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Nebula
2007.08.19 16:43

ic 1805

(*.7.236.41) 조회 수 1662 추천 수 144 댓글 14




참으로 오랜만의 출사였습니다.
사실, 우리나라 장마철은 이제 장마철이 아니라 '우기'라고 표현해야 맞을 듯 합니다.
6월 하순부터 8월 중순까지 단 한차례도 하늘이 열리지 않더군요.
애꿎은 기상청에 연신 화풀이만 해댑니다.
관측소 정비한다는 핑계대고 몇 차례 오가며 행운을 바랬지만, '혹시나'는 늘 '역시나'로 바뀌고야 말았습니다.

여름 밤하늘이 원래 이렇게 아름다웠었나요?
은하수가 이렇게 짙게 드리워도 되는 건가요?
내부 공사라도 했는지 두달 만에 활짝 문을 연 강원도 화천의 밤하늘은 그야말로 환상 자체였습니다.
혼자 지내기에 너무 미안한 하늘이어서 신범영샘께 호출통화를 시도합니다.  
내일이 개학인데다가, 마침 8시부터 보충수업 들어간다고 도저히 못나오신다고 합니다.  
하늘만 좋았다면 방학을, 온통 여기 관측소에서 지낼 요량으로 모든 학교 일정을 비워 놓으셨는데... 하필 개학 전날 하루 맑은 하늘이라니...  
어째든 이날은, 아마도 우리 나라에서 천체사진하시는 분들은 거의 다 출사하지 않았을까 생각합니다.
(NADA 홈에 새로운 이미지들이 안 올라오는게 이상할 정도네요!)

딮스카이 걸어놓고 마당에 나와서 점상촬영으로 시간을 보냅니다.
너무 맑고 많은 별자리들을 하나 둘 찍다보니 절로 별자리 공부를 다시 하게됩니다.
낯이 별로 익지 않은 별자리들도 다시 확인하는 시간입니다.

그런데 습기가 많은 날이라 필터에도, 카메라에도 이슬이 장난이 아닙니다.
촬영을 잠시 멈추고 관측소에 들어가 망원경 렌즈를 보니 아니나 다를까 이슬이 맺히기 시작했습니다.
서둘러 열선후드를 장착하니 이제 안심입니다.
아마 열선후드를 준비 안한 분들은 애 좀 먹었을 날입니다.  

이날 세 대상을 촬영했는데 오랜만이라 욕심이 좀 과했나 봅니다.
서두르다 보니 사진처럼 구도가 영 맘에 안 듭니다. 좀 짤렸습니다.
조금만 돌렸어도 짤리지 않게 대상을 다 담을 수 있었을 터인데....    
모처럼 만난, 좋은 하늘!
이런 날일수록 흥분을 가라앉히고 기본에 충실해야한다는 걸 뼈저리게 느낍니다.

ccd로 처음 찍어보는 대상입니다.(사실 ccd를 올 봄부터 본격 가동했으니 모든 대상이 첨이겠지만...)
하트를 닮은 전체적인 모양보다, 내부의 다양한 성운들의 제각기 모습이 더 아름다운 대상이 아닌가 합니다.
독수리 성운에서 볼 수 있는 기둥 모양의 성운도 있고, 장미성운에 있는 암흑성운의 산맥(누구는 이 부분을 쥐똥자국이라고 합디다만)들도 볼 수 있습니다.
동굴의 입구를 연상케하는 원형(혹은 하트) 모양의 주변부 성운들도 제 각기 암흑성운들과 어우러져 멋진 장관을 연출합니다.
다양하고 작은 성운들을 제각각 멋드러지게 표현하기 위한, 디테일이 많이 요구되는 대상입니다.    

이미지 처리 작업을 거듭할 수록 점점 별색에 신경을 쓰게 됩니다.
언제부턴가 '별색이 제대로 살아있지 못하면 작품으로서의 가치를 잃는 것' 이라는... 이상한(?) 강박관념이 생겼습니다.
별색도 살리고, 대상의 디테일도 살리고, 과하지 않으면서 부드러운 처리 .... 쉽지 않은 일입니다!

[촬영정보]
- Pentax 125SDP (+reduser F4.9)
- NJP Temma pc
- STL11000M/C2 (+ Astrodon Tru-Balance H-a, LRGB Filters)
- STV autoguider
- 2007. 8. 17(금) / 강원도 화천군 별만세 관측소
- Ha:R:G:B = 75(min):15:15:15 (-15도),  총 120min
   Ha 15min*5(1*1), RGB 각 5min*3(2*2)

  • 김일순 2007.08.19 16:59 (*.160.109.75)
    불순한(?) 일기에 대작을 얻으셨네요. 색감 디테일 모두 최곱니다.
  • 박성준 2007.08.19 20:24 (*.141.87.158)
    전 16일 출사나갔다가, 오락가락하는 날씨에 초점도 실패해버렸습니다. 하지만, 잠깐이라도 하늘이 열릴때의 은하수란 참 엄청나더군요. 성운의 디테일에 입이 딱 벌어집니다...
  • 신범영 2007.08.20 05:43 (*.145.127.14)
    방학 끝나는게 아쉬워 16일날 출사했더니 밤세 구름과 숨박꼭질하다가 동트기 직전에서야 날이 맑고...
    개학때문에 17일에 들어 왔더니 그제서야 날이 들고...날씨의 심보가 놀부를 닮아 가나봅니다.
    하트성운은 역시 Ha로 찍어야 제맛이 나네요.
    멋진 하늘아래에서 멋진 사진 찍으신 것 축하드립니다.^^
  • 유종선 2007.08.20 10:19 (*.155.237.225)
    아주 좋습니다. 이런날씨에 이렇게 좋은 작품을 대한다는게 행운인것 같습니다.
  • 박대영 2007.08.20 11:16 (*.129.121.98)
    Ha 사진만 찍으시는 군요..^^ 정말 크고 멋진 대상이죠? 덕분에 좋은 감상 잘 합니다...
  • 이준화 2007.08.20 16:11 (*.249.97.160)
    정말 사진 좋습니다. ~
  • 황인준 2007.08.20 16:12 (*.207.103.241)
    칼핀에 작은 별상..... 역시 대단한 사진입니다.
  • 이상헌 2007.08.20 18:35 (*.107.191.109)
    멋진 사진이네요. 엄청납니다.
  • 이건호 2007.08.20 23:58 (*.97.226.8)
    으와~ 끝내줍니다. 그거 참 실하게 잘 나왔네요.^^
    Ha로 성운색과 별색 맞추기는 정말 어려운것 같습니다.
  • 김삼진 2007.08.21 07:50 (*.33.87.81)
    희안한 성운 어마 어마하니 끝내줍니다.하마터면 펜탁스125명기를 놓칠뻔 하셨네요.^^
  • 강문기 2007.08.21 11:44 (*.132.58.21)
    멋진 하트입니다. 화각에 딱 들어맞네요.
  • 임상균 2007.08.22 22:50 (*.226.245.156)
    환상적입니다. 오우~
  • 지승용 2007.08.23 19:16 (*.93.126.96)
    성운기가 난리 부루스군요.
    Hubblish한 이미지군요.^^
  • 변성식 2007.08.24 18:21 (*.163.248.59)
    Ha 사진은 새로운 세계을 보여주는것 같아 흥미롭습니다..

  1. IC 1805

    오래전에 찍었었는데 노이즈가 너무 심해 처리를 미루어 두었던 이미지입니다. 아직 여름의 기운이 채 가시기 전인 8월의 마지막날인 듯 합니다. 오랜만에 5인치 굴절로 찍었는데 요즘 애먹고 있는 사선노이즈는 다행히 찾아볼 수 없습니다. 굴절로는 별들의 ...
    Date2006.10.06 CategoryNebula By고창균 Views1043
    Read More
  2. ic 1805

    참으로 오랜만의 출사였습니다. 사실, 우리나라 장마철은 이제 장마철이 아니라 '우기'라고 표현해야 맞을 듯 합니다. 6월 하순부터 8월 중순까지 단 한차례도 하늘이 열리지 않더군요. 애꿎은 기상청에 연신 화풀이만 해댑니다. 관측소 정비한다는 핑계대고 ...
    Date2007.08.19 CategoryNebula By고창균 Views1662
    Read More
  3. IC 1805

    ||1----------------------- 20071107 양평군 양동면 e-160, Astro350D ISO 1600 총노출 135분 50% 리사이즈 full frame ----------------------- 역시 원숭이찍은날 같이 찍었는데... 구도가 영 엉망입니다. 억지로 돌리고하면 들어갈것도 같은데 너무 꽉 찰...
    Date2007.11.09 CategoryNebula By유종선 Views1564
    Read More
  4. IC 1805

    혜성 촬영 후 시간이 많이 남아 촬영해봤습니다. 역시 어두운 대상이 노터치 촬여은 힘든 것 같습니다. 언제쯤이나 제대로 촬영해볼런지... 2014.09.01 IC1805 하트성운 EM2 BORG76ED 0.85XR 6D  ISO20000 70초 21장 수동디더링 No flat, No dark, No bias  ...
    Date2014.09.01 CategoryNebula By임재식 Views517
    Read More
  5. IC 1795 Fishhead Nebula

    Imaging Date:  Ha       September 19th,2020                    OIII & SII  October 17th,24th, 2020 Imaging Site:   NADA Observatory,Astrovillage Telescope:  ADT Starship RCA400C Mount:  Paramount ME Guiding:  Off Axis Guide Imaging Camer...
    Date2020.11.03 CategoryNebula By선숙래 Views176
    Read More
  6. IC 1491

    작고 어두운 산광성운입니다. 관측하다가 배고픈데 이 성운 찍히는데 보고 포장마차의 닦발 생각이 나더군요.. 고추장 양념한 닦발.. 하늘이 좋은 적분에 그럭저럭 나왔는데 역시 노출 부족은 숙제입니다. 실제 이미지 처리 하는데 애를 먹거든요.. - FS152 +...
    Date2003.10.29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951
    Read More
  7. IC 1396재처리..

    어제 날씨가 좋아서 달이 밝지만. Oiii, SII를 더 찍어서 처리해보았습니다. Flat처리가 되지 않지 않는데다 saturation만 올리니.. 바탕이 좀 얼룩덜룩합니다. 일전에 올린것은 너무 녹색천지라 삭제하였습니다.. 근데.. 너무 알록달록한가요? . 색감을 좀 ...
    Date2011.10.19 CategoryNebula By신병석 Views1389
    Read More
  8. IC 1396 주변부

    ||1얼마전에 올렸던 Ha 흑백사진.. RGB가 각각 1장씩이 있어 처리해보았습니다. 수렁에서 건진 칼라사진입니다. Ha 2장. RGB 각 1장.. 노이즈가 많아 좀 어둡게 만들었습니다. 90mm x 6303 , 1x1 약간 crop후 Rotation 렌즈는 모두 펜탁스 67렌즈입니다.
    Date2011.10.06 CategoryNebula By신병석 Views1143
    Read More
  9. IC 1396 세페우스자리

    북천의 세페우스자리에 위치하는 대형성운 IC1396의 일부분입니다. 습기가 많고 구름이 오락가락하는 날씨였습니다. 2004년 9월 16일 분당 전원주택단지내 촬영 Vixen FL70 F6, EM200, ST10xme Ha 20min x 3
    Date2004.09.18 CategoryNebula By이건호 Views1272
    Read More
  10. IC 1396 in Cepheus

    마음 같아서는 매일 한 작품 씩 올릴려고 했는데 훌쩍 일주일이 지나갔네요. 화각이 1도가 안되는 반사경통에서는 엄두가 나지 않던 1396을 FSQ106를 올린 기념으로 찍어보았습니다. 3년만에 다시 찍어보는데 11월16일은 11시쯤 하현달이 올라오는 월령이어서...
    Date2010.12.18 CategoryNebula By신범영 Views1643
    Read More
  11. IC 1396 Ha

    ||1새벽4시가 넘어가니 벌써 백조자리와 함께 IC1396도 올라오더군요.. 아직은 고도가 낮아 좀삐리리합니다. .. Epsilon 180 with 6303 . Ha 6nm , 600sec x 7 , 사진은 half size입니다. 전체를 찍을려면 300mm정도로 close up을 할려면 1000mm는 되야될듯합...
    Date2006.03.06 CategoryNebula By신병석 Views1071
    Read More
  12. IC 1396 (SHO)

    몇 주전에 Ha와 OIII만 찍어놨었는데, 어제 하늘이 대박이길래, 멀리는 못가고 눈물을 머금고 앞마당 멀티를 뛰었습니다. SII를 추가하였고, Ha도 추가하였습니다.  지난번에는 전남 구례에서 촬영하였었는데, 확실히 background 레벨 차이가 많이 납니다. 멀...
    Date2015.10.06 CategoryNebula By박성준 Views186
    Read More
  13. IC 1396

    Van den Bergh 142, part of the larger nebula complex IC 1396 Imaging Date: Oct 13th, 2006 Imaging Site: Astrovillage,Korea Telescope: TOA130F f/7.7 Mount: NJP Temma2 Guiding: Selfguide Imaging Camera: SBIG ST-10XME w/CFW-8A (-25) Exposure: ...
    Date2006.10.23 CategoryNebula By선숙래 Views1082
    Read More
  14. IC 1396

    ||1어제는 장수쪽 남쪽하늘은 구름만 잔뜩이었습니다. 구름끼기전에 찍은 IC1396의 GB image와 이전의 HA image를 합성하여보았습니다.
    Date2006.11.19 CategoryNebula By신병석 Views1114
    Read More
  15. IC 1396

    토요일..강릉에 친구를 만나고 돌아오는길, 천문인 마을에 들려 한컷 찍고 왔습니다. 날씨가 좋아보였는데 밤에는 구름이 오락가락하고 새벽에는 아에 구름이 하늘을 막아버렸습니다. T.T 바람도 아주 세차게 불더군요 장비: FD 300 2.8L EM-100 non가이드 촬...
    Date2007.08.12 CategoryNebula By변성식 Views1161
    Read More
  16. IC 1396

    지난 9/17 장수 무령고개 관측이 이번 월령의 마지막(?) 관측일 것 같았습니다만...주말에 와이프님이 지리산자락 구례에 1박2일 놀러가자고 해서, 가장 포터블하게 챙겼습니다. 숙소 옆에다가 촬영을 셋팅해놓고 잠도자고, 이렇게 편할 수가 없네요. 종종 애...
    Date2015.09.21 CategoryNebula By박성준 Views139
    Read More
  17. IC 1284

      촬영 일시 : 2024-06-04일 - 촬영 장소 : 수비관측소(R.O) - 망원경 (경통/렌즈) : TEC140 - 보정렌즈 (리듀서/플래트너/익스텐더) : TEC140 전용 플래트너 - 가대 (삼각대) : Paramount MX+ GEM - 가이드경/가이드 카메라 : FS60C ASI224MC Guiding - 카메...
    Date2024.06.06 CategoryNebula By김삼진 Views10
    Read More
  18. Hubble's Variable Nebula (NGC 2261)

    12인치 RC로 촬영한 두번째 사진입니다. 시상이 안 좋을 때 촬영을 해서 그런지 별들이 퉁퉁 불어 있습니다. 정확히 10년 전에 촬영한 사진고 비교하니 역시 빠른 광학계어 성능좋은  CCD가 디테일한 모습을 잡는데는 좋다는 결론입니다. ADT MorningCalm700 P...
    Date2016.02.17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61
    Read More
  19. Horsehead Nebula_060107

    너무 흔한 이미지만 작업을 하게 됩니다. 하지만 말머리성운도 찍을때마다 새로운 느낌으로 다가오게 되네요.. 이번엔 이미지의 질을 최대한 높히고 부드러움에 중점을 두어 처리하여 봤습니다. 언제나 만족할 만한 이미지가 나올런지요? -------------------...
    Date2006.01.09 CategoryNebula By박대영 Views1091
    Read More
  20. Horsehead Nebula Area

    Imaging Date: January 12th, 2007 Imaging Site: Astrovillage,Korea Telescope: TOA130F f/5.5 (720mm) Mount: NJP Temma2 Guiding: FS60C Imaging Camera: SBIG STL11000M/C2 (-40) Exposure: Ha 1200sec X 3 (1X1) Processing Notes : CCDStack + Photosh...
    Date2007.02.04 CategoryNebula By선숙래 Views1464
    Read More
  21. Horsehead Nebula (Own Data + DSS Red and Blue)

    < H-alpha (AT8RC) + Red and Blue (DSS) > < H-alpha Only (AT8RC) > 2014년 마지막 관측에서 테스트한 이미지 입니다. H-alpha만 촬영하고, 컬러정보는 DSS (Digitized Sky Survey)에서 Red와 Blue 정보를 가져와서 H-alpha와 합쳤습니다. 기록차원에서 올...
    Date2015.01.02 CategoryNebula By박성준 Views516
    Read More
  22. Horsehead Nebula

    Imaging Date: October 23th, 2004 Imaging Site: Astrovillage,Korea Telescope: TOA130F F7.5(980mm) Mount: EM200Temma2Jr Guiding: Selfguide Imaging Camera: SBIG ST-2000XM w/CFW-8A (-30) Exposure: L 600sec X 16 (1X1), R 600sec X 3 (2X2), GB 600...
    Date2004.10.25 CategoryNebula By선숙래 Views1288
    Read More
  23. Horsehead Nebula

    양평에서 찍었습니다. pentax100sduf2, EM200t2jr, sxv-h9 +cfw-8a 2분50초 노터치 가이드 L*7장 RGB*각3장 맥심에서 평균합성한후 ps7에서 레벨조절. 아~~~오토가이드 때문에 머리에 쥐납니다.
    Date2004.12.17 CategoryNebula By남명도 Views1064
    Read More
  24. Horsehead

    강원도에 갔다 집에 들러 바로 장비챙겨 들른 중원산에서 촬영한 말머리입니다. 너무 피곤하고 추워 충분한 노출을 못주었고 또 월몰까지 기다릴수없어 반달이 중천에 있을때 찍은것이라 bias가 심하네요. 2006년 1월 7일 10시 중원계곡 FSQ106+EM200+STL1100...
    Date2006.01.10 CategoryNebula By강문기 Views934
    Read More
  25. Horse Neb(Re-image processing)

    2006.10.2-3 경기도 양평 Pentax SDUF II(400mm)+350D+템마2 ISO1600/500s*4장(바더Ha필터)-칼라 변환 후 R채널선택 ISO1600/500s*6장(LPS-P2필터)-칼라 변환 후 GB채널 선택 바더Ha(45nm)를 장착하고 디카에서 찍으면 어찌될까 테스트 삼아해 본 것입니다. ...
    Date2006.10.04 CategoryNebula By전영준 Views1264
    Read More
  26. Horse head Nebular in Orion

    Object: Horse head Nebular in Orion Exposure: 300seconds 4 frames, ISO1600 Processing: Enhanced in Stellar image 4 and Adobe Photoshop 7.0 Telescope system: Tak. FS152 152mm F/8 APO refractor and S2PRO Fuji digital camea Mount: Tak. NJP Gui...
    Date2003.09.24 CategoryNebula By박병우 Views1922
    Read More
  27. Horse Head Nebula

    다들 돌아가는 덕초현에 이틀동안 버벅인게 아쉬워 하루 더 있으면서 날이 뿌옇게 되기전 찍은 이번 출사의 마지막 사진입니다. 투명도 때문에 아쉬움이 남지만 결과물은 다음의 가능성을 열어 놓았다고 봅니다. 시상이 좋고 투명도가 좋을때 다시 찍어 보고 ...
    Date2005.02.16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229
    Read More
  28. Horse head Nebula

    제목 : Horse head Nebula 망원경/렌즈 : Canon FD 300mm f/2.8L (F4 front masking) 카메라 : Olympus E-PL5 (filter modified) 마운트 : AZ-EQ6gt 필터 : UV/IR cut filter (made in China) 노출정보 : iso 1250 2m x 31 촬영장소 : 김천 덕산재 촬영일시 :...
    Date2017.09.18 CategoryNebula By김승남 Views206
    Read More
  29. Horse Head

    어제 월성에서 촬영해왔습니다. 노출 부족의 한계를 느끼고 있습니다.. ㅠ.ㅠ 유독 제타별만 타원형으로 찢어졌는데 가이드 에러라고 보기엔 좀 이상하단 생각이 듭니다... 2006. 1. 8 거창군 월성 수련원 Pentax 75SDHF, Takahashi EM-10B, Canon EOS 300D I...
    Date2006.01.08 CategoryNebula By권기식 Views876
    Read More
  30. Horeshead Nebula_051228

    새로구입한 20D를 테스트하러 천문인마을에 갔었습니다. 300D의 로패스필터 제거를 계획하고 있다가 신병석님이 필터제거한 20D를 판다기에 제가 인수하였습니다. . 워낙 도착시간이 늦어 오랜시간 촬영을 할 수 없어서 셀레스트론(바더)의 UHC 필터만을 끼워...
    Date2005.12.29 CategoryNebula By박대영 Views1085
    Read More
  31. Horesehead Nebula_060127

    마음에 들때까지!! . 올 겨울들어 말머리만 계속 찍고 있습니다..300mm에 이 필터, 저 필터를 조합하여 최적의 결과를 얻어내려 하고 있으나 한가지를 해결하면 또 한가지가 문제점으로 나타나고..언제나 만족할만한 사진이 나올런지요.. . 이번엔 두 가지가 ...
    Date2006.01.28 CategoryNebula By박대영 Views1179
    Read More
  32. Hores Head Nebula Region

    거듭 확인한 빠른 구경비의 정보량과 광축 그리고 전용 보정렌즈의 성능이 유감없이 확인됩니다. 망원경은 광축에 민감하신 최승룡님의 손으로 극강의 이미징 머신이 태어났습니다. 지금껏 촬영한 LRGB사진으로는 최고의 사진입니다. 그리고 사진전용 고급모니...
    Date2015.10.25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257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 84 Next
/ 84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