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Nebula
2008.10.11 19:36

오리온대성운의 일부

(*.44.189.94) 조회 수 1741 추천 수 117 댓글 11


어제 12인치의 광축정렬을 한 번 더 했습니다.  시상이 좋지 못해 정렬에 어려움을 겪기는 했지만 90% 정도 만족할만한 수준에 올라온 것 같습니다.  이제 더 세밀한 극축정렬만 마치면 이번 보완작업은 마무리됩니다.

오늘 새벽의 시상은 정말 예측불허였습니다.  별이 찍히는 크기만놓고 보면 최악은 아니었지만 대기의 요동은 최악의 수준이었습니다.  가이드자체를 불가능하게 하는 정도였으니까요.  별의별 가이드 세팅을 다해봤지만 춤추는 별을 잡을 수 있는 방법은 하나도 없었습니다.

그래서 촬영하는 건 포기하고 예전부터 해보고 싶었던 일 중 하나를 실행에 옮겼습니다.  수십초 정도의 짧은 노출로 여러장의 사진을 합성해서 장시간 노출을 준 사진과 비교하는 일이었지요.  촬영환경이 나쁘지만 않았다면 30~60초 정도로 할 생각이었지만 10초짜리 별도 여기찍히고 저기찍히는등 엉망이었기에 그냥 10초로 찍었습니다.  10초짜리 100장이니까 총 1000초가 되겠군요.  칼러는 각각 12장씩 찍었구요.

합셩은 그냥 자연스러운 색을 살리는 방향으로 해봤습니다.  의외로 G밴드의 색상이 강하더군요.  따라서 트라페지움 근방의 성운은 붉은 색이 아닌 초록색입니다.  트라페지움도 살릴까 했었지만 그냥 그대로 두었습니다.  RGB를 1:0.75:1로 합성했습니다.

마지막으로..이번에 맥심5를 써봤습니다.  얼라인이나 기타 여러 인터페이스가 사용하기 매우 편리해진 느낌이 듭니다.  특히 컴바인할 파일을 불러서 파일의 가이드에러나 별크기등을 측정한 후 문턱값을 주어 사전에 걸러낼 수 있도록 한 것은 정말 편합니다.  그냥 오토로만 해도 아주 깔끔하게 얼라인이 됩니다.

Optics: 12" Newtonian F4
Camera: SXV-H9
Exposure: L=970sec(10secx97), RGB=120sec(each 10secx12)
  • 김호섭 2008.10.11 20:22 (*.53.169.82)
    오리온 왼쪽자락이군요. 일부분으로 보니 신비감이 넘칩니다.
    앞으로 12인치대공포의 위력을 실감하게될것같은 예감이 팍팍듭니다.
  • 권기식 2008.10.12 16:00 (*.254.206.23)
    저는 맥심 5로 파일 불러오니깐 에러가 뜨더군요... ㅠ.ㅠ
    시상 나쁘고 가이드가 안되는 날은 짧은 노출로 많이 찍어서 Sum + Average 등을 조합하면 될 것 같더군요.
    작업 시간은 더 걸리겠지만요~

    저도 비슷한 생각을 많이 하고 있다는 사실에 깜짝 놀라곤 합니다... ㅋㅋㅋ
  • 박대영 2008.10.12 18:14 (*.207.138.64)
    Sum + Average는 좋은 생각인 것 같습니다. 위 사진은 그냥 Sigma Clip 방식으로 합성한건데 5분씩 한장 찍은 이미지에 비해 많이 어둡습니다. 얼라인은 스태킹에서 파일 불러온 다음에 했는데..그렇게 하신건가요?
  • 박대영 2008.10.12 19:39 (*.207.138.64)
    트라페지움 영역을 살린 이미지입니다. 확실히 이런 색감이 맞는지는 모르겠지만 RGB를 1:1:1로 했을 경우 위와 같은 색생이 나옵니다.
  • 황인준 2008.10.12 22:16 (*.105.86.66)
    그런기능이 있었군요.. 오리온 모자익의 시작인가요??? 근데 왜 안와>>^^;
  • 김일순 2008.10.12 22:44 (*.125.233.244)
    저는 컴바인은 주로 네스카페에서 sum 합니다. 맥심 쓸때는 Average 혹은 median...
    트라페지움 주변 색감이 좀 특별하게 느껴집니다. 늘 보던 색감이 아니라서 그런가봐요... ^^
  • 이상헌 2008.10.13 00:51 (*.212.243.40)
    10초 노출.... 생각만 있고 시도는 못하고 있었는데 시상이 안 좋을때 효과가 있겠네요.
  • 김삼진 2008.10.13 10:03 (*.131.71.43)
    신비스럽고 멋집니다.^^
  • 신범영 2008.10.13 17:08 (*.241.50.130)
    이날 바람소리가 거의 태풍소리여서 자정전에는 달빛도 있었지만 가이드자체가 불가능했을 듯합니다. 다행히 달이 진 새벽녁 바람이 잦아들긴 했지만 가끔씩 가이드성이 살아지는 고공의 돌풍(제트기류?) 이 있어서 저 또한 가이드하기가 참 어려왔던 것 같습니다. 단초점으로 여러장 합성한 이미지와 한장의 장초점 이미지와의 차이는 DSLR 일반 이미지로 실험한 자료가 있었던 것 같은데 결론은 장초점 한장이 더 좋았다는 기억이 남니다.
  • 권기식 2008.10.13 18:45 (*.254.206.23)
    전에 할 때는 파일 열기 자체가 안되더군요.
    원인을 찾아보니 File Format이 버전 4처럼 자동으로 지정이 안되네요.. ㅎㅎㅎ
    이제 다시 해봐야겠습니다..
  • 이상희 2008.10.13 21:43 (*.144.109.66)
    오리온성운이 초록색이면 반칙 아닌가요??
    10초노출로도 저렇게 나온다는게 신기하기만 하네요

  1. 오리온대성운의 일부

    어제 12인치의 광축정렬을 한 번 더 했습니다. 시상이 좋지 못해 정렬에 어려움을 겪기는 했지만 90% 정도 만족할만한 수준에 올라온 것 같습니다. 이제 더 세밀한 극축정렬만 마치면 이번 보완작업은 마무리됩니다. 오늘 새벽의 시상은 정말 예측불허였습니...
    Date2008.10.11 CategoryNebula By박대영 Views1741
    Read More
  2. NGC2070, The Tarantula Nebula

    대 마젤란에 있는 독거미 성운입니다. 이미지 처리 할 양은 많은데 쉽지가 않습니다. 드문드문 처리하는 이미지이지만 그 당시의 상황이 확연히 떠오릅니다. 아마도 내년즈음 다시 남천을 여름에 찾지 않을까 싶습니다. 마지막은 Ha 이미지 입니다. 아직 처리...
    Date2007.02.08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740
    Read More
  3. 071021_ngc2174

    071021_ngc2174 좀 무섭지 않으세요?^^ 2007년 10월 20일 대부도 관측에서 촬영한 원숭이 성운 입니다. 관측지 자체의 어둡기가 좀 밝은지 노출이 많아지니 주변감광이 심해지네요. 노이즈제거 프로그램으로 노이즈도 없애고 싶지만 그렇게 하면 디테일이 조...
    Date2007.10.23 CategoryNebula By최승용 Views1739
    Read More
  4. 1+1..연상퀴즈?

    스타골든벨 프로 좋아하는데 거기 1+1 연상퀴즈라는게 있어요 ㅋ 작년에 찍은 안드로메다 두장을 합성해봤습니다 총 ISO 800 5min x 40이구요.. pentax 100 sduf em200 eos350d 입니다 색조정이 엉망이 됐네요.. 노이즈도.....
    Date2007.03.04 CategoryNebula By최훈옥 Views1738
    Read More
  5. 071215_ngc2244

    요즘 개인적으로 시간이 없어서 멋진 이미지들에 감탄의 댓글도 올리지 못하고 있습니다. 간간히 눈팅만 하고 있지요. 아무튼 올라온 모든 멋진 사진들은 모두 대단하다는 말 밖에는 달리 표현할 말이 없었습니다. 모두 대단들 하십니다.^^ ....................
    Date2007.12.17 CategoryNebula By최승용 Views1738
    Read More
  6. NGC7822

    -NADA 제1천문대 -ADT Kastron 380DS w/ Astrooptics 3" Wynne Corrector -AP EQ1200 GTO -ST-10XME w/CFW-10(-25) -SII : 1200초X9장(1X1) -Hα : 900초X17장(1X1) -OIII : 900초X5장, 1200초X10장(1X1) -2011. 09/25, 09/26, 10/03 정말 오랫만의 촬영이었습...
    Date2011.10.08 CategoryNebula By김일순 Views1738
    Read More
  7. 오리온 테스트샷~ (대성운, 말머리)

    QHY5 가이드캠을 구입하고서 몇 가지 테스트를 하고 있습니다. 1. QHY5로 딥스카이 촬영 QHY5를 받은 후 첫 출정에서 메인 카메라를 안가져가서 걍 찍어본 것이 위의 오리온입니다. 노터치라 흘렀지만 흐르지 않았다면 꽤나 쓸만할 것 같단 생각이 드는 카메...
    Date2008.02.01 CategoryNebula By권기식 Views1737
    Read More
  8. Veil Nebula ( NGC 6992 )

    maging Date: June 14th, 2008 Imaging Site: Astrovillage,Korea Telescope: TOA130F f/7.7 (1000mm) Mount: Paramount ME Guiding: FS60C Imaging Camera: SBIG STL11000M/C2 (-25C) Imaging Software: MaxIm4 Exposure: L 600sec X 6 (1X1) R 600sec X 2 (...
    Date2008.06.21 CategoryNebula By선숙래 Views1737
    Read More
  9. NGC7023 region

    몽고에서 두번째 날에 찍은 것입니다. 첫날에는 광해가 좀 있는 지역에서 울란바타르의 남서쪽 70키로 정도 떨어진 곳으로 대전카토릭교구에서 운영하는 존모트 캠프에서 진을 쳤습니다. 아주 환경이 좋은 곳이로 하늘 역시너무 좋은 그런 곳입니다. 이곳에 ...
    Date2010.10.20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736
    Read More
  10. 베일성운

    스타파티때 찍었습니다. 테스트샷인데 정작 본사진은 밧데리가 맛이가서 못찍었습니다. Deep Sky Filter장착 3200감도 200mm F1.8렌즈 개방조리개 20초노출 eos10D 포토샵에서 레벨조정.
    Date2003.09.22 CategoryNebula By이윤 Views1733
    Read More
  11. 구름속 오리온

    Date: 2008. 02. 02(가평 그린캠프 유스호스텔 운동장) Camera: QHY8(UV/IR블로킹필터) Exposure: LPS-P2 600s*6장 Optics: 4" PENTAX SDUF II(F/4->5 후면masking: FL=400mm) Mount: Takahashi Temma2 Guider: Meade DSI(PHD guiding) 크롭 후 리사이징 여름...
    Date2008.02.08 CategoryNebula By전영준 Views1733
    Read More
  12. M52 부근

    갤러리에 M52부근의 사진을 보고는 부러워서 저도 그냥 찍어 보았습니다. DSLR로는 어림도 없네요.... 노출도 턱없이 부족합니다. 2008. 8. 3 양평 임도 450D w/o LPF EF135mm F2.0@f2.8 ISO800 300sec x 4
    Date2008.08.09 CategoryNebula By이상헌 Views1733
    Read More
  13. IC434

    Date: 2009.11.17 Telescope: TMB130SS/AP0.75x Mount: EM200 Temma2 Camera: QSI583ws Exposure: Ha(1x1)600s*4장/G,B(2x2)300s*3장 Guiding: 66mm ED/DSI(main relay) Location: 화성시 대부도 대남초등학교 Processing: maximDL/stellaImage/Photoshop CS/...
    Date2009.11.20 CategoryNebula By전영준 Views1733
    Read More
  14. NGC1333 & IC348 Region

    마지막날에 찍은 사진입니다. 아쉬움도 있었지만 1주일은 적지 않은 시간이기도 하고 해서 한국의 가족들이 그리웠습니다. 떠날때 가지 않으면 안되냐시던 노모의 얼굴이 떠오르기도 했습니다. 그곳의 이준희 신부님과 밤새 나눈 대화는 기부에 대한 생각을 ...
    Date2010.12.29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733
    Read More
  15. 안타레스

    작정하고 4시간 노출을 준 M101은 심한 노이즈와 색 균형의 붕괴로 처리 불가. 자러 가기 전에 막 떠오르기 시작한 안타레스를 정 가운데에 넣고 아무 생각 없이 찍은 사진입니다. 이 부근을 더 광시야로 찍으면 푸르고 붉고 노란 빛이 어우러져 아주 멋진 곳...
    Date2008.03.08 CategoryNebula By김상욱 Views1732
    Read More
  16. Bellingham, USA.에서 본 Deneb 주변 하늘과 M31..

    안녕하세요... 간만에 인사드립니다. 1학기에 개인적인 일로 바쁘고.. 방학엔 미국에 연수를 1개월 다녀오느라... 간간히 홈피에 들렀었지만 마음의 여유가 없었습니다.. 연수갈 때 가져간 EF70-200mm 캐논렌즈와 빅센 가이드팩을 이용해서 연수지였던 서부워...
    Date2009.08.27 CategoryNebula By조용현 Views1732
    Read More
  17. NGC1499

    가동하는 장비가 많으니 생산량이 많게되고 그러다 보니 쌓이게 되고 그러면 새로 찍는 의욕이 약간씩 사라지기도 합니다.. 106과 11K의 궁합은 정말 좋은 듯 합니다. 하지만 어느덧 찾아오는 딮 딮 스카이의 매력.. 역시 대구경 장초점 사진의 ...
    Date2009.02.19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731
    Read More
  18. M20

    모처럼 날이 좋았는데 달 지기만 기다리다 나다천문대가서 15"시험해보고 다시 여우와 토끼가 기다리는 별마실로오니 2시가넘고 천문박명은 훨씬 빨라서(새벽03:20분) 노출시간이 영모자라지만 처리해봅니다. 2009-05-30일 별마실관측소 EM400 + TEC140 + STL...
    Date2009.06.03 CategoryNebula By김삼진 Views1731
    Read More
  19. M8

    찍은 날은 5월 10일인데 개인적으로나 업무적으로나 바쁘다 보니 이제서야 이미지 처리를 해 보았습니다 오래간만에 이미지 처리를 하다보니 뭘 어떻게 해야할지 감이 안잡히는 군요...ㅋㅋㅋ 촬 영 일 : 2008년 5월 10일 촬 영 지 : 대부도 대남 초교 망 원 ...
    Date2008.09.04 CategoryNebula By서길원 Views1730
    Read More
  20. 크리스마스 성운 (NGC2264)

    Merry Christmas! 크리스마스 이브인데 30년만에 가정추운 12월 날씨라하네요. 추운날씨지만 모두 즐겁고 따뜻한 성탄절 보내시기 바랍니다. 크리스마스 트리를 선물로 드립니다.^^ [촬영정보] Optics: Takahashi FSQ106(106mm, F5,refractor) Mount: Astro-P...
    Date2010.12.24 CategoryNebula By신범영 Views1730
    Read More
  21. IC405 & IC410

    마차부자리에 나란이 마주보고 있는 두 성운으로 위쪽이 IC405, 아랫쪽이 IC410입니다. 지난 12월부터 1월말까지 달과 숨바꼭질하며 20시간이상 촬영한 것 중 선별하여 이미지처리하였습니다. 겨울은하수 한가운데 있어서 주변에 잔별들이 많습니다. [촬영정...
    Date2011.01.24 CategoryNebula By신범영 Views1730
    Read More
  22. Antares 부근

    오랜만에 사진 한장 올립니다. 올해도 못찍고 지나가나 했는데. 하늘이 잠시 맑았네요.. 그래도 하늘이 너무 밝아서 ㅠㅠ 바탕이 너무 밝아서 색감이 좀 .... Antares 바로 위쪽영역입니다. Antares는 찍히지는 않았어도 흔적을 많이 남기네요,, 왼쪽 아래에....
    Date2009.06.28 CategoryNebula By신병석 Views1729
    Read More
  23. M8, M20, M21

    혜성 뜨기전에 찍어봤습니다. 이짝 동네가 화려하긴 하지만... 이미지 처리하기는 힘든 곳인 것 같습니다. -------------------------------------- - 2010년 6월 9일...01:00~02:15 - 전북 장수 - Astro350D, cooling(0도) - Pentax SDUF(with LPS P2) - Tak...
    Date2010.06.09 CategoryNebula By박영식 Views1729
    Read More
  24. m16

    2011. 4. 10 의령 한우산 무풍지대 C9.25 @f6.3 GPD-ss2kpc astro 400D / iso1600 Badder Ha 7nm : 600"×8 Vixen80s / DSI / Maxim 가이드 하늘의 뿌~연 연무(황사)만 없었다면 ... 하는 아쉬움이 많이 남습니다.
    Date2011.04.10 CategoryNebula By조영현 Views1729
    Read More
  25. M42_080129_양평

    날씨가 좋지는 못했습니다. 옅은 구름이 있는 하늘이라 투명도가 떨어졌고 촬영중간에 구름도 몇차례 지나갔습니다. 하지만 사진은 생각했었던 것보다 잘 나온 것 같습니다. 특히 S/N비가 무척 좋아보입니다. 8분짜리 7장 사진인데 이 정도의 S/N비라면 모노C...
    Date2008.01.31 CategoryNebula By박대영 Views1728
    Read More
  26. [필름] M16 + M17 (독수리 성운, 오메가 성운)

    2010년 5월 15~16일, 덕초현 중앙천문대 별통 125ED (보그 125ED F6.4), 다카하시 EM-200 펜탁스67, 코닥 E200, 50분 노출, 2스톱 증감현상 평판스캐너로 필름스캔, 80% 정도 크롭 광해가 많아서 그런지 사진이 많이 거칠게 나왔네요. 기록 차원에서 올려 봅...
    Date2010.05.29 CategoryNebula By이준희 Views1728
    Read More
  27. M45-플레이아데스

    지난 10월6일 스카이워쳐 몇분과 별마실에서 정말 오랬만에 좋은 시간을 보내면서 처음으로 FSQ-106을 시험 가동했습니다.F수가 짧으니 찍기는 좋습니다.^^ 구름이 오락가락하여 몇장 못건졌습니다. 2007-10-06일 별마실관측소 FSQ-106 EQ1200GTO STL-11000M ...
    Date2007.10.12 CategoryNebula By김삼진 Views1727
    Read More
  28. 오리온 좌의 머리..SAC Sh2 -264외

    촬영 일자 : 2008. 1. 2 저녁 8:00 ~ 11:00 촬영 장소 : 대전시 판암동 아파트 옥상.. 망원경 : 펜탁스 67 용 90mm 렌즈 - 적도의 : EM200 Guidescope : No touch 카메라 : STL - 6303 (-35도) 노출 : Ha 900sec x 5 Maxim합성후 중간만 crop 후 75% resize ....
    Date2008.01.03 CategoryNebula By신병석 Views1726
    Read More
  29. ngc7023 [iris nebula]

    촬영지:수피령20101001 21:00- 마운트:eq6-pro 광학계:ef300f4 카메라:astro40d 가이드:borg50ed dsi 노출:iso1000 10분16장 기온:+12 한시간20분을 달려 관측지에 도착하면 입구에서 반가운 분들이 안계실까? 항상 궁굼합니다 월령이 좀 빨라 아무도 안계시...
    Date2010.10.02 CategoryNebula By이광호 Views1726
    Read More
  30. 제타 오리온

    니콘300ED F4 ST-10XME EM200 TMJR CS 4.5nm Ha Filter 1200 sec X 3 (-30c) 2004년 2월 8일 경기도 이천 제 고향이 이천인데, 20년전에 계룡광학 6인치 반사로 사자자리 은하단이 보이던 하늘이었습니다. 그러나 지금은 말할 것도 없지요. 주말이면 보통 이...
    Date2004.02.09 CategoryNebula By이건호 Views1725
    Read More
  31. 장미성운

    촬영일시: 2009.12.16 1:52~3:23 촬영장소: 수피령 기온: -13도~-17도 망원경: William Optics Zenithstar 70ED + Borg 0.85X DG Reducer (D=70mm, f=366mm) 카메라: Canon 50D (적외선필터 개조) 적도의: 다카하시 EM-10B 가이드: 미니보그50 (D=50mm, f=250...
    Date2009.12.17 CategoryNebula By장승혁 Views1725
    Read More
  32. 태아성운(IC1848)

    ||1전에 HaRGB로 찍어본 적이 있는데, 의외로 구석구석 볼 것이 많은 대상인 것 같습니다. 내부로 치닫는 성운 기둥들이 갖가지 자태를 뽐내고 있어 반사경통으로 따로따로 찍어보아도 각각 작품이 될 듯한 큰 대상입니다. 광고의 노랫말처럼 (생각대로 하면 ...
    Date2008.10.30 CategoryNebula By고창균 Views1724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 84 Next
/ 84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