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Nebula
2007.06.10 16:43

ngc 6992

(*.7.236.149) 조회 수 1512 추천 수 162 댓글 16






||1[촬영정보]
- KASTRON 12.5DS (F4.5)
- NJP Temma pc + STV
- STL11000M/C2 (+ Astrodon Tru-Balance H-a, LRGB Filters)
- 2007-6-9 / 강원도 화천군 사내면 광덕리 별만세 관측소
- Ha:R:G:B = 30(min):10:10:10 (-20도)
   Ha 15m*2(1*1), RGB 각 5m*2(2*2)

어제 고대하고 고대하던 고정관측소에 입주하였습니다.
강원도 화천군 사내면 광덕리에 신범영선생님과 함께 마련하였습니다.
부지는 별만세에서 임대한 공동관측소 부지이고, 3*6m 크기의 사각슬라이딩돔을 신샘과 나누어 쓰게 됩니다.

돔 설치와 주변 정리를 대충 마친 오후 늦게 망원경을 입주시켰습니다.
그동안 바람때문에 잘 사용치 못했던 ADT 320DS(12.5인치) 반사망원경을 올렸습니다.
하도 오랜만이어서 그런지 설치과정도 생소(?)했고, 약간의 흥분으로 실수도 연발이었지만, 기분은 날아갈듯 좋았습니다.

여름철인데도 아침부터 모처럼 쨍한 하늘을 보여주더니, 역시나 여름날씨 아니랄까봐 셔터를 누를 자정쯤부터 구름들이 몰려옵니다. 오늘은 그냥 새집에 망경설치만 하고, 가라는 뜻인가봅니다.  
그래서 밀린 숙제나 좀 하기로 했습니다.
작년 5D를 사용할 때 경험했던, '별도의 망원경으로 가이드할 때 가이드는 잘 되는데, 대상이미지의 별이 흐르는 문제'를  다시금 테스트해보기로 했습니다.

위 사진이 이 테스트를 통해 얻은 사진입니다.
12.5반사(11k/c2)위에 보그4인치+STV를 장착해 가이드했습니다.
RGB 각 5분씩의 이미지엔선 별상이 그다지(전혀~) 길쭉하지 않고 봐줄만 합니다.(주변부 별상도 거의 원형입니다)
Ha 15분 이미지 4장 중에 2장은 (전체가 한 방향으로만) 길게 흘렀고, 두장은 양호합니다.
별상이 흐르지 않은 두 장은 아마 대상이 거의 천정에 왔을 때 찍힌 이미지인 것 같습니다. (낮은 고도에선 흐르고, 천정에선 거의 흐르지 않음)
신범영선생님도 같은 테스트를 했는데 거의 같은 결과를 얻었습니다.        
"미러스트레스를 받지 않을만큼의 적당한 측면유격 유지, 노출 시간의 적정 선정, 최대한 미러움직임이 적은, 높은고도에서 대상촬영"
이 정도만 해도 가이드경을 이용한 반사망원경 촬영에 문제가 없을 듯 합니다.
  
** Ha의 작은 별상과 RGB 2비닝의 큰 별상을 맞추기 위해 Ha 이미지에 블러를 좀 줬더니 세부디테일이 무뎌집니다. 대신 별상이 자연스러워진게 마음에 듭니다. 풀프레임입니다.
  • 유종선 2007.06.10 16:53 (*.106.202.114)
    어휴~~ 자글 자글... 닭고기 살 찢어 놓은 저 느낌...
    어제 저도 같은 대상을 찍었는데.... 저게... 저게... 안되네요.. OTL

    고정 관측지 입주 진심으로 축하드리고요.. ^^
  • 도영재 2007.06.10 19:09 (*.151.162.40)
    고정관측소 입주 축하드립니다. 작년부터 준비중인데...잘 안되는군요.
  • 이건호 2007.06.10 20:59 (*.97.226.8)
    벌써 완성하셨어요? 대단하세요.
    이제 본격적인 고정관측지 작품들이 쏟아져 나오겠네요 ^^
    축하드립니다.
  • 김삼진 2007.06.11 00:06 (*.8.174.45)
    고정 관측지 축하드립니다.열정에 다시한번 박수를 보냅니다.엄청난 작품 많이 많이 부탁드립니다.
  • 권기식 2007.06.11 00:27 (*.28.198.160)
    고정 관측지...
    부럽습니다...
    축하드립니다~
  • 김상욱 2007.06.11 09:39 (*.253.87.180)
    무슨 회화 작품 같습니다.
    고정 관측지 한 번 구경가고 싶네요.
  • 고창균 2007.06.11 09:53 (*.246.85.194)
    한 번 놀러 오세요! 이번주 토요일(16일)엔 별만세 관측소 오픈기념 정기관측이 있습니다.
    이날 참가하시려면 별만세 홈피에 가셔서 참가신청하시면 누구든지 참가 가능합니다.
    (이 날은 돼지머리에 떡에, 쐬주가 있습니다. ㅎㅎㅎ..)
    다른때 오시려면 전화 함 주시구요.


  • 남명도 2007.06.11 09:55 (*.76.83.135)
    옷...사진보다 돼지머리와 떡 그리고 쐬주에 관심이 가는건 멀까요?????
  • 박대영 2007.06.11 10:27 (*.129.121.44)
    사진 멋지고..고정관측지도 축하드립니다. 저도 지난주 고정관측지 작업하느라 온몸이 쑤십니다. 이번주 목-금 정도면 피어박고 돔 앉힐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강문기 2007.06.11 11:01 (*.132.58.21)
    해상도가 대단하군요. 하늘상태도 뛰어났던것 같구요. 멋집니다.
  • 김일순 2007.06.11 11:30 (*.249.247.39)
    이제는 원하시던 숙원 사업을 다 이루신듯... 앞으로 신들린듯한(?) 사진 많이 보여주세요.
  • 선숙래 2007.06.11 12:46 (*.120.130.160)
    앞으로 엄청난 사진들이 쏟아지겠군요.
    축하드립니다.
  • 신범영 2007.06.11 18:26 (*.241.50.130)
    옆에서 지켜보았는데도 다시 보니 정말 멋지군요...
    물만난 고기가 따로 없습니다.^^
  • 박정용 2007.06.11 20:17 (*.78.14.130)
    엄청난 이미지의 연속입니다.
    개인관측소가 생겼으니 정말 기대가 됩니다.
  • 이상헌 2007.06.12 18:29 (*.76.82.119)
    점입가경입니다. 엄청나네요.

    돼지머리, 떡, 쐬주~~~
  • 박진홍 2007.06.13 14:47 (*.104.85.29)
    히야~~ 정말 엄청나게 크군요~
    저도 이번주말 날씨 괜찮으면 이놈을 한번 노려볼까 생각해 보고 있습니다.
    좋은 지침이 되겠습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이름 아이디 글쓴이
1870 Nebula VDB 142, IC1396 3 file 2011.06.18 1525 신범영 shintong 신범영
1869 Nebula M20 7 file 2005.06.30 1524 이건호 skymate 이건호
1868 Nebula 달랑 1장짜리 에스키모 성운 9 file 2009.01.31 1524 김상욱 quark 김상욱
1867 Nebula 070108_IC434_horsehead 11 file 2007.01.09 1523 최승용 starbox60 최승용
1866 Nebula 오리온 대성운 file 2003.11.29 1522 문재곤 moonnsun 문재곤
1865 Nebula [필름] IC1396 4 file 2009.11.02 1522 이준희 ljunhee98 이준희
1864 Nebula M52와 버블 성운 2 file 2010.09.09 1522 김광욱 applewo 김광욱
1863 Nebula IC434 6 file 2009.10.19 1521 전영준 nostra89 전영준
1862 Nebula Cocoon(ic-5146) 9 file 2008.05.18 1520 김삼진 jinalji 김삼진
1861 Nebula IC405&IC410_080929 8 file 2008.09.30 1520 김호섭 obiwan 김호섭
1860 Nebula 동쪽숲 위로 은하수가 올라옵니다. 10 file 2009.04.27 1519 고창균 byulcozi 고창균
1859 Nebula 장미 5 file 2007.11.15 1518 임재식 jaeshiklim 임재식
1858 Nebula 크리스마스성운(NGC2264) 9 file 2009.01.01 1518 김삼진 jinalji 김삼진
1857 Nebula Crab Nebula (M1) 7 file 2009.01.28 1518 고창균 byulcozi 고창균
1856 Nebula M42_오리온대성운_050912 화악산 4 file 2005.09.15 1517 신범영 shintong 신범영
1855 Nebula NGC2244 [Rosette Nebula] 2 file 2011.10.27 1517 이광호 lfo2910 이광호
1854 Nebula M27 4 file 2004.07.25 1516 박병우 qkrquddn 박병우
1853 Nebula Ced214 6 file 2008.09.30 1516 전영준 nostra89 전영준
1852 Nebula [300D] 오리온 대성운 9 file 2004.01.29 1514 박성래 starlit22 박성래
1851 Nebula 마두성운 7 file 2007.11.30 1513 임재식 jaeshiklim 임재식
1850 Nebula 090622_ngc6914 6 file 2009.06.23 1513 최승용 starbox60 최승용
» Nebula ngc 6992 16 file 2007.06.10 1512 고창균 byulcozi 고창균
1848 Nebula M78 13 file 2007.12.11 1511 김삼진 jinalji 김삼진
1847 Nebula VDB 152 9 file 2010.11.09 1511 황인준 sanfran 황인준
1846 Nebula Buble & M52 2 file 2003.12.27 1510 황인준 sanfran 황인준
1845 Nebula nGc 281 팩맨(오락실용이 아닌 겜보이용) 13 file 2006.10.25 1510 남명도 n8210 남명도
1844 Nebula 말머리성운 13 file 2007.11.17 1510 전영준 nostra89 전영준
1843 Nebula 오리온 14 file 2007.01.26 1509 이건호 skymate 이건호
1842 Nebula 장미성운(CCD와 카메라렌즈의 만남) 3 file 2004.02.25 1508 김영혜 qzero1 김영혜
1841 Nebula M45 플레이아데스 성단 16 file 2004.11.08 1508 이건호 skymate 이건호
1840 Nebula Packman Nebula, ngc281 15 file 2007.11.20 1506 고창균 byulcozi 고창균
1839 Nebula m8 4 file 2009.04.29 1506 전영준 nostra89 전영준
Board Pagination Prev 1 ...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84 Next
/ 84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