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Nebula
2007.08.19 16:43

ic 1805

(*.7.236.41) 조회 수 1662 추천 수 144 댓글 14




참으로 오랜만의 출사였습니다.
사실, 우리나라 장마철은 이제 장마철이 아니라 '우기'라고 표현해야 맞을 듯 합니다.
6월 하순부터 8월 중순까지 단 한차례도 하늘이 열리지 않더군요.
애꿎은 기상청에 연신 화풀이만 해댑니다.
관측소 정비한다는 핑계대고 몇 차례 오가며 행운을 바랬지만, '혹시나'는 늘 '역시나'로 바뀌고야 말았습니다.

여름 밤하늘이 원래 이렇게 아름다웠었나요?
은하수가 이렇게 짙게 드리워도 되는 건가요?
내부 공사라도 했는지 두달 만에 활짝 문을 연 강원도 화천의 밤하늘은 그야말로 환상 자체였습니다.
혼자 지내기에 너무 미안한 하늘이어서 신범영샘께 호출통화를 시도합니다.  
내일이 개학인데다가, 마침 8시부터 보충수업 들어간다고 도저히 못나오신다고 합니다.  
하늘만 좋았다면 방학을, 온통 여기 관측소에서 지낼 요량으로 모든 학교 일정을 비워 놓으셨는데... 하필 개학 전날 하루 맑은 하늘이라니...  
어째든 이날은, 아마도 우리 나라에서 천체사진하시는 분들은 거의 다 출사하지 않았을까 생각합니다.
(NADA 홈에 새로운 이미지들이 안 올라오는게 이상할 정도네요!)

딮스카이 걸어놓고 마당에 나와서 점상촬영으로 시간을 보냅니다.
너무 맑고 많은 별자리들을 하나 둘 찍다보니 절로 별자리 공부를 다시 하게됩니다.
낯이 별로 익지 않은 별자리들도 다시 확인하는 시간입니다.

그런데 습기가 많은 날이라 필터에도, 카메라에도 이슬이 장난이 아닙니다.
촬영을 잠시 멈추고 관측소에 들어가 망원경 렌즈를 보니 아니나 다를까 이슬이 맺히기 시작했습니다.
서둘러 열선후드를 장착하니 이제 안심입니다.
아마 열선후드를 준비 안한 분들은 애 좀 먹었을 날입니다.  

이날 세 대상을 촬영했는데 오랜만이라 욕심이 좀 과했나 봅니다.
서두르다 보니 사진처럼 구도가 영 맘에 안 듭니다. 좀 짤렸습니다.
조금만 돌렸어도 짤리지 않게 대상을 다 담을 수 있었을 터인데....    
모처럼 만난, 좋은 하늘!
이런 날일수록 흥분을 가라앉히고 기본에 충실해야한다는 걸 뼈저리게 느낍니다.

ccd로 처음 찍어보는 대상입니다.(사실 ccd를 올 봄부터 본격 가동했으니 모든 대상이 첨이겠지만...)
하트를 닮은 전체적인 모양보다, 내부의 다양한 성운들의 제각기 모습이 더 아름다운 대상이 아닌가 합니다.
독수리 성운에서 볼 수 있는 기둥 모양의 성운도 있고, 장미성운에 있는 암흑성운의 산맥(누구는 이 부분을 쥐똥자국이라고 합디다만)들도 볼 수 있습니다.
동굴의 입구를 연상케하는 원형(혹은 하트) 모양의 주변부 성운들도 제 각기 암흑성운들과 어우러져 멋진 장관을 연출합니다.
다양하고 작은 성운들을 제각각 멋드러지게 표현하기 위한, 디테일이 많이 요구되는 대상입니다.    

이미지 처리 작업을 거듭할 수록 점점 별색에 신경을 쓰게 됩니다.
언제부턴가 '별색이 제대로 살아있지 못하면 작품으로서의 가치를 잃는 것' 이라는... 이상한(?) 강박관념이 생겼습니다.
별색도 살리고, 대상의 디테일도 살리고, 과하지 않으면서 부드러운 처리 .... 쉽지 않은 일입니다!

[촬영정보]
- Pentax 125SDP (+reduser F4.9)
- NJP Temma pc
- STL11000M/C2 (+ Astrodon Tru-Balance H-a, LRGB Filters)
- STV autoguider
- 2007. 8. 17(금) / 강원도 화천군 별만세 관측소
- Ha:R:G:B = 75(min):15:15:15 (-15도),  총 120min
   Ha 15min*5(1*1), RGB 각 5min*3(2*2)

  • 김일순 2007.08.19 16:59 (*.160.109.75)
    불순한(?) 일기에 대작을 얻으셨네요. 색감 디테일 모두 최곱니다.
  • 박성준 2007.08.19 20:24 (*.141.87.158)
    전 16일 출사나갔다가, 오락가락하는 날씨에 초점도 실패해버렸습니다. 하지만, 잠깐이라도 하늘이 열릴때의 은하수란 참 엄청나더군요. 성운의 디테일에 입이 딱 벌어집니다...
  • 신범영 2007.08.20 05:43 (*.145.127.14)
    방학 끝나는게 아쉬워 16일날 출사했더니 밤세 구름과 숨박꼭질하다가 동트기 직전에서야 날이 맑고...
    개학때문에 17일에 들어 왔더니 그제서야 날이 들고...날씨의 심보가 놀부를 닮아 가나봅니다.
    하트성운은 역시 Ha로 찍어야 제맛이 나네요.
    멋진 하늘아래에서 멋진 사진 찍으신 것 축하드립니다.^^
  • 유종선 2007.08.20 10:19 (*.155.237.225)
    아주 좋습니다. 이런날씨에 이렇게 좋은 작품을 대한다는게 행운인것 같습니다.
  • 박대영 2007.08.20 11:16 (*.129.121.98)
    Ha 사진만 찍으시는 군요..^^ 정말 크고 멋진 대상이죠? 덕분에 좋은 감상 잘 합니다...
  • 이준화 2007.08.20 16:11 (*.249.97.160)
    정말 사진 좋습니다. ~
  • 황인준 2007.08.20 16:12 (*.207.103.241)
    칼핀에 작은 별상..... 역시 대단한 사진입니다.
  • 이상헌 2007.08.20 18:35 (*.107.191.109)
    멋진 사진이네요. 엄청납니다.
  • 이건호 2007.08.20 23:58 (*.97.226.8)
    으와~ 끝내줍니다. 그거 참 실하게 잘 나왔네요.^^
    Ha로 성운색과 별색 맞추기는 정말 어려운것 같습니다.
  • 김삼진 2007.08.21 07:50 (*.33.87.81)
    희안한 성운 어마 어마하니 끝내줍니다.하마터면 펜탁스125명기를 놓칠뻔 하셨네요.^^
  • 강문기 2007.08.21 11:44 (*.132.58.21)
    멋진 하트입니다. 화각에 딱 들어맞네요.
  • 임상균 2007.08.22 22:50 (*.226.245.156)
    환상적입니다. 오우~
  • 지승용 2007.08.23 19:16 (*.93.126.96)
    성운기가 난리 부루스군요.
    Hubblish한 이미지군요.^^
  • 변성식 2007.08.24 18:21 (*.163.248.59)
    Ha 사진은 새로운 세계을 보여주는것 같아 흥미롭습니다..

  1. m78

    Date: 2010.02.07-08 Telescope: TMB130SS/WO RF4 Mount: EM200 Temma2 Camera: QSI583WS Exposure: LRGB=600초x6장:RGB=300초x3장 Guiding: 66mm ED/DSI(main relay) Location: 홍천군 두촌면 서쪽으로 넘어가는 오리온의 마지막 자락을 붙잡고 싶었습니다. ...
    Date2010.02.08 CategoryNebula By전영준 Views1657
    Read More
  2. 오리온의 속살은?

    - 촬영일시 : 2008년 11월30일 - 촬영장소 : 경남 의령 자굴산 쇠목재 - 마 운 트 : EQ6 SynScan - 망 원 경 : SH200 - 카 메 라 : QHY8 (One Shot Color CCD) - 보정렌즈: MPCC - 가 이 드 : 이쁜이 62mm + QHY5 - 노출정보 : 500s X 14EA - 소프트웨어 : Im...
    Date2008.12.03 CategoryNebula By이상희 Views1660
    Read More
  3. Cederblad 214 in Cepheus

    덕초현 송년관측회에서 찍은 첫 사진입니다. 유명하지는 않지만 아주 강렬한 인상의 성운으로 암흑성운과 어우러진 멋진 성운으로 바로 옆에 더 어두운 ngc7822(산광성운)와 ngc7762(산개성단)가 있습니다. ngc7822도 역시 촬영을 했으나 안타깝게도 앵글을 ...
    Date2003.12.25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661
    Read More
  4. ic 1805

    참으로 오랜만의 출사였습니다. 사실, 우리나라 장마철은 이제 장마철이 아니라 '우기'라고 표현해야 맞을 듯 합니다. 6월 하순부터 8월 중순까지 단 한차례도 하늘이 열리지 않더군요. 애꿎은 기상청에 연신 화풀이만 해댑니다. 관측소 정비한다는 핑계대고 ...
    Date2007.08.19 CategoryNebula By고창균 Views1662
    Read More
  5. 대세는 버블...ngc7635

    ||1eq6, e-160, 아스트로350d, 가이드경 fs60c, st402가이드ccd 600sec * 6 경북울진 새로운 장비를 손에 익히는 것은 어려운 과정인것 같습니다. 김형석님의 e160과 qhy ccd를 4월에 인수하고 이런저런 사정에 이제서야 처음 결과물을 올립니다. 보통 새장비...
    Date2008.08.07 CategoryNebula By도영재 Views1662
    Read More
  6. ngc7023 재처리

    프로그램 하나 바
    Date2010.11.27 CategoryNebula By김광욱 Views1663
    Read More
  7. 버블 성운

    Bubble Nebula NGC 7635 Constellation: Cas Dreyer description: Very faint, 8th magnitude star involved little excentric. RA: 23h 20m 51.7s Dec: +61°13'30" RA: 23h 20m 42.0s Dec: +61°12'00" (Epoch 2000) Size:15.0' 카시오페이아자리에 있는 아름...
    Date2003.11.25 CategoryNebula By이건호 Views1664
    Read More
  8. 삼태성과 말머리

    촬영지:수피령20110113 마운트:eq6-pro 광학계:ef300f4 카메라:astro40d 가이드:borg50ed dsi 노출:iso800 10분11장 기온: -22 산넘어 달리는 말머리를 노출20장만 달라고 애원하며 잡아봤지만 저와 별상 스파이더까지 질질 끌고 곧 수피령 산넘어로 사라졌습...
    Date2011.01.14 CategoryNebula By이광호 Views1664
    Read More
  9. SH2-240

    맑았던 하늘이 한우산에 올라가는 순간 구름 가득에 눈발까지 날리길래, 실로 오랜만에 삼랑진 천태공원을 찾았습니다. 근데 거기가 원래 그래 밝았던가... 아님 최근에 밝아진건지. 하늘이 회색이더군요. 벼르고 찍었건만 배경이 너무 타버리고 매수부족이라...
    Date2009.12.21 CategoryNebula By조영현 Views1665
    Read More
  10. NGC 7000 North America Nebula Canon 20D

    역시 전번 덕초현 장기 출사에서 찍은 사진입니다. 테스트 샷이랍시고 앵글을 애매하게 잡아 아쉽습니다. 사실 펠리칸까지 정확히 멋지게 들어갈 화각인데 말이죠... 암튼 20D가 걸물은 걸물입니다.. 두번째 사진은 이번 왼쪽의 MS-3와 200미리 백마를 이용 2...
    Date2004.10.24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666
    Read More
  11. 갈매기 성운(IC2177)

    도배를 하는 것 같아 죄송합니다. 신범영샘의 갈매기 색이 너무 예뻐, 비슷하게 만들어보려고 지난 겨울에 찍어두었던 이미지를 꺼내어 보았습니다. CCD 구입 후 얼마 안되어 찍었던 건데, 그동안 제 스스로 이미지 처리방법도 많이 달라지고 해서 재처리를 ...
    Date2007.12.22 CategoryNebula By고창균 Views1666
    Read More
  12. M42 10D 이미지 재처리...

    자꾸 오리온으로 도배해서 죄송합니다. ^^;;; 색감 잡는게 너무너무 어렵네요. 중심부분을 살리려다 보니 성운기는 좀 사라졌고, 이것저것 아무리 해봐도 맘에 들지를 않네요. ㅠ.ㅜ orion8", EM200 TM, 10D FC 76반자동 가이드 10, 60, 120, 240, 300, 420초...
    Date2004.02.02 CategoryNebula By김형석 Views1667
    Read More
  13. IC5146 - Cocoon Nebula

    ||1-NADA 제1천문대 -ADT Kastron 380DS w/ Astrooptics 3" Wynne Corrector -AP EQ1200 GTO -ST-10XME w/CFW-8A(-30) -L : 300초X17장(1X1) -RGB : 각 300초X5장씩(2X2) -2007. 11. 04 단조롭지 않은 풍부한 색을 가지고 있는 대상이네요. HaRGB(혹은 HaGB) ...
    Date2007.11.27 CategoryNebula By김일순 Views1667
    Read More
  14. Central segment of the Veil nebula

    작년에 이어 두번째로 겨누어 보았습니다. 동베일과 서베일의 중간부분이죠. 월몰과 박명 사이 딱 세 시간! 세 시간을 풀로 사용해서 찍었습니다. 한번 찍어본 대상이라 가이드 성의 위치 잡기가 훨 수월하더군요. 다른 대상에 비해 네로우 세 필터간의 정보...
    Date2009.06.01 CategoryNebula By고창균 Views1667
    Read More
  15. 오리온자리

    2009. 10. 24 한우산 정자 telescope : nikkor ed 180mm mount : GPD-ss2kpc camera : 350D, iso1600 exposure : 600"×5 (lumicon O3) 900"×4 (custum scientific 10nm h-alpha) guide : Vixen80s, dsi, MaxlmDL 아직은 오리온자리를 겨냥할 시기가 아닌가봅...
    Date2009.10.25 CategoryNebula By조영현 Views1667
    Read More
  16. 말머리 성운 주변

    2007. 10.20 양평 epsilon e-180ed 5D w/oLPF w/LPS-P2 ISO1600 4minx12 EM200t2 notouch guide
    Date2007.10.24 CategoryNebula By이상헌 Views1668
    Read More
  17. IC5146 Cocoon Nebula

    백조자리에 있는 약 10분 크기의 발광성운으로 길다란 암흑성운인 B168 끝에 목걸이 처럼매달려 있습니다. 4월27일 하현달을 무시하고 Ha를 찍었고, RGB 필터는 5월10일 유방택별축제에 다녀온 새벽에 찍었는데 기온은 낮았지만 습기가 좀 많아서 이슬제거장...
    Date2008.05.25 CategoryNebula By신범영 Views1668
    Read More
  18. M78 - TOA 버젼

    오늘 날씨가 좋아 다들 필드에 나가셨나봅니다. .. 왠지 제가 도배를 하고 있는듯한 느낌입니다.. 한 대상만 찍으려했는데.. LRGB 1장씩 찍고나면 문제가 생기고..해서.. 4개의 대상을 찍게되었네요.. 마지막 M78 입니다. TOA with 6303 . LRBG .. 달랑 1장씩...
    Date2009.01.03 CategoryNebula By신병석 Views1668
    Read More
  19. 090428_ngc7000_ic5067

    광덕산 별만세 관측소에 방수비닐포로 씌워둔 불쌍한 망원경이 거의 일주일째 좋은 날씨를 만나지 못해 비바람을 맞고 서있었습니다. 속쓰림에 매일같이 원격웹캠으로 그녀석을 바라보려니 마음이 아프군요. 뭔가 수를 내야겠습니다. 이번월령은 이상하게 달...
    Date2009.04.29 CategoryNebula By김호섭 Views1668
    Read More
  20. m27

    ||1토요일 기상청을 보고 있으니 저녁에는 날이 좋을꺼 같아서 박현권씨와 함께 했습니다. 장비구성이 완벽하지 않습니다. 펜탁스75SDHF에 2인치 롱 어댑터가 없어서 다카하시 확대촬영 어댑터인 TCA-4를 강제로 물려서 촬영해보았습니다. (펜탁스 뒷 접안뭉...
    Date2009.06.02 CategoryNebula By남명도 Views1668
    Read More
  21. Eye in the sky~~~NGC7293(Helix nebula)_이미지 수정

    ||180년대 알란파슨스 프로젝트(Alan Parsons Project)라는 밴드의 eye in the sky 를 떠오르게 하는 대상입니다.. 이건 정말 노리던 대상였는데 어제 강교수님이 적절한 코치가 있어서 그나마 이미지를 만들었습니다.. 4일 밤하늘 정말 좋았습니다. 별과 은...
    Date2008.11.05 CategoryNebula By조용현 Views1669
    Read More
  22. NGC7380

    세페우스에 있는 대상입니다. 그다지 밝지는 않습니다. L에서는 성운기가 많이 찍히지 않습니다. 밤새 이 넘을 찍었으나 나중에는 촛점이 나간데다. 투명도는 기막혔으나 시상은 너무 안 좋았던 날이었습니다. 작년부터 노려왔으나 이제야 찍게 되었습니다. ...
    Date2007.06.21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670
    Read More
  23. NGC7000 & Pelican Neb

    Date: 2008. 05. 10(충남교육연구소) Camera:QHY-8(oneshot color) Exposure: R image -> Baader 45nmHa (600s*6장) GB image ->LPS-P2 (600s*6장) Optics: PENTAX SDUF II Mount: Takahashi Temma2 Guide: Meade DSI(PHD Guiding) image:no dark/no flat/원...
    Date2008.05.12 CategoryNebula By전영준 Views1670
    Read More
  24. M1 Crap nebula (NGC1952)

    망원경 : PENTAX 125SDP 800mm F6.4 적도의 : EM-200 Temma2 카메라 : SBIG ST-10XE 가이드 : Self Guide in main CCD (영하 0'c) 영정보 : L600*5 (1:1) / RGB300*3 (2:2) / Dark처리/no flat 처리정보:MaXimDL(Digital Developement), PhotoShop CS3 촬영장...
    Date2010.09.10 CategoryNebula By김정식 Views1670
    Read More
  25. IC2177

    촬영을 너무 늦게 시작하는 바람에 고도가 낮아져 노출을 충분히 줄 수 없었습니다. 윗쪽 부분에 검은 그림자가 있는데 아마도 너무 내려간 기온으로 센서 표면에 서리가 생기지 않았나 싶군요. 갈매기성운 윗쪽으로 찍혀 있는 희미한 초록색 천체는 Hartley ...
    Date2011.02.02 CategoryNebula By장승혁 Views1670
    Read More
  26. IC405 & IC410

    ||1월령은 좋지않지만 날씨가 너무 좋은 주말이라 즐거운 마음으로 초저녁부터 출사를 나가보았습니다. 이심전심으로 월령을 개의치않는 많은 별친구분들을 양평 산중에서 만날수있었습니다. 아주 어두운대상이라 여러장을 촬영하여야 좋은 화질이 나올것이지...
    Date2007.10.21 CategoryNebula By강문기 Views1671
    Read More
  27. [10D]M42 16bit이미지 처리 연습사진 올립니다.

    이미지 처리 연습입니다. 연습하는겸 이것저것 여러가지를 시험해봐서 균형이 깨졌습니다. 욕만 안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 5초 30초 등 이미지 총 20장 정도입니다. 이것저것 자질구래하게 찍었네요. Orion 8", GPD
    Date2004.01.11 CategoryNebula By김형석 Views1673
    Read More
  28. NGC2174/5, IC443, M35

    3가지 대상을 한 화각에 담아보았습니다. 촬영 일시 : 2010.11.02, 0시 54분 ~ 3시 04분 촬영 장소 : 수피령 기온 : -1~3도 렌즈 : Sigma APO MACRO 150mm F2.8 EX DG HSM (F3.2) 카메라 : Canon 50D (적외선필터 개조) 마운트 : 다카하시 EM-10B 가이드 : 노...
    Date2010.11.05 CategoryNebula By장승혁 Views1673
    Read More
  29. M8, M20

    근 두달만의 출사였습니다. 천안의 짝은 연락이 안되고... 살아있어야 하는데.. 혼자였지만 오랜만에 별빛을 쐬서 그런지 정말 아늑하고 즐거운 번개였습니다. 새벽옄에는 투명도가 떨어지기는 했지만 그래도 봄치고는 괜찮은 하늘이었습니다. 그리고 ...
    Date2004.03.27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674
    Read More
  30. 베일(Ha_gray)

    Date: 2009.11.02 Telescope: TMB130SS/AP0.75x Mount: EM200 Temma2 Camera: QSI583ws Exposure: Ha 600s*3장 Guiding: 66mm ED/DSI(GPUSB) Location: 화성시 궁평항 Processing: maximDL/stellaImage/Photoshop CS/no dark/no flat/ 날이 갑자기 추워지고 ...
    Date2009.11.03 CategoryNebula By전영준 Views1674
    Read More
  31. NGC6992 ~~

    간만에 맑고 투명한 하늘을 보고 상현이니 만큼 저녁먹고 느긋하게 출사를 나갔습니다.. 그런데 너무 여유를 부린탓에 노트북 추가 배터리 충전을 안했더군요.. 멍~~ 하늘은 죽음인데 배터리가 나가서.... 그래도 다행히 한장씩 찍을 수 있었습니다... 한컷에...
    Date2010.09.17 CategoryNebula By조용현 Views1674
    Read More
  32. Veil nebula (ngc6960+ngc6992)

    지난 9월12일새벽 찍은 베일성운입니다. 구름은 없었지만 하늘은 가득 메운 박무때문에 하늘 중앙의 2~3등성 정도의 별만 보여서 서쪽으로 기울어가는 베일에 초점을 맞추어 보았습니다. 투명도가 안좋아서 노출시간에 비하여 예리한 맛은 떨어지는 것 같습니...
    Date2007.09.17 CategoryNebula By신범영 Views1675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 84 Next
/ 84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