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Nebula
2008.01.03 16:38

M42_QHY8 Fisrt Light

(*.107.223.38) 조회 수 1887 추천 수 246 댓글 12


지난 해 중순경 QHY8 칼러 CCD를 구입했습니다.  형석님의 사진을 보고 뽐뿌받아 그냥 질렀지요..^^  16비트 디카 한대 산다는 마음으로 구입은 했지만 내심 이런저런 기대도 컸습니다.  주 활용용도는 카메라렌즈를 달아 별자리사진을 찍어보자였었는데 굴절이나 광학계가 밝은 망원경이라면 활용가치가 꽤 있을 것이라는 생각도 있었습니다.

어제 일찌감치 양평으로 향했습니다.  혼자하기 뭐해서 전영준 후배님과 김형석님을 전화로 불렀습니다.  일단 12인치에 연결해 코마커렉터와 CCD 면과의 수차보정거리가 맞는지 확인해 보았습니다.  가지고 있는 2인치 연장어댑터를 적절히 잘 조합하면 어느 정도 가능하겠다 싶었는데, 빅센 코마커렉터는 길었고 텔레뷰 파라코어는 약간 짧았습니다.  하지만 다행히도 파라코어의 경우 5mm 정도 밖에 짧지 않아서 오링을 이용해 비슷하게 길이를 맞출 수 있었습니다.

칼러 CCD의 감도특성상 장당 10분 정도의 노출은 필요할 거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계속되는 알 수 없는 가이딩 에러때문에 결국 5분으로 노출시간을 줄여 16장을 찍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중 단 한장만 튀지 않고 가이딩이 되었고 나머지는 모두 가관(?)이었습니다.  별이 삐쭉빼쭉~~합니다..^^  이중에서 그나마 약간이라도 괜찮아 보이는 7장을 합성했습니다.  이때문에 올리는 사진도 원본파일에서 보면 별모양이 찌그러져 있습니다.  원본크기에서 40% 정도로 줄인 사진이라 가이딩에러가 잘 안보입니다.  그럼에도 예리하신 분들은 알 수 있을 듯..

이미지처리는 IRAF/CCDRED에서 플랫처리를 했고 MAXIM에서 컬러변환, 컴바인을 했습니다.  그리고 스텔라이미지에서 레벨조정, 채널별 커브조정 후 포토샵에서 레벨, 커브조정, 리사이징을 했습니다.  이브닝플랫을 찍었는데 배경하늘이 깨끗하지 못했고 초점을 맞추지 않고 나중에 카메라를 회전시킨 탓인지 먼지가 완전히 지워지지 않았습니다.  하늘도 밝은 편에 속했습니다.  시상은 평균 FWHM 1.5 정도를 기록했는데 이를 초(")로 환산하면 약 2" 정도이므로 우리나라의 환경에서 좋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Date: 2008-01-02
Optics: 12" F/Newtonian w/Paracore
Camera: QHY8 Cooled Color CCD
Mount: NJP w/FS2 Goto System
Guder: FD300 2.8L w/SXV-H9
Expsure: 35min(5mx7)
  • 최승용 2008.01.03 17:36 (*.78.47.13)
    저도 어제 대부도로 출동을 했는데 역시나 구름이 몰려 와서 도중에 철수 해야만 했습니다.
    그리고 케이블 문제가 있는 듯 합니다.
    제공 하는 케이블로는 아무런 문제가 없는데 사제 케이블을 이용하니 QHY8과 QHY5를 동시에 접속 할 수 없었습니다.
    결국 현장에서는 사진 한장 찍어 보지 못하고 철수 해서 집에서 다시 연결해 보니 그렇더군요.
    끙... 이렇게 허물할데가....^^
  • 유종선 2008.01.03 18:26 (*.78.29.197)
    QHY 사용자가 엄청 나게늘겠습니다. 사진의 색감이 아주 좋습니다. ^^
  • 임재식 2008.01.03 22:02 (*.218.69.118)
    색감 좋습니다.^^
  • 이건호 2008.01.03 23:42 (*.97.226.8)
    추운데 이미지가 보상해주네요 ^^
    승용형님~~,
    USB2.0카메라다보니 케이블특성을 타는것 같습니다.
    되도록 굵고 실드처리된것이 좋고 ... 너무 긴 것은 안 좋더군요.
  • 박정용 2008.01.04 00:54 (*.189.54.152)
    새로운 카메라로 촬영하였군요.
    지금도 이렇게 멋진데..
    앞으로가 더욱 기대됩니다.
  • 황인준 2008.01.04 01:58 (*.226.254.81)
    s/n비가 좋아 보입니다..
    간만에 통화하니 야전에서 보고 싶더군요..
  • 강문기 2008.01.04 09:50 (*.132.58.21)
    새로운 CCD 성능이 잘 보이는군요. 기대가 됩니다.
  • 전영준 2008.01.04 11:13 (*.138.203.2)
    전 아직 익숙하지 않은데 형님은 벌써 대작을 준비하셨네요..
  • 서길원 2008.01.04 13:00 (*.78.73.202)
    성운이 부드러운게 색감도 기가 막힙니다~~
  • 김형석 2008.01.04 15:11 (*.120.76.50)
    12인치와 QHY의 첫 만남이네요! 성운기가 엄청납니다. ^^
    가이드만 잘 되시면 바로 대박 나실듯...
  • 김일순 2008.01.05 09:01 (*.125.233.214)
    제 눈엔 가이딩에러 안보이는데요 ^^
    멋집니다.
  • 신범영 2008.01.07 00:12 (*.145.127.14)
    가이드 문제만 해결되면 CCD의 위력이 한층더 발휘될 것 같습니다.
    오리온 대성운의 화려한 성운이 잘 표현되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이름 아이디 글쓴이
1040 Nebula NGC2237~~홍천발 장미 한송이 8 file 2010.02.08 1575 조용현 zztop 조용현
1039 Nebula m78 13 file 2010.02.08 1656 전영준 nostra89 전영준
1038 Nebula IC443~~ 해파리 성운 4 file 2010.02.10 1706 조용현 zztop 조용현
1037 Nebula 해파리 성운~ 4 file 2010.02.13 1831 김광욱 applewo 김광욱
1036 Nebula M78 file 2010.02.13 1858 장승혁 offaxis 장승혁
1035 Nebula 오리온 대성운 - 재처리 3 file 2010.02.17 1655 권기식 orion96 권기식
1034 Nebula 오리온의 북쪽하늘 9 file 2010.02.17 1575 고창균 byulcozi 고창균
1033 Nebula 버블 주변부(Bubble nebula near side) ngc7635, 7538, M52~~ 6 file 2010.02.18 1799 조용현 zztop 조용현
1032 Nebula ngc2237 5 file 2010.02.21 1993 전영준 nostra89 전영준
1031 Nebula 오리온 대성운 4 file 2010.02.24 1922 권기식 orion96 권기식
1030 Nebula m42 6 file 2010.02.24 2545 이상희 mysky71 이상희
1029 Nebula 대왕갈매기(IC2177)과 쪼맹이헬멧( NGC 2359 ), 2 file 2010.03.07 1908 신병석 starzan 신병석
1028 Nebula M78 1 file 2010.03.08 1883 신병석 starzan 신병석
1027 Nebula 백조자리와 그 북쪽 하늘 11 file 2010.04.10 1574 고창균 byulcozi 고창균
1026 Nebula 우주가오리 낚시... 8 file 2010.04.11 1956 김광욱 applewo 김광욱
1025 Nebula 100403_m82 7 file 2010.04.13 1851 최승용 starbox60 최승용
1024 Nebula Bug Nebula ( NGC 6302 ) 1 file 2010.04.15 1552 신병석 starzan 신병석
1023 Nebula 안타레스.. 4 file 2010.04.16 1608 신병석 starzan 신병석
1022 Nebula 안타레스 북부 5 file 2010.04.17 1865 장승혁 offaxis 장승혁
1021 Nebula M8 (The Lagoon Nebular) 5 file 2010.04.19 1748 김광욱 applewo 김광욱
1020 Nebula NGC6888 4 file 2010.04.20 1631 임재식 jaeshiklim 임재식
1019 Nebula 궁수자리 은하수 10 file 2010.04.25 1849 고창균 byulcozi 고창균
1018 Nebula 북아메리카 성운 부분 (NGC7000 Region) 6 file 2010.04.25 1888 김광욱 applewo 김광욱
1017 Nebula NGC7000 - 3rd generation Alpha 250CA w/ Korecton 11 file 2010.05.03 2202 황인준 sanfran 황인준
1016 Nebula 100510_ngc6888 14 file 2010.05.11 1389 최승용 starbox60 최승용
1015 Nebula 동베일 성운 7 file 2010.05.13 1556 전영준 nostra89 전영준
1014 Nebula 100512_ngc6992 8 file 2010.05.13 1707 최승용 starbox60 최승용
1013 Nebula IC4592 2 file 2010.05.15 1643 장승혁 offaxis 장승혁
1012 Nebula 버블성운 2 file 2010.05.16 1584 남명도 n8210 남명도
1011 Nebula 오랜만에 찍어본 삼엽성운 1 file 2010.05.16 1602 박성래 starlit22 박성래
1010 Nebula 100515_M20 11 file 2010.05.17 1715 최승용 starbox60 최승용
1009 Nebula M16 (독수리성운) Ha 이미지 4 file 2010.05.18 1854 김광욱 applewo 김광욱
Board Pagination Prev 1 ...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 84 Next
/ 84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