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Nebula
2006.09.25 22:33

ngc 7293

(*.7.236.149) 조회 수 1302 추천 수 129 댓글 12




지난 9월 23일, 덕초현 스타파티에서 찍은 이미지입니다.
KASTRON 12.5인치의 두번째(?) 출사입니다.

제가 주로 가는  철원은 북동서는 매우 양호한데 비해 남쪽은 광해가 있지요.
그래서 평상시 잘 접하지 못했던 남쪽 대상들을 찍어보았습니다.
이도 그 중에 하나인데, 아직 반사시스템에 덜 익숙해있고, 이미지 후처리과정에서 생기는 사선노이즈에 대한 원인과 대처방법을 잘 파악못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사선을 없애기 위해 레벨조정과 니트를 과하게 적용했더니 별색을 자연스럽게 살릴수 없을 뿐만 아니라,  성운 자체의 디테일도 많이 감소되는 것 같습니다.
nada 홈페이지를 검색을 해보니 ngc7293은 8작품 정도 되네요. DSLR과 CCD로 구분해 살펴보니 정말 차이가 확연합니다.
DSLR의 한계를 느끼면서 CCD뽐뿌를 받습니다.

* 참, 아래의 이미지는 KASTRON 12.5인치와 5D 조합의 풀사이즈 이미지입니다.  주변부의 별상은 더 이상 걱정하지 않아도 될 듯 합니다.
  
[촬영정보]
KASTRON 12.5" DS (F4.5)
NJP Temma pc + STV autoguide
Canon EOS 5D (w/o LPF, w/ LPS-P2 + STL용 파라코어)
2006-09-23  
강원도 횡성군 덕초현 천문인마을
ISO 800,4min * 16장 (darkflat 5장, 총 21장)
darkflat처리, 맥심에서 average합성, 니트, 포토샵 보정
  • 전영준 2006.09.25 23:31 (*.238.80.164)
    5D풀사이즈에 주변 성상이 기가막힙니다.
    경통에 가대에 카메라에 한꺼번에 지름신을 제게 불러주시네요...
    사선방향 노이즈가 좀 애먹인듯하네요. 그것만 해결되면 대단한 사진이 되겠습니다.
  • 최훈옥 2006.09.25 23:36 (*.107.58.168)
    요번 처리엔, 다크플랫 합성순서를 123654순으로 합성해봤는데 이번엔 안나타난거 같습니다..다음번에 어떨지 모르겠네요
    사진끝내줍니다.이쁜 헬릭스..ㅋ
  • 박정용 2006.09.25 23:59 (*.44.25.45)
    5d가 노이즈도 별로없고 역시 좋네요.
    사진 정말 아름답습니다.
  • 김삼진 2006.09.26 07:29 (*.33.87.81)
    주변까지 똘망똘망하고 아주 보기 좋습니다.즐감입니다.
  • 강문기 2006.09.26 07:39 (*.132.58.21)
    넓은 영역의 별상이 고르게 뛰어납니다. 또한 색상도 매우 선명하군요. 광학계와 카메라가 아주 잘 어울리는것
    같군요. 멋진 영상입니다.
  • 황인준 2006.09.26 08:20 (*.239.99.89)
    역시 선수는 선수군요.
    새 장비에 적응하는 것이 빠른것이 선수의 공통점...^^
    사선노이즈 있는 사진이 궁금합니다.
    전 니트를 별로 좋아하지 않다 보니...^^
  • 신범영 2006.09.26 09:51 (*.241.50.130)
    남쪽을 열심히 찍으시더니 한건 하셨네요.^^
    별상, 색상 모두 좋습니다.
    사선노이즈에 대한 해결책이 나왔으면 참 좋겠습니다.
  • 유종선 2006.09.26 10:12 (*.155.240.238)
    DSLR을 쓰고 있는 저도 간혹 사선노이즈 혹은 사선으로 물결치는 노이즈를 접할때가 있습니다만,
    확실하지 않지만 아주 약간씩 계속해서 흐르면서 노이즈가 많을때 주로 생기는 것 같았습니다.

    얼마전 지인들과 출사에서 사진을 찍었는데
    350D 개조를 의뢰했어서 그냥 일반용으로 쓰던 20디로 몇장 찍어 합성을 했는데 물결무늬의 노이즈가 생기더군요.

    저도 알수없는 이유로 가이드는 완벽하나 실제 사진에서는 한쪽으로 서서히 별이 이동해 갑니다.
    사선 노이즈가 서서히 이동해가는 별을 방향과 일치하는 것으로 보아 그와 연관되어 있는것 같습니다.

    일단 가이드 시스템과 촬영시스템간의 오차를 어떻게하는 줄여볼라 하는데 잘 되지 않습니다.
  • 고창균 2006.09.26 13:52 (*.246.85.194)
    유종선님의 의견에 전적으로 동감합니다. 저도 15장이 규칙적인 방향으로 아주 미세하게 이동합니다. 사선노이즈도 그와 같은 방향으로 나오구요. 이건 다크나 다크플랫처리를 하지 않은 이미지의 합성에서도 그대로 나타나더군요. 촬영시스템의 문제 맞는 거 같습니다.
  • 김일순 2006.09.26 14:39 (*.249.247.36)
    고도가 낮은 대상인데 디카로도 멋지게 잘 나왔네요. 씨씨디랑 별반 차이가 없어보입니다.
  • 이건호 2006.09.26 22:43 (*.128.211.145)
    정말 좋은 사진을 건지셨네요. 색이 예술입니다.
    사선노이즈는 유선으로 말씀드린대로 맥심에서 합성시에 Sigma Cip으로 하시면 대다수 없어 질 것입니다.
    생기는 이유는 눈으로는 못 느끼지만 여러가지가 복합되어 미세하게 가이드가 흐르는 것이 원인이고,
    이것을 합성시에 별로 얼라인을 하니 열노이즈가 사선으로 이동하면서 합성이 되는 원인입니다.
    노터치 가이드할때 많이 생기곤 합니다.
  • 선숙래 2006.09.27 12:55 (*.120.130.73)
    색감을 보려고 집에서 일부로 새 노트북으로 봤는데 참 예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이름 아이디 글쓴이
782 Nebula ngc2237 장미성운 2 file 2011.10.30 1086 조영현 hyuncat 조영현
781 Nebula 무제. 캘리포니아성운 1 file 2011.10.31 1631 신병석 starzan 신병석
780 Nebula Orion 버나드루프 4 file 2011.11.01 1586 신병석 starzan 신병석
779 Nebula 북 아메리카 부근을 담아 봤습니다~ 3 file 2011.11.02 1196 조진원 titan7 조진원
778 Nebula NGC1579 3 file 2011.11.03 3317 황인준 sanfran 황인준
777 Nebula NGC7635 & M52 3 file 2011.11.03 1180 황인준 sanfran 황인준
776 Nebula NGC7023 4 file 2011.11.03 1295 황인준 sanfran 황인준
775 Nebula IC443 [Jelly Fish Nebula] 5 file 2011.11.04 1438 이광호 lfo2910 이광호
774 Nebula 플레이아데스 3 file 2011.11.07 1390 신병석 starzan 신병석
773 Nebula 아이리스성운(NGC 7023) 주변 2 file 2011.11.11 988 박대영 youngst 박대영
772 Nebula M52 & NGC 7635 3 file 2011.11.12 1146 박대영 youngst 박대영
771 Nebula IC 1805 하트성운 2 file 2011.11.18 1036 조진원 titan7 조진원
770 Nebula IC434 말머리성운 3 file 2011.11.21 1160 조진원 titan7 조진원
769 Nebula 아듀 백조좌.. Gamma cygnus 부근.. 6 file 2011.11.21 1144 신병석 starzan 신병석
768 Nebula ngc2024 + IC 434 5 file 2011.11.22 1177 조용현 zztop 조용현
767 Nebula 장미성운 2 file 2011.11.23 1213 조진원 titan7 조진원
766 Nebula 오랜만에 올리는 사진 (^_^) 5 file 2011.11.23 1050 최훈옥 oioigs 최훈옥
765 Nebula 111120_ic434 10 file 2011.11.24 1368 최승용 starbox60 최승용
764 Nebula IC2169 [Reflection Nebula] 3 file 2011.11.26 833 이광호 lfo2910 이광호
763 Nebula NGC 2264 - Christmas Tree 3 file 2011.11.26 920 박대영 youngst 박대영
762 Nebula ngc1499 캘리포니아 성운 3 file 2011.11.26 1207 조영현 hyuncat 조영현
761 Nebula 캘리포니아와 플레이아데스 4 file 2011.11.26 1147 신병석 starzan 신병석
760 Nebula 오리온 삼태성 부근 7 file 2011.11.28 1203 조용현 zztop 조용현
759 Nebula 말머리 & 불꽃성운 습작 7 file 2011.11.28 1444 김광욱 applewo 김광욱
758 Nebula M78 6 file 2011.11.29 1167 황인준 sanfran 황인준
757 Nebula 장미한송이 file 2011.11.29 1065 조진원 titan7 조진원
756 Nebula NGC 7380 - Wizard Nebula 4 file 2011.11.29 924 박대영 youngst 박대영
755 Nebula IC443해파리성운 3 file 2011.12.06 1271 조진원 titan7 조진원
754 Nebula NGC 6995 Veil Nebula 2 file 2011.12.08 1169 조진원 titan7 조진원
753 Nebula 111204-ic434 8 file 2011.12.12 1542 최승용 starbox60 최승용
752 Nebula 111218_ngc2244_ngc2237 9 file 2011.12.19 1422 최승용 starbox60 최승용
751 Nebula B33 9 file 2011.12.20 1257 이광호 lfo2910 이광호
Board Pagination Prev 1 ...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 84 Next
/ 84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