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Nebula
2008.01.03 16:38

M42_QHY8 Fisrt Light

(*.107.223.38) 조회 수 1887 추천 수 246 댓글 12


지난 해 중순경 QHY8 칼러 CCD를 구입했습니다.  형석님의 사진을 보고 뽐뿌받아 그냥 질렀지요..^^  16비트 디카 한대 산다는 마음으로 구입은 했지만 내심 이런저런 기대도 컸습니다.  주 활용용도는 카메라렌즈를 달아 별자리사진을 찍어보자였었는데 굴절이나 광학계가 밝은 망원경이라면 활용가치가 꽤 있을 것이라는 생각도 있었습니다.

어제 일찌감치 양평으로 향했습니다.  혼자하기 뭐해서 전영준 후배님과 김형석님을 전화로 불렀습니다.  일단 12인치에 연결해 코마커렉터와 CCD 면과의 수차보정거리가 맞는지 확인해 보았습니다.  가지고 있는 2인치 연장어댑터를 적절히 잘 조합하면 어느 정도 가능하겠다 싶었는데, 빅센 코마커렉터는 길었고 텔레뷰 파라코어는 약간 짧았습니다.  하지만 다행히도 파라코어의 경우 5mm 정도 밖에 짧지 않아서 오링을 이용해 비슷하게 길이를 맞출 수 있었습니다.

칼러 CCD의 감도특성상 장당 10분 정도의 노출은 필요할 거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계속되는 알 수 없는 가이딩 에러때문에 결국 5분으로 노출시간을 줄여 16장을 찍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중 단 한장만 튀지 않고 가이딩이 되었고 나머지는 모두 가관(?)이었습니다.  별이 삐쭉빼쭉~~합니다..^^  이중에서 그나마 약간이라도 괜찮아 보이는 7장을 합성했습니다.  이때문에 올리는 사진도 원본파일에서 보면 별모양이 찌그러져 있습니다.  원본크기에서 40% 정도로 줄인 사진이라 가이딩에러가 잘 안보입니다.  그럼에도 예리하신 분들은 알 수 있을 듯..

이미지처리는 IRAF/CCDRED에서 플랫처리를 했고 MAXIM에서 컬러변환, 컴바인을 했습니다.  그리고 스텔라이미지에서 레벨조정, 채널별 커브조정 후 포토샵에서 레벨, 커브조정, 리사이징을 했습니다.  이브닝플랫을 찍었는데 배경하늘이 깨끗하지 못했고 초점을 맞추지 않고 나중에 카메라를 회전시킨 탓인지 먼지가 완전히 지워지지 않았습니다.  하늘도 밝은 편에 속했습니다.  시상은 평균 FWHM 1.5 정도를 기록했는데 이를 초(")로 환산하면 약 2" 정도이므로 우리나라의 환경에서 좋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Date: 2008-01-02
Optics: 12" F/Newtonian w/Paracore
Camera: QHY8 Cooled Color CCD
Mount: NJP w/FS2 Goto System
Guder: FD300 2.8L w/SXV-H9
Expsure: 35min(5mx7)
  • 최승용 2008.01.03 17:36 (*.78.47.13)
    저도 어제 대부도로 출동을 했는데 역시나 구름이 몰려 와서 도중에 철수 해야만 했습니다.
    그리고 케이블 문제가 있는 듯 합니다.
    제공 하는 케이블로는 아무런 문제가 없는데 사제 케이블을 이용하니 QHY8과 QHY5를 동시에 접속 할 수 없었습니다.
    결국 현장에서는 사진 한장 찍어 보지 못하고 철수 해서 집에서 다시 연결해 보니 그렇더군요.
    끙... 이렇게 허물할데가....^^
  • 유종선 2008.01.03 18:26 (*.78.29.197)
    QHY 사용자가 엄청 나게늘겠습니다. 사진의 색감이 아주 좋습니다. ^^
  • 임재식 2008.01.03 22:02 (*.218.69.118)
    색감 좋습니다.^^
  • 이건호 2008.01.03 23:42 (*.97.226.8)
    추운데 이미지가 보상해주네요 ^^
    승용형님~~,
    USB2.0카메라다보니 케이블특성을 타는것 같습니다.
    되도록 굵고 실드처리된것이 좋고 ... 너무 긴 것은 안 좋더군요.
  • 박정용 2008.01.04 00:54 (*.189.54.152)
    새로운 카메라로 촬영하였군요.
    지금도 이렇게 멋진데..
    앞으로가 더욱 기대됩니다.
  • 황인준 2008.01.04 01:58 (*.226.254.81)
    s/n비가 좋아 보입니다..
    간만에 통화하니 야전에서 보고 싶더군요..
  • 강문기 2008.01.04 09:50 (*.132.58.21)
    새로운 CCD 성능이 잘 보이는군요. 기대가 됩니다.
  • 전영준 2008.01.04 11:13 (*.138.203.2)
    전 아직 익숙하지 않은데 형님은 벌써 대작을 준비하셨네요..
  • 서길원 2008.01.04 13:00 (*.78.73.202)
    성운이 부드러운게 색감도 기가 막힙니다~~
  • 김형석 2008.01.04 15:11 (*.120.76.50)
    12인치와 QHY의 첫 만남이네요! 성운기가 엄청납니다. ^^
    가이드만 잘 되시면 바로 대박 나실듯...
  • 김일순 2008.01.05 09:01 (*.125.233.214)
    제 눈엔 가이딩에러 안보이는데요 ^^
    멋집니다.
  • 신범영 2008.01.07 00:12 (*.145.127.14)
    가이드 문제만 해결되면 CCD의 위력이 한층더 발휘될 것 같습니다.
    오리온 대성운의 화려한 성운이 잘 표현되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이름 아이디 글쓴이
2511 Nebula Sadr Region 1 file 2017.05.26 126 정병준 xuranus 정병준
2510 Nebula M17 1 file 2019.08.07 126 선숙래 sukraeseon 선숙래
2509 Nebula Elephant Trunk file 2017.05.01 127 전영준 nostra89 전영준
2508 Nebula NGC7380 file 2018.07.16 127 선숙래 sukraeseon 선숙래
2507 Nebula NGC2244 1 file 2021.02.07 127 김삼진 jinalji 김삼진
2506 Nebula NGC 2264 Christmas Tree Nebula 2 file 2022.12.12 127 선숙래 sukraeseon 선숙래
2505 Nebula IC446,447 NGC2245,2247인근 3 file 2016.02.16 128 황인준 sanfran 황인준
2504 Nebula Sh2-86 (NGC 6820, NGC 6823) - SHO 7 file 2016.10.09 128 박성준 einpark 박성준
2503 Nebula Great Orion Nebula 8 file 2016.12.04 128 김승남 byulter 김승남
2502 Nebula NGC2264 크리스마스트리 성운 입니다. file 2019.01.20 128 김도익 kimdoik 김도익
2501 Nebula M8/M20 3 file 2020.03.31 128 김삼진 jinalji 김삼진
2500 Nebula M1 Crab nebula 1 file 2021.01.15 129 선숙래 sukraeseon 선숙래
2499 Nebula 말머리 언저리... 3 file 2016.02.03 130 박영식 astrohunter 박영식
2498 Nebula IC4592 Blue Horsehead 5 file 2017.05.22 131 정병준 xuranus 정병준
2497 Nebula 북아메리카 성운 부근 file 2018.09.06 131 박영식 astrohunter 박영식
2496 Nebula IC1805 Heart Nebula CloseUp - Melotte15 1 file 2018.12.12 131 정병준 xuranus 정병준
2495 Nebula IC 434 부근... file 2019.11.04 132 박영식 astrohunter 박영식
2494 Nebula IC434 3 file 2022.12.24 132 김삼진 jinalji 김삼진
2493 Nebula IC 5067, 펠리칸 성운의 일부 3 file 2016.08.08 133 김상욱 quark 김상욱
2492 Nebula 북아메리카, 팰리칸 성운 widefiled narrowband 8 file 2016.10.08 133 정병준 xuranus 정병준
2491 Nebula NGC7023 Iris nebula widefield 4 file 2017.01.27 133 정병준 xuranus 정병준
2490 Nebula NGC7380 2 file 2015.10.27 134 황인준 sanfran 황인준
2489 Nebula Sh2-155 Cave Nebula 5 file 2016.10.29 134 박성준 einpark 박성준
2488 Nebula Sh2-142 (NGC 7380) 3 file 2016.11.08 134 박성준 einpark 박성준
2487 Nebula 미쿡산 M45 2 file 2016.11.13 134 박영식 astrohunter 박영식
2486 Nebula m8&m20 2 file 2017.05.31 134 전영준 nostra89 전영준
2485 Nebula NGC2170 Region 3 file 2016.02.16 135 황인준 sanfran 황인준
2484 Nebula 원숭이 머리...(NGC2174) 2 file 2020.03.23 135 박영식 astrohunter 박영식
2483 Nebula IC 434, Ha 4 file 2017.02.02 136 박영식 astrohunter 박영식
2482 Nebula IC2177 file 2018.02.07 136 황인준 sanfran 황인준
2481 Nebula NGC7635 2 file 2020.03.02 136 선숙래 sukraeseon 선숙래
2480 Nebula NGC 6334 (cat's paw nebula) 4 file 2016.09.06 137 이준화 joonhwa 이준화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84 Next
/ 84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