62.49)
    남쪽말로, 허블납니다~ 대박입니다.^^
  • 이건호 2008.12.12 08:21 (*.101.107.100)
    아름다운 장미네요.
    요즘 사진 많이 찍으시네요 ^^
  • 권기식 2008.12.12 10:44 (*.99.82.160)
    똘망똘망한 별상에 이쁜 장미...
    게다가 긴~~ 노출 시간... 모두 부럽습니다.
    저도 몇일 씩 같은 대상 찍어보고 싶은데 언제쯤 그런 날이 올지... ㅠ.ㅠ
  • 김삼진 2008.12.12 12:35 (*.131.71.38)
    끝네줍니다. 골라가며 장노출, 집가까운 천문대 부럽습니다.^^
  • 김일순 2008.12.13 20:34 (*.160.109.4)
    좀 살살 하세요... 너무 과하면 코피납니다. ^^;

  1. by 김영렬

    M42 (Orion nebula) 3 file

  2. by 신범영

    IC1805(Heart, Valentine Nebula) 9 file

  3. by 고창균

    M16 , M17 그리고 은하수... 7 file

  4. by 황인준

    NGC7000 / IC5067 13 file

  5. by 전영준

    ic1396 7 file

  6. by 박현권

    IC1848 태아 성운? 강아지 성운? Embryo Nebula? 17 file

  7. by 이건호

    오리온성운 7 file

  8. by 임재식

    펠리칸성운 6 file

  9. by 신범영

    IC434 (Horsehead Nebula) in Orion 15 file

  10. by 황인준

    NGC7822 & CED214 9 file

  11. by 신범영

    NGC6888_초승달성운 6 file

  12. by 문재곤

    처음으로 올리는 딥스카이 3 file

  13. by 전영준

    IC1396(VDB142) 5 file

  14. by 김삼진

    때늦은크리스마스(NGC2264) 10 file

  15. by 이윤

    m42 3 file

  16. by 고창균

    Sadr & IC1318 13 file

  17. by 황인준

    ngc2237 Rosette Nebula 13 file

  18. by 최훈옥

    M42... 12 file

  19. No Image
    by 임재식

    M20&M21 7 file

  20. by 황인준

    IC2118 / Witch Head Nebula 9 file

  21. by 이건호

    M57 고리성운의 Ha 영역 12 file

  22. by 고창균

    M42 주변부 13 file

  23. by 강문기

    Cocoon Nebula 10 file

  24. by 김삼진

    딱~걸렸어! 12 file

  25. by 강문기

    IC2118 Witchhead 9 file

  26. by 임재식

    m8&m20 9 file

  27. by 황인준

    IC5146 Cocoon Nebula 14 file

  28. by 신범영

    IC405, 410, 417 6 file

  29. by 이상희

    m78 [변광성운 출현] 11 file

  30. by 김광욱

    백조자리 Ha 열전 9 file

  31. by 이건호

    장미성운 15 file

  32. by 전영준

    장미성운 6 file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 84 Next
/ 84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