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Nebula
2007.08.26 16:55

태아성운, IC1848

(*.7.236.41) 조회 수 1580 추천 수 181 댓글 12






유난히도 길었던 우기가 이제 완전히 끝나려나 봅니다.
개학을 앞두고 맑은 밤하늘이 닷새만에 찾아왔네요.
지난 8월 17일은 두달 동안의 불순한 날씨를 보상이라도 해주듯 정말 좋았습니다.
그리고 8월 22일, 역시 그에 못지않은 완벽한 하늘이었습니다.  
초저녁, 낮은 구름들이 지나가는 바람에 초조했었는데 역시나, 화천의 밤하늘은 기대했던만큼 황홀하기만 합니다.
이날은 신범영 선생님도 함께했습니다.

근래에 아내가 제 사진들을 보면서 "당신 사진은 왜 온통 붉어요? 이제 안 붉은 것 좀 찍어 오시지...."합니다.
생각해보니 그렇네요.
여름 은하수가 사라지기 전에 Ha필터를 이용해, 은하수 안의 성운들을 '작정'하고 찍으려 했으니 근래의 제 사진은 온통 붉은 게 맞습니다.
그래서 이 날은 모처럼 안붉은 것을 찍어보려고 마음먹었습니다.
태아성운은 이미 '남겨진 숙제'이므로 뺄 수 가 없었고, 안 붉은 것 중에 안드로메다 은하를 마음에 두었습니다.
필름이나 디카로 몇 번 찍어 보았지만, CCD의 디테일 정도가 어떨지 자못 기대가 됩니다.
그러나
.
.
.
.
이날 결국 안드로메다 은하는 찍지 못했습니다.
태아성운 촬영을 마치고 났더니 안드로메다가 벌써 천정가까이에 올라와 있습니다. 시간도 그다지 많이 남아있지 않네요.
두 시간 좀 넘게 남았는데 안드로메다 은하의 명성을 생각하면 참, '예의 없는' 시간입니다.      
그래서 결국 맘에 두고 있었던 케페우스 자리 Ced 214의 촬영으로 마무리 지었습니다.
아내의 잔소리(?)를 또 들어야 했습니다.  

태아성운, 코뿔소성운, 돼지성운, 곰성운, 이판사판(1848)성운.... 참 별명도 많습니다.
세워놓고 보면 분명 태아의 모습을 많이 닮았습니다.
신비롭네요! 광활한 우주 공간에, 마치 신의 조형물인 양 작고 사랑스러운 태아의 모습이 만들어졌습니다.    
그러나 돌려놓고 보면 완전히 돼지모양입니다. 정말로 귀엽고 재미있는 형상입니다.

암흑성운이 갈라놓은 양쪽 두 편에 아기자기한, 작은 성운들이 각기 중앙쪽을 향해 줄달움치는 모습이 인상적입니다.
그러나 별색을 제대로 살리지 못한 게 참 아쉽네요. 이미지 처리 많이 공부해야겠습니다.

[촬영정보]
- Pentax 125SDP (+reduser F4.9)
- NJP Temma pc
- STL11000M/C2 (+ Astrodon Tru-Balance H-a, LRGB Filters)
- STV autoguider
- 2007. 8. 22(수) / 강원도 화천군 별만세 관측소
- Ha:R:G:B = 75(min):15:15:15 (-15도),  총 120min
   Ha 15min*5(1*1), RGB- 각 5min*3(2*2)

  • 박정용 2007.08.27 03:51 (*.189.54.203)
    정말 근사하네요.
    디테일이 팍팍 살아있군요.^^
    Ha 필터가 부럽습니다.
  • 김삼진 2007.08.27 07:58 (*.33.87.81)
    저는 옆으로 보니 코뿔소 같습니다.희안합니다.디테일,색감,부럽습니다.멋집니다.^^
  • 이건호 2007.08.27 08:15 (*.101.107.100)
    넓고 디테일한 성운사진에 항상 기뻐하고 있씁니다.^^
  • 유종선 2007.08.27 10:18 (*.155.240.193)
    저도 코뿔소에 한표 ^^
    요즘 고창균님 사진에서는 거뭇거뭇한 성운들의 강력한 힘이 느껴집니다. 마치 곧 별들이 탄생할듯합니다.
    강력한 포스가 압권입니다.
  • 강문기 2007.08.27 10:19 (*.132.58.21)
    자세하게 묘사되어있는 태아성운 정말 멋집니다.
  • 박대영 2007.08.27 12:44 (*.129.121.98)
    징글징글해라~~
  • 박영식 2007.08.27 13:19 (*.219.33.111)
    군데 군데 숨어있는 암흑성운이 참 잘 보입니다. ^^
  • 이상헌 2007.08.27 14:16 (*.107.191.236)
    시원한 화각에 디테일이 정말 압권입니다.
  • 신범영 2007.08.27 14:23 (*.241.50.130)
    옆에서 화면으로 보면서 디테일이 참 좋다고 생각했는데 역시 멋있습니다.
    모처럼 좋은 날씨였는데 오랜만에 굴절경통을 쓰려고 파라코어를 제거했더니 필터와 CCD사이에 습기가 낀 것도 모르고 촬영하여 얻은 것이 없네요. 좋은 경험 하였습니다.ㅜㅜ
  • 김일순 2007.08.28 09:13 (*.249.247.39)
    하늘을 아주 쓸어 버리시는군요.. 욕심(?)이 좀 과하신듯.... 너무 싹 쓸어 담지 마시고 쫌 냉겨 두세요. ^^;
  • 고창균 2007.08.28 09:59 (*.246.85.194)
    에잉~ 김샘 왜 이러셔... 이 시스템으로 작은 대상 못 찍는 거 아시면서... 김샘이야말로 쪼맨거 몇 개는 좀 남겨두셔유~
  • 황인준 2007.08.29 13:07 (*.81.31.89)
    정말 대단들 하십니다. 김샘 고샘 모두..

  1. 펠리칸성운

    지난 일요일부터 목요일까지 4박5일간 몽골을 갔다왔습니다. 한마디로 몽골하늘은 환상 그 자체였으나 아쉽게도 제가 있는 동안 밤하늘은 일기변화가 심해 맑다 흐려지기를 반복하고 말았습니다. 잠깐 잠깐 맑아진 틈으로 보이는 별들은 정말 크게 보였고 한...
    Date2007.08.10 CategoryNebula By박대영 Views1273
    Read More
  2. 펠리칸성운

    Kastron320DS, EQ1200GTO, STL11K Ha, G, B 140m, 30m, 30m 2007년 10월 6일 덕초현 원격관측소 이런 저런 일들 때문에... 좀 오래된 이미지를 이제서야 손댔습니다. 소구경에 넓은 화각이 맞는 새이지만, 크로즈업하니 성운 디테일이 잘 보입니다. 요런 걸 ...
    Date2008.01.03 CategoryNebula By이건호 Views1923
    Read More
  3. 펠리칸성운

    저번에 올린 ha에 옷을 입혀봤습니다. 너무 붉게 처리되어 붉은 색을 많이 뺏는데도 많이 붉습니다.^^;; 호빔천문대 em200tjr, pentax105sdhf, st10xe Ha 20분 * 37장 gb 각 5분 * 5장(2*2)
    Date2010.06.16 CategoryNebula By임재식 Views1785
    Read More
  4. 펠리칸성운

    입니다. 이미지처리 관련해서 개인교습을 좀 받아야 될 듯 합니다. 에구.. 촬영일시 : 2012년 10월 13일 촬영장소 : NADA1천문대 촬영장비 : Vixen R200SS + Takahashi EM200 Temma2 Jr. 카메라 : Centralds 냉각 60D (ISO800) 보정렌즈 : Coma Corrector + L...
    Date2012.11.12 CategoryNebula By지승용 Views694
    Read More
  5. 펠리칸성운

    제목 :펠리칸성운 망원경/렌즈 : TEC140 (FS60C ASI224MC Guiding) 카메라 :STX 16803-30 마운트 : Paramount MX+ GEM 필터 : 노출정보 : Ha:300(1*1)20장 RGB:180(1*1) 각15 장 촬영장소 :수비관측소(RO) 촬영일시 :2022-11-26일. 촬영후기 :Ha로 찍었더니 ...
    Date2022.11.29 CategoryNebula By김삼진 Views65
    Read More
  6. 펠리칸..

    ||1간밤에 백조자리가 천정에 위치하여 펠리칸만을 잡아보았습니다 날은 좋았는데.. 간만에 설치를 할려니 잘 않되더군요.. 집 뒷마당은 댐옆이라 구름도 간간이 생기고 이슬도 많이 내리더군요.. 게다가 새벽에는 안개까지 자욱해지는게.... RGB를 시도하여...
    Date2006.08.02 CategoryNebula By신병석 Views1199
    Read More
  7. 펠리칸 성운의 부분 - HX916테스트

    날이 좋아서 새로 구한 HX916카메라를 테스트 해 보았습니다. USB라 편하고 무엇보다도 ST-7보다 가볍고 해상도가 높아서 좋네요. ST-4를 잘 못다뤄서 노터치로 100초씩 찍을 수 밖에 없었습니다. 100초도 흐르네요. ㅋ Orion 8" Em200 tmjr HX916 Ha 100초 1...
    Date2004.09.10 CategoryNebula By김형석 Views1145
    Read More
  8. 펠리칸 성운 (IC5070)

    올해 시작한 허블팔렛트 첫 이미지였던 북아메리카 다음으로 펠리칸을 촬영했었는데  이제서야 마무리되어 같이 올립니다.  펠리칸 다음으로 튤립 (SH2-101)을 찍어볼까하는데 날씨가 계속 좋지 않아서 올해 촬영을 마무리 할 수있을지 모르겠네요.    Tak FSQ...
    Date2021.07.19 CategoryNebula By김영대. Views238
    Read More
  9. 펠리칸 성운

    http://astrophoto.co.kr/zeroboard/view.php?id=pic_nebula&no=12 지난 10월 18일 덕초현에서 찍어본 성운으로 이제야 처리를 해서 올립니다. 어미 펠리칸과 밥달라고 조르는 아기 펠리칸이 있는거 같습니다만... ^^ 1번 사진은 HaGB 이고 두번째 사진은 Ha ...
    Date2003.10.31 CategoryNebula By이건호 Views1795
    Read More
  10. 펠리칸 성운

    오랜만의 출사였습니다. 비록 혼자였지만 그동안 속 썩이던 문제점을 해결 한 것이 수확이었습니다. 이제는 새 기기의 본격 가동입니다. 하지만 Ha RGB합성에서 좀더 공부가 필요합니다. 앞으로 점점 더 나아지겠지요.. . . Pentax SDUF II Takahashi EM 200 ...
    Date2004.10.05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397
    Read More
  11. 펠리칸 성운

    G, B 도 1x1로 찍어서 합성해보았습니다. 역시 굴절 경통은 초점 맞추기가 힘드네요. 꼭 G 채널에서 핀이 나가버려, rgb 색상 잡는데 힘이들게 되는군요...ㅡㅗ ㅡ;;;; L(=R)RGB = 110m 15m 15m
    Date2005.05.05 CategoryNebula By김승남 Views1056
    Read More
  12. 펠리칸 성운

    백조자리 북아메리카 성운옆에 붙어 사는 새, 펠리칸입니다. 2006년 나다 스타파티 중에 6nm Ha 10분 6장 합성 AP130EDF, EQ1200GTO, STL11k
    Date2006.10.26 CategoryNebula By이건호 Views1192
    Read More
  13. 펠리칸 성운

    Imaging Date: Jun 16th, 2007 Imaging Site: Astrovillage,Korea Telescope: TOA130F f/5.5 (715mm) Mount: Paramount ME Guiding: FS60C Imaging Camera: SBIG STL11000M/C2 (-25C) Exposure: L 500sec X 12(1X1), RGB 500sec X3 (2X2) Total exposure 2hr ...
    Date2007.06.20 CategoryNebula By선숙래 Views1633
    Read More
  14. 팩맨..해파리...

    구름이 오락가락 하는 날씨. 가대 오토가이드는 자꾸 허공에 삽질... 되다 안되다 하다보니 시간도 참 잘갑니다.. Orion 10" F/4.9 EM200B ASTRO 350D ISO 1600 5min x11(팩맨), 6min x 10(해파리) 2008.11.21,22. 강원도 화천 별만세 관측소
    Date2008.11.23 CategoryNebula By최훈옥 Views1347
    Read More
  15. 팩맨..

    어제도 바람이 장난아니었고.. 별상이 안이쁘네요. Orion 10" F/4.9 반사 EM200 ASTRO 350D ISO 1600 7min x 7 2008.11.4 강원도 화천 별만세 관측소
    Date2008.11.04 CategoryNebula By최훈옥 Views1166
    Read More
  16. 팩맨 성운 (NGC281)

    ||1얼마전에 푸르딩딩한 대작을 봐서 그런지....조금 감흥이 떨어지긴 합니다만.... 날씨 안좋을때 테스트샷만 찍어보던 대상인데, 이번에 한번 찍어봤습니다. # 촬영정보 : 2010/12/04 경남 함양군 마천면 지리산 조망공원 * Equipment : Takahashi NJP FS2 ...
    Date2010.12.05 CategoryNebula By김광욱 Views1529
    Read More
  17. 팝콘성운..IC2162..

    ||1오리온좌? 의 위쪽에 있는 작은 예쁜 성운입니다 TOA로 찍기로는 좀 작군요..촛점도 좀 나가고..원본 crop입니다. RGB를 2x2로 찍었는데... 촛점도 나가고..,, 별상이 ㅠㅠ 작은 대상은 RGB도 1x1으로 찍어야 겠습니다. TOA + 6303 HARGB - 10분 5분씩. 예...
    Date2009.02.01 CategoryNebula By신병석 Views1594
    Read More
  18. 팅팅 불은 말머리

    제목 : IC 434 & B33 망원경/렌즈 : Canon FD400mm(f/2.8), front masking @f/5.6 카메라 : Fujifilm X-E1 마운트 : Takahashi EM-200b 필터 : Orion Skyglow broadband filter 노출정보 : 300s, iso1600, 20shot 촬영장소 : 김천, 대덕면 촬영일시 : 201...
    Date2016.12.13 CategoryNebula By박영식 Views101
    Read More
  19. 트리, 여우, 콘(re processing)

    ||12006년 12월 2일 덕초현 천문인 마을 Ha 20minX8 pentax 100sduf2 STL 11k gemini pulsal ob+ RGB는 정전으로 인해 사망. MAXim, ps V6 카메라 걸어놓고 온가족이 눈썰매 타고 왔습니다. 달이 훤해서 야간에 눈썰매 탈만 하더군요. *이미지를 재수정해서 ...
    Date2006.12.03 CategoryNebula By남명도 Views1685
    Read More
  20. 트라페지움...... 9.25ex경통

    대전 NGC에서 별보시는 김성호씨의 HEQ-5적도의+9.25EX시스템을 이용해서 찍었습니다. 루미콘 DeepSky Filter + 2인치 다이아고날 통해서 카메라 붙였습니다. 극축이 정확하지 않아서 인지 많이 흘러서 노출을 길게 주진 못했습니다. EOS10D+ASA3200........6...
    Date2003.12.19 CategoryNebula By이윤 Views1635
    Read More
  21. 텔레뷰 르네상스 경통 첫 샷_ SH2-240 스파케티 성운...

    얼마전 구입한 텔레뷰 1984년 1세대 패츠발 모델 르네상스 경통 테스트차~~  이경통 너무 만족스러웠어요.. 황동으로 제작된 클래식한 몸매와 묵직하지만 우직한 만듦새 등등.. 풀프레임에서의 별상을 테스트하기 위해서 가혹한 대상(스파게티성운 채널별 1장)...
    Date2016.02.04 CategoryNebula By조용현 Views245
    Read More
  22. 테스트 이미지

    과연 어느 정도 찍을 수 있나 궁금해서 찍어본 것들입니다. 안드로메다는 L 4분이고... 플레이아데스는 B 4분입니다. 역시 CCD는 다른 것 같습니다.. ^^;
    Date2007.09.12 CategoryNebula By권기식 Views1333
    Read More
  23. 태아성운, IC1848

    유난히도 길었던 우기가 이제 완전히 끝나려나 봅니다. 개학을 앞두고 맑은 밤하늘이 닷새만에 찾아왔네요. 지난 8월 17일은 두달 동안의 불순한 날씨를 보상이라도 해주듯 정말 좋았습니다. 그리고 8월 22일, 역시 그에 못지않은 완벽한 하늘이었습니다. 초...
    Date2007.08.26 CategoryNebula By고창균 Views1580
    Read More
  24. 태아성운(IC1848)

    엄마 뱃속의 태아(embryo)를 빼어 닮은 태아성운입니다. 카시오페아 아랫쪽에 하트성운과 나란히 있습니다. 촬영정보 FSQ106+STL11000M+EM200 Ha : 20분X4, R,G,B : 각각 10분X4 2006.9.22 화악산
    Date2006.09.25 CategoryNebula By신범영 Views1182
    Read More
  25. 태아성운(IC1848)

    ||1전에 HaRGB로 찍어본 적이 있는데, 의외로 구석구석 볼 것이 많은 대상인 것 같습니다. 내부로 치닫는 성운 기둥들이 갖가지 자태를 뽐내고 있어 반사경통으로 따로따로 찍어보아도 각각 작품이 될 듯한 큰 대상입니다. 광고의 노랫말처럼 (생각대로 하면 ...
    Date2008.10.30 CategoryNebula By고창균 Views1724
    Read More
  26. 태아성운 IC1848

    올해도 외롭고 심심했던 크리스마스가 될뻔하였으나 날이 좋아서 ㅎㅎ 별과 함께하는 크리스마스가 되었습니다. Penatx 100 SDUF ASTRO 350D EM200 Tjr ISO 1600 7min x 19 2008.12.25 강원도 화천 별만세 관측소
    Date2008.12.26 CategoryNebula By최훈옥 Views1233
    Read More
  27. 크리스마스트리와 장미 한송이

    말머리 주변의 성운과 더불어 꼭 찍어보고 싶은 화각의 영역이었습니다. 가대의 유격을 조금 손보고 도착한 관측지에서 갑자기 모터가 움직이지 않아 현장에서 다시 조립하느라 진땀뺐습니다. 거의 영하15도 훨씬 이하의 추위에 손본 가대기어 유격이 너무 작...
    Date2008.12.07 CategoryNebula By전영준 Views1538
    Read More
  28. 크리스마스트리성운

    2006. 12. 29 양평폐가 e-180ed 350d w/o LPF w/LPS-P2 iso400x6minx3EA + iso800x3minx8EA 추운날이였음에도 불구하고 노이즈가 많았습니다. 그래서 디테일이 없는 멍~~한 사진이 되었습니다.
    Date2006.12.31 CategoryNebula By이상헌 Views1341
    Read More
  29. 크리스마스트리성단 부근

    여러부~~~ㄴ 메리크리스마스입니다. ^^; 2005년 12월 3일 덕초현천문인마을 FSQ106, EM200, STL11K LRGB: 60m, 30m, 30m, 30m
    Date2005.12.22 CategoryNebula By이건호 Views1056
    Read More
  30. 크리스마스트리 부근입니다.

    역시 asa400 3분 x 4장 입니다. 그저께 장수에서 찍었습니다. 300d 필터제거 +fringe killer필터 200mm F2.4 월출시간 지난 상태에 투명도도 떨어진 상태라 좀 삐리리하네요. 매수 왕창늘려서 달없는날 다시 찍어봐야겠습니다.^ ^ 사진 90도 돌렸습니다.
    Date2005.01.06 CategoryNebula By이윤 Views876
    Read More
  31. 크리스마스트리 부근

    촬영일: 2005년 12월 3일 새벽 촬영지: 덕초현 천문인 마을 망원경: pentax SDUF II(fl=400mm), LPS+Fringe killer filter 적도의: 다카하시Temma 2 카메라:canon350D 노출정보: iso800 300초x6장, 924초x1장 박명을 앞두고 마지막 촬영 대상을 고르다가 건호...
    Date2005.12.04 CategoryNebula By전영준 Views920
    Read More
  32. 크리스마스에는 빨간 장미를~~

    ||1크리스마스만 찍은 것은 폭삭 망했는데,  그래도 wide 로 찍은거 처리하니 위안이 됩니다. Pentax67 렌즈가 참 좋은데 블루채널 색수차가 엄청 심하다는게 문제네요. 백포커스가 다른 렌즈들에 비해 길기 때문에 개조하기도 쉬워서 준비를 하긴 ...
    Date2010.12.19 CategoryNebula By김광욱 Views1683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84 Next
/ 84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